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ploratory Study of the Potential for Adolescen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Trained as Competent Personnel in Charge of ODA  

Park, Mee Sok (Dep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im, Kyoung A (School of Gener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3, 2016 , pp. 95-11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for multi-cultural youths, given their innate bilingual and dual culture, to be trained as the competent ODA professionals.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we organized two different kinds of FGI in 2015. The first FGI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10 expert participants from August 17 to September 25. The second FGI was conducted four times,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with 13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Russia, Mongolia, Vietnam, India, Indonesia, Japan, and China.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items were passed through a formal review process of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Furthermore, with the participants' pre-consent to recording, all record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the potential for nourishing bilingual and dual cultural capabilities are high for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expert group also emphasized the negative aspects of these capabilities being suppressed due to the relatively oppressed family environment. The expert group therefore suggests the following: building parent awareness of ODA human resources, developing an educational career transition roadmap, and providing institutional incentives for ODA. In addition, to some exten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detect some positive self-esteem among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of the bilingual and dual cultural competencies required to be ODA personnel. In sum,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the need for national social support for the adolesce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ir strengths are not extinguished, in order that they might grow up as competent ODA personnel.
Keyword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 childr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순원(2010).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 교육적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16(2), 69-91.
2 국무조정실(2016). Kore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etc/Sitemap.jsp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2014). 2014 대한민국 ODA 백서.
4 국제개발협력위원회(2015). '15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5 권율(2011). ODA 중기재정 운용방향. 2011-2015년 국가재정 운용계획-ODA분야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3-43.
6 김민경(2015).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 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3(2), 121-134.
7 김삼화(2011).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자원과 문화차이 지각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상담, 1(2), 23-40.
8 김승희(2011).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23(3), 25-61.
9 김철희(2011). 국제개발협력 인력양성 체계 구축 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 남부현. 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13-142.
11 남부현. 정천석(2010). 다문화가정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여성결혼이주자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 다누리 http://www.liveinkorea.kr/
13 박미숙. 이미정(2014).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갈등원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0(3), 149-174.
14 김미옥(2007).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엄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4), 163-189.
15 박은민(2013). 다문화 청소년의 생활경험 지각에 관한 질적 연구: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3), 1-21.
16 박형수. 유진호. 박부연(2013). 한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8(5), 771-777.   DOI
17 안권순(2009). 다문화청소년의 건전 육성 방안. 청소년학연구, 16(7), 99-126.
18 양계민. 조혜영. 이수정(2009). 미래한국사회 다문화 역량강화를 위한 아동 청소년 중장기정책방안 연구 I: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하. 남현주(2012).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13(3), 1181-1209.
20 에너지경제(2016.3.9). 다문화가정 자녀, 맞춤형 지원한다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05684
21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ind ex.jsp
22 이정우(2012).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19(4), 293-314.
23 유진이. 김혜정(2009).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32), 17-32.
24 유창준. 김건태. 임상호(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5), 19-26.
25 윤경식. 장일식(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예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경찰학논총, 10(1), 147-178.
26 장현식(2008). ODA 전문 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 2008년 인재정책 협력망 2차 정례토론회 발표자료.
27 전경숙. 정기선. 이지혜(2007). 다문화 교육정책방안 연구. 서울: 경기도교육청.
28 통계청(2015). 201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29 정지윤. 문성호(2011).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8(8), 265-289.
30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2007). 다문화청소년 이해론. 서울: 양서원.
31 홍기원(2007). 다문화사회의 정책과제와 방향: 문화정책의 역할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32 여성가족부(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33 Arnot, M. & Pinson, H.(2005) The education of Asylum-Seeker and refugee children: A study of LEA and school values, Policies and Practices. Cambridge: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Cambridge.
34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DOI
35 Holstein, J. A., & Gubrium, J. F. (1995). The active interview. Thousand Oaks, CA: Sage.
36 KBS 뉴스(2014.10.27). 다문화 청소년 1%, 인재로 키워야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55394
37 Lincoln, Y. S. & Guba, E. G.(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8 Kleiber, P. B.(2004). Focus Groups: More than a method of qualitative inquiry. In deMarrais K. & Lapan, S. D.(Eds.), Found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inquiry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pp. 87-102),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9 Krueger, R. A.(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Thousand Oaks, CA: Sage.
40 KTV국민방송(2015.8.12). 광복 70년 원조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09440
41 Marshall, S. K., Young, R. A., Stevens, A., Spence, W., Deyell, S., Easterbrook, A. & Brokenleg, M. (2011).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in urban-residing aboriginal families in Canada.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6), 539-558.   DOI
42 Padgett, D. K.(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43 Golbal Compact Network(2016). A GLOBAL COMPA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ww.unglobal compact.kr/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