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data Visualiz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탐색적 자료 분석(EDA) 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 불만족 및 제도 개선 방안 연구 (A Researh for Consumer Dissatisfac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Overseas Direct Purchase u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 박성우;강주영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4
    • /
    • 2020
  • 최근 인터넷 채널의 확장, 금융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외직접구매가 확대되었다. 해외직접구매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제품과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가격, 희소성 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국내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배송, 제품, A/S·환불 면에서 소비자 불만족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직접구매 활성화에 따른 소비자 불만족을 분석하고 해외직접구매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소비자원, 관세청, 한국무역협회에서 여러 통계자료를 수집했고, 탐색적 자료 분석 기법(EDA)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는 해외직접구매 관련 정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것과 구매 유형에 따라 소비자 불만 유형이나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EDA를 활용하여 해외직접구매의 전체적인 현황과 소비자 불만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해외직접구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해외직접구매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언택트 기술 환경에서의 지능형 헬스 어드바이저 모델 접근 방안 (An Approach of Cognitive Health Advisor Model for Untact Technology Environment)

  • 황태호;이강윤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9-145
    • /
    • 2020
  • 4차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 API에 기반한 정보의 활용은 산업과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의료분야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데이터 활용은 사회에 많은 변화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논문은 "Cognitive Health Advisor model(CHA model)"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를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chatbot 이용한 CHA model"을 구현하는데 있다. 개방형 Cognitive 챗봇을 이용하여 일상 생활에서 변화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 생체센서와 챗봇 상담으로 분석한 사용자의 건강정보는 챗봇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헬스 어드바이저 모델을 구현한다. 이 구현을 통하여 향후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 빅데이터 기반의 식품 가격 정보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ood Pric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Public Big Data)

  • 임종태;이현병;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0-17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이슈가 되며 빅데이터를 이용한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중에서도 가장 가치 있는 데이터로 여겨지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 빅데이터 기반의 식품 가격 정보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수집되는 식품 가격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에 따라 분류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식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가까운 미래의 식품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기술 시장동향 예측 (Forecasting Market trends of technologies using Bigdata)

  • 최미선;조용확;김진화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21-28
    • /
    • 2023
  • 오늘날 빅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개인, 기업, 국가 등에서 SNS 데이터를 포함해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 시장 동향 예측연구는 전문가에 의존적이거나 특허나 문헌 연구 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객관적인 기술 예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데이터로 의사결정나무 분석, 시각화 분석, 백분율 분석을 통해 미래 기술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백분율 분석은 다른 분석 결과에 비해 긍정적인 기술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었고, 시각화 분석은 다른 분석 결과에 비해 부정적인 기술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도 의미 있는 예측은 가능하였다.

동적 분산병렬 하둡시스템 및 분산추론기에 응용한 서버가상화 빅데이터 플랫폼 (An elastic distributed parallel Hadoop system for bigdata platform and distributed inference engines)

  • 송동호;신지애;인연진;이완곤;이강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1129-1139
    • /
    • 2015
  • 시멘틱 웹 기술인 RDF 트리플로 표현된 지식을 추론 과정을 거치면 새로운 트리플들이 생성되어 나온다. 초기 입력된 수억개의 트리플로 구성된 빅데이터와 추가로 생성된 트리플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의응답과 같은 다양한 응용시스템이 만들어 진다. 이 추론기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해 진다. 이 추가 컴퓨팅 리소스는 하부 클라우드 컴퓨팅의 리소스 풀로부터 공급받아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둡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지식의 크기에 따라 런타임에 동적으로 서버 컴퓨팅 노드를 증감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상부는 응용계층이며, 중간부는 트리플들에 대한 분산병렬추론과 하부는 탄력적 하둡시스템 및 가상화 서버로 구성되는 계층적 모델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의 알고리즘과 시험성능의 결과를 분석한다. 하둡 상에 기 개발된 풍부한 응용소프트웨어들은 이 탄력적 하둡 시스템 상에서 수정 없이 보다 빨리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프 구조를 갖는 서지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온라인 탐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ing Graphic Interface for Efficient Online Searching and Analysis of Graph-Structured Bibliographic Big Data)

  • 유영석;박범준;조선화;이수안;김진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7-88
    • /
    • 2020
  • 최근 다양한 실세계의 복잡한 관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DBLP와 같은 컴퓨터 분야 문헌 데이터 시스템은 논문의 저자, 그리고 논문과 논문들이 서로 인용 관계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그래프 데이터이다. 그래프 데이터는 저장 구조 및 표현이 매우 복잡하므로, 문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 그리고 시각화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빅데이터를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즉 EEUM을 개발하였다. EEUM은 그래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연결된 그래프 구조에 따라 문헌 데이터를 브라우징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문헌 빅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EEUM을 DBLP가 제공하는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검색, 탐색 및 분석하는 할 수 있음을 시연한다. EEUM을 이용하여 모든 연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나 논문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여러 저자와 논문 사이의 모든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등 복잡한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의 검색 및 분석 도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팬데믹 전후 공공자전거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 비교: 서울시 사례 연구 (Comparison of Micro Mobility Patterns of Public Bicycle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 Case Study in Seoul)

  • 조재희;백가은;서일정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5-244
    • /
    • 2022
  •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현상이 사람들의 이동성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019년과 2021년 데이터를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 비교·분석하였다.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데이터마트를 만들었다. 주행방향유형 차원과 대여소유형 차원을 추가하였고, 파생변수(대당 회전율과 이용속도)를 생성하여 두 기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 평균 이용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평균 이용거리와 평균 이용속도는 감소하였다. 생활 리듬이 다소 느려진 현상이 따릉이 이동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평일의 경우 코로나 이전에도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많은 임대가 일어났으나, 코로나 이후에 급증하였다. 감염을 염려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마이크로 모빌리티 수단으로 마을버스보다 따릉이를 선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제안된 데이터마트 기반 시각화 및 분석 결과는 공공자전거 운영과 정책 개발에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데이터와 공공자전거 데이터를 병합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전거를 이용한 사람이 여러 장소에서 보인 행동 패턴 등을 다양하게 살펴본다면, 관련 연구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빅데이터 융합 기반 범죄예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성남시 사례 분석을 통해 - (Exploratory Study on Crime Prevention based on Bigdata Convergence - Through Case Studies of Seongnam City -)

  • 최민제;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25-133
    • /
    • 2016
  • 최근 들어 '뭇지마 범죄' 등 각종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범죄 예방 노력과 이에 관한 연구 등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다른 접근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막대그래프와 버블차드 및 버블차드를 활용한 시각화와 연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여러 변수와 범죄와의 관계 분석을 위해 성남시, 사이버경찰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CTV의 수는 범죄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나 보안등의 수는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대별로, 요일별로 다른 유형의 범죄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외국인의 증가도 범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범죄율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대학생 학자금 대출 현황 분석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Student Loans Based on Bigdata)

  • 김정준;장성준;이용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29-238
    • /
    • 2019
  •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제도가 시행되기 전에는 은행 등 금융회사를 통해 학자금 대출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지만, 한국장학재단 설립된 이후는 재단이 직접 학자금을 대출함으로써 정부의 역할은 강화되었다. 하지만, 학자금 대출의 상환실적이 저조하여 향후 학자금 대출의 상당한 부실과 정부의 재정적 부담이 우려되고 있다. 더구나 학자금 대출은 저소득층 지원을 위하여 대학을 졸업한 이후에도 상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무자의 향후 취업률과 소득수준이 개선되지 않는 한 학자금 대출의 상환율이 개선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기반 시스템에서 수집, 저장, 처리, 분석 단계를 거쳐 학자금 대출의 상환 금액을 최종 시각화 그래프를 표현하였다. 이는 학자금 대출에 대한 금액을 눈으로 확인하여 현재 학자금 대출제도에 대한 부담을 줄일 방안을 다양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불용어 시소러스를 이용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후처리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structured text data Post-processing Methodology using Stopword Thesaurus)

  • 이원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35-940
    • /
    • 2023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웹 스크래핑으로 수집된 대부분의 텍스트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대용량이고 비정형이기 때문에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정제과정이 요구된다. 그 과정은 휴리스틱 전처리 정제단계와 후처리 머시인 정제단계를 통해서 분석이 가능한 정형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 머시인 정제과정에서 한국어 딕셔너리와 불용어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워드크라우드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을 위해 어휘들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불용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불용어 시소러스" 적용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R의 워드클라우드 기법으로 기존의 "불용어 딕셔너리"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사용자 정의 불용어 시소러스" 기법을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제안된 정제방법의 장단점을 비교 검증하여 제시하고 제안된 방법론의 실무적용에 대한 효용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