• 제목/요약/키워드: Bilingual educa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어와 영어 두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한국어린이의 한국어 후치부정어 습득에 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Postverbal Negation in Korean in a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

  • 김명숙
    • 인지과학
    • /
    • 제20권4호
    • /
    • pp.383-41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태어나면서부터 영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한 한국어린이(R)의 한국어 후치부정어 발달과정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후치부정어의 발달과정과 실제 사용상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한국어만 습득하는 어린이들과 비교하여 비슷한 발달 모습과 다른 모습을 분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R의 한국어 부정어 습득 과정뿐만 아니라 관찰되는 특별한 형태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어린이이며, 연구방법은 종단연구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어의 후치부정어 발달을 5세에서 7세 사이의 2년에 걸쳐 연구하였다. 전체적으로 R 의 후치부정어의 습득은 습득환경의 영향으로 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어만 습득하는 어린이와 비슷한 발달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발달모습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R이 호주에 살고 있는 동안에는 모국어와 제2언어 학습메커니즘 두 기능 모두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그 반면에 한국에 살고 있는 동안에는 모국어 학습메커니즘 만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모국어와 제2언어 학습메커니즘이 기본적으로는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왜냐하면 한 어린이가 서로 다른 두 언어 환경에 따라 발달 과정이 퇴보하였다 진보하였다 하는 특성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 PDF

다문화가정 청소년자녀의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인력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the Potential for Adolescen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Trained as Competent Personnel in Charge of ODA)

  • 박미석;김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95-113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for multi-cultural youths, given their innate bilingual and dual culture, to be trained as the competent ODA professionals.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we organized two different kinds of FGI in 2015. The first FGI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10 expert participants from August 17 to September 25. The second FGI was conducted four times,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with 13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Russia, Mongolia, Vietnam, India, Indonesia, Japan, and China.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items were passed through a formal review process of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Furthermore, with the participants' pre-consent to recording, all record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the potential for nourishing bilingual and dual cultural capabilities are high for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expert group also emphasized the negative aspects of these capabilities being suppressed due to the relatively oppressed family environment. The expert group therefore suggests the following: building parent awareness of ODA human resources, developing an educational career transition roadmap, and providing institutional incentives for ODA. In addition, to some exten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detect some positive self-esteem among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of the bilingual and dual cultural competencies required to be ODA personnel. In sum,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the need for national social support for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ir strengths are not extinguished, in order that they might grow up as competent ODA personnel.

Language Choice Patterns among Bilingual Migrant Students

  • Park, Seon-Ho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1호
    • /
    • pp.15-36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language choice among bilingual Korean students in New Zealand and presents the findings by the individual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ir language behaviour. Respondent variables such as gender, present age, age at migration, region, and duration of residence were adopted as frames of analyses as they were thought to bring us macro-sociolinguistic features of language behaviour in a broad sense. A total of 177 primary to tertiary students from three regions of New Zealand (Auckland, Wellington, and Christchurch) were survey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ir language choice patterns with diverse interlocutors in a wide range of contexts.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AAM (age at migration) group showed a greater shift towards English. In addition, the longer the respondents had resided in New Zealand the more they used English.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females generally used less English and were more flexible choosing either Korean or English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younger respondents were using more English in some exceptional contexts where tertiary students were ahead of secondary students. Respondents from Wellington, on the whole, shifted towards English more than others from Auckland, and Christchurch. From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Korean students, teachers, researchers, and the government not only in New Zealand but also in Korea.

  • PDF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Impact of Bilingual·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 박현선;이채원;노연희;이상균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65-3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이중언어문화 노출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참여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459명과 그들의 초등학교 5-6학년 자녀 459명을 쌍체수집한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2011) 자료를 원자료로 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가 원활하고, 자녀가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보다 많이 노출되었을 때 어머니의 양육참여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지원서비스가 단순히 취업이나 한국사회 적응에서 필요한 기술일 뿐 아니라 양육참여에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중언어 문화환경이 더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적응에 위험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발달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원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인 유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이인숙;정혜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0-22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the needs of health educa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Chinese students in Korea who were attending one of three universities in Chungcheong-do and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October 27, 2011. Results: The subjects' need of health education was 131.53 out of 176. By area, the score was highest in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emergency care (3.25 out of 4), which was followed by personal hygiene and healthy habits (3.22), family health care management and medical examination (3.15),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sease (2.94), environmental health (2.81), moderation in drinking and smoking cessation (2.81),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2.79), and sexual education (2.68). When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Conclusion: Need of health education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as high. To meet Chinese students' need of heal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n-line health education program which is written in bilingual languages (Korean and Chinese) for effective learning.

중국 연변 조선족 유아 양육 실제에 나타난 시대성과 민족성 이슈 (Current and Ethnicity Issues Represented in Child-Rearing Practices of Korean-Chinese Families in YanBian, China)

  • 윤갑정;고은경;정계숙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1-50
    • /
    • 2008
  • The current and ethnic issues represented in child-rearing practices of Korean-Chinese families in YanBian, China, were studied with the participation of 7 primary caregivers (4 mothers and 3 grand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 their homes. Current issues were categorized as competitive bilingual ability, expectations about third language learning (English), expectations of high academic accomplishment and early education, and economic challenges in parenting. Ethnicity issues included ethnic pride as Korean-Chinese, conflicts of ethnic education, participation in local Korean culture, and rearing the child to have the self-expressive and assertive characteristics of typical Korean children.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child-rearing of minorities and familie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 PDF

디지털 시대의 융·복합 교육을 위한 영어영재 교사교육 방안 (Way of Training English Teacher's of Verbally Talented Children for convergence-based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 박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5-192
    • /
    • 2016
  • 본 논문은 영재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영어교육과 영재교육의 지식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먼저, 지나치게 원어민 중심, 속진 중심 영어전용 교육 중심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사 교육에 내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영재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먼저 이 두 분야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에 따른 영재 영어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한다. 지나치게 영어 하나에 초점을 둔 현재의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이중언어 중심의 내용중심과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융 복합 기반의 표현중심 영재 영어교육을 해야 하고 그에 맞는 영재 영어교사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청각 장애인의 웹기반 교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2Bi이론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User Interface Design for Improving Web-based Instruction Learning Ability of Hearing-impaired Leaners)

  • 황정은;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5-261
    • /
    • 2009
  • 오늘날 웹은 급속도로 확산되어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 존재로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사이버 교육 환경의 시대를 맞이하여 웹을 이용한 학습 활동의 비중은 점점 더 증가되었지만 대다수의 웹기반 교수 (Web-based Instruction : WBI)학습 사이트들이 비장애인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계됨에 따라 청각 장애인을 학습 공간에서 격리 시키고 학습 능력을 저하시키는 이중 장애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청각 장애인의 교육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Bilingual Method : 2Bi 이론)을 활용하여 청각 장애인의 WBI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 장애인의 웹접근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청각 장애 학습자가 보다 쉽게 학습 공간에 접근하게 하였다. 둘째, 청각 장애인의 장애 정도 및 학습 성취 정도에 따라 3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셋째, 순차적 반복 학습이 가능하여 청각 장애인의 학습 능력뿐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 PDF

다문화 시각에서 접근한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 결혼이주여성 및 영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 김지은;김지명;서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312-32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a necessity for nutrition education, which is apparent to both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nutrition education exper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 immigrant women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The dietary behaviors of the wo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period of residence. The longer they had resided in Korea, the higher their dietary behavior sc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y their period of residence. This study also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8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Seoul, and with 4 nutrition education experts. These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provide profound insights regarding the content and means of nutritio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Nutritio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proceed at a basic level in terms of language and content, using bilingual (Korean and their native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Education topics and content need to be develop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comprehension and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Also, this multicultural approach should be adapted when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since immigrant women have various acculturation levels, and the content and means of education should be adjusted to these acculturation levels. Management after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migrant women who do no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such as real cooking practices and food purchasing simulations must be developed. Fi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nutrition education among immigrant women liv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Policy support such as training nutrition educators on multicultural individuals residing in Korea is necessary for active and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지원을 위한 공공도서관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Program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 이연옥;장덕현;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7-163
    • /
    • 2022
  •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문제를 중심으로 정보요구의 세부 내용을 고찰하여 이를 지원하는 공공도서관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녀교육 관련 경험 및 요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관련 요구는 1) 한국 학교의 교육체계 및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 2) 자녀의 언어 및 학습에 대한 요구, 3) 자녀의 이중언어교육 관련 요구, 4) 학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 정보, 5) 자녀에 대한 편견과 차별 우려, 6)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 지원이라는 6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지원을 위한 도서관프로그램과 운영방안을 1) 자녀교육을 위한 부모 역할, 2) 자녀의 학습, 3) 자녀의 언어교육, 4) 다문화이해교육, 5) 도서관이용교육과 안내 영역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