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Data Platform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3초

새로운 ICT 기반 서비스에 대한 연구 : N-디바이스 스마트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 ICT baced Services : Focused on N-Device Smart Education Services)

  • 강상욱;박승범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1-175
    • /
    • 2012
  • A novel concept of ICT based service, which is called N-device service,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e form of N-device smart education services. The N-device service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N-screen servi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devices a user is using for a specific service at the same time. A N-device service consists of several smart devices which are different in size, software and hardware platform, mobility, manufacturer and the like by ful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device. The major and unique features of N-device services are analyzed and depicted in a strict way. Those are shared role for each device, service by configurable device, one sensor multiple use, real-time data sharing, role shifting and new market creation. It is turned out that the N-device service is more human centric compared with existing ICT based services and can give richer digital experience to users because non-existent services become possible with the new concept. However, there exist several barriers to be implemented and commercialized in the real world. Those include high development cost and time, small market and different application platforms of devices. These barriers can be overcome by technical advances and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The smart education is very prominent area, in which the novel concept can be applied with high priority becaus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boost up new educational services with big budget and these are acceptable by enthusiastic Korean parents and students. That's why the N-device service is implemented in the education area, which is called as "livessam(live teacher)," with four smart devices, IPTV, tablet PC, PC and smart phone. By providing both detailed service scenario and techniques, we shows that the novel education service is technically feasible and acceptable by teachers and students.

안드로이드 서비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온톨로지 적용 기법 (A Technique of Applying Ontology for Service Customization of Android)

  • 조은숙;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07-2712
    • /
    • 2012
  • 기존의 데스크 탑 기반의 컴퓨팅 환경이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모바일 컴퓨팅과 공통적인 기능과 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 환경이 이기종 (Heterogeneous) 분산 환경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동적 서비스의 조합이나 변경이 요구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이러한 환경 하에서 서비스들의 조합이나 변경을 동적으로 지원해주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서비스들을 동적으로 커스터마이제이션(Customization)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서비스의 공유 및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온톨로지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을 회의 공지 어플리케이션에 사례 연구로 적용하였고, 적용 결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메일 서비스, SMS 문자 서비스, 트위터 서비스 등의 여러 다양한 서비스로의 커스터마이제이션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endence of Mobile Instant Messenger)

  • 김재전;이윤희;노희옥;박경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1호
    • /
    • pp.225-246
    • /
    • 2014
  • With the recent establishment of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paradigm shift to a smart society, the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s become widespread. Thus, the trend is gradually shifting from using Web-based Instant Messenger to using Mobile-based Instant Messenger. Mobile Instant Messenger refers to a service that allows instant messaging as well as data sending and rece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exclusive application programs(mobile Apps), which can be used in portable devices-such as smart phones-with wireless Internet access. Korea's portal sites,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nd even big companies have all rushed into the MIM market to join the competition. The reason so many companies are showing interest in the MIM business is because it is rising as a core platform to substitute portal sites in the mobile society, and MIM is perceived as the best means to attract and secure users. The intention to reuse or use continually wa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a dominant position amidst such fierce competition, and consequently, most research thus far has reflected such thought. However, the frequent or long-term use of a system alone cannot indicate the definite success of the system, nor guarantee its dominant position in the market. On the contrary, MIM dependence, which goes beyond simple repetitive use and indicates a state where users actually or emotionally depend on a specific system, can better explain the user action.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depend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lively message, concise message, message responsiveness, and social belonging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Message responsiveness, Link, and social belonging significantly affected flow. Flow significantly affected MIM dependence, and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affect MIM dependence. This study has proven that lively message, concise message, message responsiveness, Link, social belonging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important antecedents and mediating factors of MIM dependence.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ains the overall process of MIM dependence, and expands on the variety and scope of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MIM-related studies.

4 산업혁명 시대의 한국영화기술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ilm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임규건;김무정;여등승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5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cinematograph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sent future development plan. First, in order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supporting policies of various countries and film technology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Each country is expanding the support for film technology including tax credits. Through the analysis of patents and research papers, recent issues have shown that Virtual Reality, HM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re applied to film technology. Next, the survey results of Korean film technology level for filmmakers were 70% for production, 47.5% for distribution, and 60.3% for screening comparing to the level of the leading country. The gap was caused by the lack of fund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sufficient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film makers revealed the need to support filmmaking that combines technologies such as localized film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echnology sharing platform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the discussions of technology, science and academic expert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As a result, film technology R&D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develop technologies specific to movies. Advanced technology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film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to systematically equip the infrastructures such a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at links standard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Korean film technology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2022 film technology power nation will be realized.

딥러닝을 이용한 원격탐사 영상분석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the Remote Sensing Image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 김형우;김민호;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819-834
    • /
    • 2022
  • 인공지능 기법들은 특히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 객체탐지(object detection), 영상분할(image segmentation)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은 최근 컴퓨팅 파워의 증대와 함께 깊고 두터운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지고 보다 효율적인 활성함수(activation function)와 옵티마이저(optimizer)를 활용한 특징맵(feature map)의 생성을 통해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도출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다양한 원격탐사 분야에서 활용성이 확대되고 있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법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반 모델 및 Transformer 기반 모델에 대한 기술동향 및 사례연구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에서 이들 기법의 활용방안 및 발전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원격탐사 기반의 재난 상황 대응을 위해서는 위성영상의 적시성 확보와 실시간 딥러닝 처리, 그리고 위성, 드론 및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영상이 함께 활용되는 영상 빅데이터 플랫폼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advance the student management system for innovative university education)

  • 김민수;민현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9-94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새로운 산업과 사회의 빠른 변화로 인한 교육적 수요의 변화와 급속히 감소하는 학령인구로 인한 생존경쟁에서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즉 혁신적인 대학교육을 위한 고도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대학 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적응진단을 통해 학생상담 및 지도 관리를 위한 시스템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과정 연계형 통합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학전공 분야를 바탕으로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객 인터렉티브 강화를 위한 지니뮤직의 전략 도입과 현황분석 : SWOT과 TOWS 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Genie Music's Strategy for Strengthening Customer Interactive : Focus on SWOT and TOWS Analysis)

  • 권보아;박상현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87-99
    • /
    • 2021
  • 코로나 19와 AI, 빅데이터, IT기술 발달 등과 같은 여파로 최근 '개인화 기술' 중요성이 부각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곧 개인화를 넘어 '초개인화 시대'에 도래하고 있다. 따라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측면에서는 개인 취향이 존중되는 서비스 공급 트랜드를 형성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외부 시장 환경을 고려, 냉철한 분석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수립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본 논문은 지니뮤직 고객 인터렉티브 전략에 기초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업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고객과 함께 움직이는 '라이브음악서비스플랫폼'을 기반으로 고객 인터렉티브 전략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WOT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건을 살펴보았다. 이후 TOWS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기업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민들의 소통 플랫폼으로서 서울시 지하철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합한 콘텐츠 및 인터랙션 연구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Digital Signage at Seoul Subway Stations as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Citizens)

  • 강민정;윤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37-350
    • /
    • 2017
  • 인터랙션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사이니지가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가 되면서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시민들의 소통에 적합한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기존에 공공장소에서 소통되는 콘텐츠 유형과 참여방식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서울시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 방향을 밝히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하철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은 연령대 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20대는 주로 개인적인 글, 40대는 주로 공공의 주제, 그리고 30대는 앞의 두 연령대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들을 모두 소통하기 원하였다. 소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읽기/쓰기 모드에 따라 나눠서 질문한 결과 두 가지 모드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대체로 유사했지만 일상적인 글 또는 소원과 같은 개인 관련된 글은 읽기에서는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표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조사한 결과 시민들은 댓글 보다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표현 하고자 하였고 스마트폰 보다는 스크린에서 직접 터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통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역, 나이, 주제에 따라 분석이 되어 시민들의 생각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본다.

Exposure to Particles and Nitrogen Dioxide Among Workers in the Stockholm Underground Train System

  • Plato, N.;Bigert, C.;Larsson, B.M.;Alderling, M.;Svartengren, M.;Gustavsson, P.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3호
    • /
    • pp.377-383
    • /
    • 2019
  • Objectives: Exposure to fine particles in urban air has been associated with a number of negative health effects. High levels of fine particles have been detected at underground stations in big cities. We investigated the exposure conditions in four occupational groups in the Stockholm underground train system to identify high-exposed groups and study variations in exposure. Methods: $PM_1$ and $PM_{2.5}$ were measured during three full work shifts on 44 underground workers. Fluctuations in exposure were monitored by a real-time particle monitoring instrument, pDR, DataRAM. Qualitative analysis of particle content was perform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Nitrogen dioxide was measured using passive monitors. Results: For all underground workers, the geometric mean (GM) of $PM_1$ was $18{\mu}g/m^3$ and of $PM_{2.5}$ was $37{\mu}g/m^3$. The particle exposure was highest for cleaners/platform workers, and the GM of $PM_1$ was $31.6{\mu}g/m^3$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1.6] and of $PM_{2.5}$ was $76.5{\mu}g/m^3$ (GSD, 1.3); the particle exposure was lowest for ticket sellers, and the GM of $PM_1$ was $4.9{\mu}g/m^3$ (GSD, 2.1) and of $PM_{2.5}$ was $9.3{\mu}g/m^3$ (GSD, 1.5). The $PM_1$ and $PM_{2.5}$ levels were five times higher in the underground system than at the street level, and the particles in the underground had high iron content. The train driver's nitrogen dioxide exposure level was $64.1{\mu}g/m^3$ (GSD, 1.5). Conclusions: Cleaners and other platform work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ore exposed to particles than train drivers or ticket sellers. Particle concentrations ($PM_{2.5}$) in the Stockholm underground system were within the same range as in the New York underground system but were much lower than in several older underground systems around the world.

소셜미디어 선거캠페인 연구 동향과 쟁점 (A Critical Review on Social Media Campaign Studies: Trends and Issues)

  • 장우영
    • 정보화정책
    • /
    • 제26권1호
    • /
    • pp.3-24
    • /
    • 2019
  •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캠페인 연구의 동향과 쟁점을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소셜미디어 캠페인 전략의 양상, 소셜미디어를 규율하는 제도적 환경 및 소셜미디어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는 웹 확산 이래 웹블로그를 거쳐 소셜미디어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선거캠페인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논제이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캠페인 전략은 대표중심론 대시민중심론을 축으로 쟁점이 제기되어왔으며, 제도적 환경은 공정선거를 위한 동원형 규제론 대 시민참여를 위한 정보기본권 강화가 핵심 논제로 고찰되었다. 이어서 이 연구는 세 주제 중 가장 분석이 취약한 정치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논구하기 위하여 20대 총선을 사례로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정당)들의 트위터 캠페인 참가 동향, 당파적 동원과 유권자 반응 및 선거 결과에 대한 플랫폼 효과'를 경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대 총선에 비해서 트위터 캠페인 참가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트위터 캠페인은 자원동원능력에서 우위에 있는 양당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트위터가 당파적 공간이라는 점이 명료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수도권의 진보 후보들이 훨씬 더 크게 지지층을 동원하였다. 마지막으로 트위터 캠페인은 득표율 상승과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팔로어수와 활동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선거운동에서 네트워킹과 사회자본을 촉진하는 기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