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cultur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속 젖산균의 동정 및 생리적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eces)

  • 강동규;강석필;장동훈;김상호;윤성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7-5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분변으로 부터 분리, 동정된 Lactobacillus 속 균주의 종별 출현빈도, 산 생성능,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에 대한 내성, cholesterol 저하능력 등이 검토되었다. 생후3일부터 37세까지의 총 13명의 남·여의 분변으로부터 총 52균주의 Lactobacilli가 분리되었고 이 중 L. acidophilus가 19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 plantarum 순이었다. 분리주 중 L. acidophilus로 동정된 17주와 L. casei로 동정된 3주에 대해서 생리적 특성을 검토한 바 각각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 실험결과 L. acidophilus a-4는 pH 2.5에서 3시간 경과 후에도 전혀 사멸하지 않고 100%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 acidophilus a-2와 L. casei b-3도 75%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13주는 40%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균주 별로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은 큰 차이를 나타났다. 내 담즙성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 a-3를 포함한 4주는 성장에 지장을 받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분리 균주는 생균수가 처리전 보다 $54{\sim}99%$ 정도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위액 내성과 마찬가지로 균주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 탈지유를 이용한 산생성능에 있어서는 두 L. acidophilus 균주 (a-2 및 a-16)가 60시간 경과 후 $2.1{\sim}2.3%$의 적정 산도까지 도달하였고 이때 pH는 $3.5{\sim}3.6%$이었다 60시간 배양 후 적정 산도가 0.8%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총 20주중 10주였다. 한편 cholesterol 저하능을 측정한 결과 공시한 20개 분리주 중에서 L. acidophilus a-2 주와 a-6 주가 70% 이상의 우수한 저하능력을 나타냈고, 12균주가 60% 이상의 저하능을 나타냈다. cholesterol 저하능은 동일 균종이라 하더라도 분리원(사람)은 물론 동일 분리원에서 유래된 균주 간에도 큰 차이가 나타났다.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cholesterol 저하능력과의 관련성은 상호간의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얻은 몇 균주는 인체에 섭취될 경우 사멸하지 않고 소화관 하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었으며, 따라서 이들 분리주는 정장제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대장균군 검사용 간이 시험지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croorganism Test Strips)

  • 이인애;김재화;이희구;성창근;최인성;정태화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5
    • /
    • 1996
  • 대장균군 검사용 간이 시험지는 본 실험실에서 국내 최초로 고안, 개발하였으며 이 간이 시험지법은 현장 검사법의 하나로 대장균군이 내는 succinic acid dehydrogenase 때문에 tetrazolium salt가 환원되어 적색 반점을 형성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이 간이 시험지의 제조는 대체로 종래의 표준 평판법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배지와 시약을 사용하여 여지에 흡착시킨 후, 건조시켜($60^\circ$C) 멸균한 것으로 표준 평판법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간이 시험지의 제조에서는 bile salt No. 3를 deoxycholate로 대체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였고, 또한 일본에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과 품질 비교시험을 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종래의 표준 평판법과 비교하였을 때도 오히려 표준 평판법 (24-48시간 배양)보다 빠른 시간(16-20시간 배양)내에 판정할 수 있는 이 점이 있으며, 표준 평판법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배지나 배양 접시, pipette등의 자료 및 기구가 일체 필요없고 언제 어디서나 현장에서 직접 시험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며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할 수 있는 경제성이 높은 이점을 갖고 있다.

  • PDF

Optimizing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low salted squid jeotgal by lactic acid bacteria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 Akther, Fahima;Le, Bao;Chung, Gyuhwa;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91-402
    • /
    • 2017
  •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widely used as starter culture in food fermentation due to their harmless entity and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along with the ability to change texture, aroma, flavor and acidity of food product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AB (FB003, FB058, FB077, FB081, and FB111) isolated from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ssign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Weissella viridescens, Lactobacillus sake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o use as fermentation starter and check their ability to fasten the ripening time as well as the overall optimization in the fermentation condition. To check their suitability as starters, their safety, acid and bile tolerance, NaCl and temperature resistance, susceptibility to common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Squid jeotgal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10^8CFU/g$ of each strain in different samples, which were then kept for fermentation at $4^{\circ}C$ and check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t 0, 7, 15, and 21-day intervals. The samples fermented with FB003 and FB077 display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revealed two effective starter cultures (FB003, FB077) for squid jeotgal fermentation, which presented increased function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novel industrial-scale production avenues for jeotgal preparation, and offer new insights into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hronic diseases.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p. AP 116 from the Intestine of Pig for Potential Probiotics

  • Shin, Myeong-Su;Choi, Hyun-Jong;Jeong, Kyeong-Hyeon;Lim, Jong-Cheol;Kim, Kyeong-Su;Lee, Wan-Ky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with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athogens from the intestines of pigs for probiotic use. Lactobacillus sp. AP 116 possessing antimicrobial property was selected from a total of 500 isolates. The AP 116 strain showed a relatively broad spectrum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Pediococcus dextrinicus, and Enterococcus strains using the spot-on-lawn method.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unchanged after 15 min of heat treatment at $121^{\circ}C$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however, it diminished after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Maximum production of bacteriocin occurred at $34^{\circ}C$ when a pH of 6.0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culture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a tricine SDS-PAGE analy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5 kDa. The isolate tolerated bile salts and low pH, and also induced nitric oxide (NO)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Bacteriocin and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sp. AP 116,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use as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the pig industry.

양식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황달에 관하여 (Jaundic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현;박성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573-1580
    • /
    • 2016
  • The disease occurred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in a recirculatory culture system without any separated filtration apparatus. As the pond had a high level of nitrite with $60mg/{\ell}$, 1% NaCl was added to reduce nitrite toxicity to eel. The first outbreak was observed a week after the NaCl treatment and continued for 10 days. Accumulated mortality was about 0.2-0.5%. Affected fish ranged from 150-350 g were usually anorexic and exhibited yellow colour in the skin of the abdominal region and at the base of pectoral fins, as well as in the eyes. In a few individuals with severe symptoms, the lateral skin was also yellowish. The spleen, kidney, muscle and gall bladder were yellowish and the liver was pale-yellow colour but green on the posterior part. The gall bladder was shrunken without bile. Some abnormal erythrocytes such as "tear drop" cells (dacrocyte) were observed in peripheral blood smears stained with May-Grunwald Giemsa. Hematocrit values and hemoglobin contents in the jaundiced eel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apparently heathy eel. Severe haemosiderosis accompanied by erythrophagocytosis was found in the kidney and spleen. Haemosiderin deposits were observed in macrophages of the haematopoietic tissue of the kidney and in the splenocytes. But no significant alterations were found in the hepatic cell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first outbreak of jaundice in cultured eel in Korea. Pathological and hematological investigations suggested that severe hemolysis may resulted in jaundice in eel although the cause of hemolytic jaundice was not identified in this study.

간부분 절제술 후 비장내 이식한 간세포화 줄기세포의 분화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Differentiation of Hepatocytic Stem Cell by Intrasplenic Transplantation after Partial Hepatectomy)

  • 양영철;박재홍;박중규;배기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4-305
    • /
    • 2002
  • 흰쥐에서 간부분 절제술 후 비장내 배자줄기세포를 이식하여 배자줄기세포가 간세포로 분화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비장내에서 간세포의 기능적인 구조를 유지하는지를 조사 하였으며 간세포로의 재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장내 세포이식에서 배자줄기 세포를 이식하면 처음에는 동맥주위림프초 근처에 위치하여 그 수가 먼저 증가하면 육주 주위에 소엽상으로 모여서 세포의 크기가 커졌다. 세포내 소기관의 발달은 이식 후20일에 가장 현저한 발달을 보이며 이때 EGF의 반응도 가장 현저하였다. 이식 후 40일이 되면 세포질내 소기관의 발달이 간세포의 기능이 가능할 정도로 분화되었으며 TGF 반응이나 apoptosis 반응은 증가하였다.

사료용 생균제 개발을 위한 마늘 내성 유산균의 분리 (Isolation of Garlic 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for Feed Additives)

  • 김유진;장서정;박정민;김창욱;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52-359
    • /
    • 2009
  • 마늘의 항균력에 저항성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서 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생육하는 112 균주를 김치, 젓갈, 장아찌류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14균주에 대해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 그리고, 가축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choleraesui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sneri에 대해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파김치 유래의 P'GW50-2 균주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생균제로 이용 가능한 균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고 L. plantarum TJ-LP-002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TJ-LP-002는 Bacillus cereus, 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와 같은 Gram 양성균과 Aeromonas hydrophila, E. coli, Pseudomonas, Salmonella, Shigella와 같은 Gram 음성균에 대해서 비교적 넓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산식품과 채소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 검출을 위한 배지배양법과 real-time PCR의 비교검증 (Comparison of the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for th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s and Vegetables)

  • 천정환;현지연;황인균;곽효선;한정아;정윤희;송광영;서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0
    • /
    • 2010
  • V. parahaemolyticus는 국내에서 여름과 가을철에 걸쳐 발생되며 생선이나 패류 등의 해산식품을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불완전하게 익혀 먹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 검출기법인 배지배양법을 이용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에 있어서 그 유효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V. parahaemolyticus의 발생기록과 발생가능성이 있는 여러 해산식품과 무순에 적절한 균량을 접종하고 APW로 증균배양하였다. 증균배양이 끝난 후 TCBS선택배지에 배양액을 획선도말하고, 동시에 증균배양액에서 1 mL을 채취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TCBS에서 초록색이 나온 집락을 1-3개 선별하여 TSI 배지에 접종하여 screening test를 거친 후 API 20NE strip을 사용하여 확인동정하였다. 또한 정상세균총이 목적균의 성장과 검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25 g의 식품 내 정상세균총의 수준을 함께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자체 제작한 real-time PCR 서열은 V. parahaemolyticus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고 검출 한계는 PBS에서 $10^3\;CFU/mL$ 였다. 또한, 식품 내 정상세균총이 높을 경우 증균배양 시 목적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은 180개의 전체 샘플 중 76개의 양성 결과를 보여 66개의 양성 결과를 낸 배지배양법에 비해 더 많은 양성 검출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Real-time PCR은 표준검출법인 배지배양법과 비교해 볼 때 동등하거나 우수한 검출력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realtime PCR법은 24시간 이내에 확정동정까지 가능하여 시간과 노동력의 소모가 많은 배지배양법에 앞서 선별검사로 사용할 경우 시간, 비용, 노동력 절감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비피더스균의 특성과 Bifidobacterium longum A-2의 임상실험에 관한 연구

  • 김영찬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83-106
    • /
    • 1998
  • 본 실험은 건강한 한국인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20종과 상업종균 3종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피더스균의 특성을 내산성, 내담즙성, 발효특성, 생존성, 콜레스테롤 분석, 항미생물 분석, 항돌연변이 분석, Phagocytosis 분석, $TNF-{\alpha}$ 및 IL-6 분석치를 균주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피더스균의 균주간 비교 분석 결과 최종 선정한 Bifidobacterium longum A-2의 임상실험에 의한 장내 변화를 분석하고자 건강한 한국인 성인 7명(남성, 평균 연령 36세)를 대상으로 Bif. longum A-2를 냉동건조한 분말($5.0{\times}10^9/g$/회)로 매일 식후 2회 7일간 섭취후 분변을 검색하였다. 분변검사 횟수는 총 4회로 비피더스균 섭취 7일전, 1일전, 섭취 7일중, 절식 14일후에 실시하였다. 비피더스 균주간 특성 비교 결과와 Bif. longum A-2의 임상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산성에서는 2균주(A-2, A-9가, 내담즙성에서 6균주(A-2, A-5, A-13, A-14, A-18, A-22) 균주가 높게 나타났다. 2. pH, TA, 비피더스균수를 비교한 발효특성에서는 6균주가 pH 4.5이하, TA 0.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 A-23 균주는 젖산에 대한 초산의 생성이 가장 낮았다. 특히 A-2의 탄수화물 이용성에서 젖산에 대한 초산의 비율이 가장 낮은 것은 Mannitol로 분석되었다. 3. 생존성에서는 A-2가 상업종균 A-22에 비하여 $4^{\circ}C$, $20^{\circ}C$ 보관중에서도 감소 경향이 적어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콜레스테롤 분석에서는 5균주(A-8, A-10, A-11, A-12, A-20)가 30% 이상 감소시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5. E. coli, Sta. aureus, Pseudo. flores에 대한 항미생물 분석에서 Sta. aureus에 대하여 A-1, A-2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pH를 조정하여도 Sta. aureus에 대하여 항미생물 작용이 높게 나타난 A-20균주는 추가실험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 항돌연변이 분석에서는 돌연변이원인 NQO와 IQ에 대하여 공히 70%이상 항돌연변이작용을 나타낸 A-2, A-12 및 A-23균주가 높게 나타났다. 7. 면역능 분석은 phagocytosis, $TNF-{\alpha}$ 생성, IL-6 생성에 있어서 균주 4종(A-1, A-5, A-9,A-20)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A-5균주는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다. 8. Bif. longum A-2 식이에 따른 장내 비피더스균의 변화는 섭취 7일전 $1.0{\times}10^8$, 섭취 1일전 $1.1{\times}10^8$, 섭취 7일중 $2.5{\times}10^8$, 절식 14일후 $1.8{\times}10^8$으로 검출되어 섭취전에 비해 섭취중과 절식후에 비피더스균수는 유의성(P<0.05)이 있게 증가하였고 피험자에 따라서도 비피더스균수는 고도로 유의성(P<0.01)이 있게 증가하였다. 9. Bif. longum A-2의 섭취후 장내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대장암 유발성 효소인 ${\beta}-gucuronidase$의 변화는 섭취 7일전 $14.148\;{\mu}g/hr/g$, 섭취 1일전 $13.447\;{\mu}g/hr/g$, 섭취 7일중 $8.123\;{\mu}g/hr/g$, 절식 14일후 $10.612\;{\mu}g/hr/g$으로 검출되어 섭취전에 비해 섭취중과 절식후 고도로 유의성(P<0.01)있게 감소하였고 피험자에 따라서도 유의성(P<0.05)이 있게 감소하였다. 10. 한편 lactobacilli, Enterobacteriaceae, Clostridium pefringens, pH, 암모니아의 변화는 유의 성이 없었다. 11. 임상실험에서 BS 배지에서 성장한 colony의 당발효성을 검색한 결과 식이로 섭취한 Bif. longum A-2의 당발효성과 동일하게 나타난 점으로 보아 경구 섭취한 Bif. longum A-2는 살아서 장까지 도달하며 장내에 정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 결과와 같이 비피더스균주간 특성을 비교한 결과 많은 특성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낸 Bif. longum A-2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게 되었고 이 균주가 외국의 상업종균과 특성의 비교에의의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Bif. longum A-2에 대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에서 장내의 변화를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 PDF

Experimental Pathogenesis of Pullorum Disease with the Local Isolate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Pullorum in Pullets in Bangladesh

  • Haider, M.G.;Chowdhury, E.H.;Khan, M.A.H.N.A.;Hossain, M.T.;Rahman, M.S.;Song, H.J.;Hossain, M.M.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0
    • /
    • 2009
  • 이 실험은 추백리의 병원성을 연구하고자 2006년 2월부터 12월까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S.) Pullorum 야외주를 분리한 후, 이를 건강한 닭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다음 임상증상, 여러 기관의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검색과 아울러 공격주의 재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S. Pullorum에 혈청학적으로 음성인 12주령의 100수의 암탉을 $A{\sim}E$까지 20수씩 5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sim}DS$. Pullorum을 $10^6\;CFU$, $10^7\;CFU$, $2{\times}10^7\;CFU$, $10^8\;CFU$로 각각 경구 감염시켰고, E는 비감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 방법으로는 부검, 조직병리학적 검사, Salmonella에 대한 세균 배양, 염색,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