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ig Data Governanc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물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모델 (Big Data Governance Model for Smart Water Management)

  • 최영환;조완섭;이경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
    • /
    • 2018
  • 스마트 물관리 분야에서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요구가 급증하면서 빅데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거버넌스)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빅데이터 거버넌스는 데이터의 품질보장,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수명관리, 데이터 전담조직을 통한 데이터 소유 및 관리권의 명확화 등의 데이터 관리를 평가하고(Evaluation), 지시하며(Direction), 모니터링(Monitoring) 하는 체계적인 관리활동을 의미한다. 빅데이터 거버넌스가 확립되지 못하면 중요한 의사결정에 품질이 낮은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개인 프라이버시 관련 데이터로 인해 빅브라더의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고, 폭증하는 데이터의 수명관리 소홀로 인해 IT 비용이 급증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가 완비되더라도 데이터 관련 문제를 전담하고 책임지는 조직과 인력이 없다면 빅데이터 효과는 지속되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물관리를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모델을 제시하고, 실제 물관리 업무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효과적인 사이버공간 작전수행을 위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모델 (Big Data Governance Model for Effective Operation in Cyberspace)

  • 장원구;이경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1
    • /
    • 2019
  • 초연결,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이 태동하면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이 눈앞에 다가온 가운데 사이버공간에서는 인간 생활에 대한 활동기록과 컴퓨터, 정보통신기기 뿐만아니라 사물인터넷과의 통신기록까지 막대한 양의 데이터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3Vs로 대변되는 빅데이터는 국방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군사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우리의 사이버공간 작전 임무를 구분하고 사이버공간에서 수집될 수 있는 빅데이터 유형을 분류한 후 빅데이터 거버넌스 이슈와 통합하여 빅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사례를 통하여 그 효용성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국방분야에서 추진되는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기여한다.

  • PDF

Facilitating Conditions in Adopting Big Data Analytics at Medical Aid Organizations in South Africa

  • VELA, Junior Vela;SUBRAMANIAM, Prabhakar Rontala;OFUSORI, Lizzy Oluwatoyin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1호
    • /
    • pp.1-1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measures the influence of facilitating conditions on employees' attitudes towards the adoption of big data analytics by selected medical aid organizations in Durban. In the health care sector,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big data such as patients' medical records, medical examination results, and pharmacy prescriptions. Several organizations take the benefits of big dat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survey research strategy was conducted on some selected medical aid organizations. A non-probability sampling and the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were adop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version 23 of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ilitating condition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attitudes in the adoption of big data analytic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and scientific contributions of the facilitating conditions issues regarding employee attitudes toward big data analytics ado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add to the body of knowledge in this field and raise awareness, which will spur further research,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The Data Sharing Economy and Open Governance of Big Data as Public Good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1호
    • /
    • pp.87-96
    • /
    • 2021
  • Data-driven markets depend on access to data as a resource for products and services. Since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drawn from data increases with the available amount and quality of the data, businesses involved in the data economy have a great interest in accessing data from other market players and sharing data with other stakeholders. Despite the growing need for access to data and evidence of th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data access and sharing remains below its potential. Individuals, businesses, and governments often face barriers to data access, which may be compounded by the reluctance to share, including within and across sector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paper focuses on finding possible solutions for a better data-sharing economy. This paper 1) Discuss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open data and the data-sharing economy, limitations of private sector data, and issues with open government data. 2) Introduces open government data initiatives and open governance networks initiatives. 3) Suggests possible solutions, including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the legal and policy frameworks, and the technical standards for open data with proposing an open data governance model for the data-sharing economy.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데이터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Data Governance Research Trends Based on Text Mining: Based on the publication of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9 to 2021)

  • 정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33-145
    • /
    • 2022
  • 연구 목적은 데이터 거버넌스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데이터 거버넌스 개념과 전략이 제시되기 시작한 2009년부터 2021년까지의 논문 15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였고, 주요 방법은 빈도분석, 워트클라우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최빈 키워드는 정보, 빅데이터, 관리, 정책, 정부, 법률, 스마트가 확인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데이터 산업 정책, 데이터 거버넌스 성과, 국방, 거버넌스, 데이터 공공 등의 주제로 연관된 연구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4개 토픽은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 "데이터 거버넌스 플랫폼", "데이터 거버넌스 관련 법률", "데이터 거버넌스 구현"이며, 이중 "데이터 거버넌스 플랫폼" 관련 연구는 증가 추세를 보였고, "데이터 거버넌스 구현"은 축소되고 있는 경향이었다. 본 연구는 데이터 거버넌스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데이터 거버넌스는 조직 차원의 데이터 경영 및 데이터 통합 정책, 관련 기술 등 관련 분야와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영역 확대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데이터 거버넌스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 대상을 확대하고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데이터 기반 미래 산업이 요구되는 산업 분야에서의 연구 방향과 정책 방향 수립 관련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공공플랫폼 구축사업의 거버넌스: 경기도 배달플랫폼 '배달특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A Public Platform Project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Special Delivery')

  • 서정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5-28
    • /
    • 2022
  • Recently, government agencies are actively adopting the platform model as a means of public policy. However, existing studies on the public platform are minimal and have focused on user experiences or the possibility of public usage of the platform model. Now the research concerning building governance structure and utilizing network effects of the platform after adopting the platform model in the public sector is keenly required. This study intended to ignite academic dialogue on the governance of public platforms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focused on a case of the 'Special delivery,' a public delivery app established by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latform and its governance struc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s releases, policy reports, and news articl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rame of Hagui's platform design factors and Ansell & Gash's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The results of the public platform analyses showed 1) incompleteness in the value trade-off accounting, which was designed for platform business based on general cost-benefit analysis, and 2) a closed governance structure that limits direct participation of diverse user groups(i.e., service provider, customer) in order to enhance providers' utility by preventing customers' excessive onlin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designing the strategy for accounting for value trade-offs and functioning governance structure for public platforms.

빅데이터와 웨어러블 컴퓨팅의 융합정보화 전략 (Convergence-Information Strategy between Big Data and Wearable Computing)

  • 이태규;신성윤;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8-220
    • /
    • 2014
  • 빅데이터가 새로운 가치창출과 문제해결의 핵심 엔진이 되는 데이터 중심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정보화 추진 방향과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와 IT의 새로운 역할, 오픈 플랫폼화와 빅데이터, 빅데이터의 잠재력과 가능성 등을 연계해서 논의함으로써 빅데이터가 새로운 가치창출의 핵심 엔진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시대에 대응해서 국가 차원의 성공적인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략방향의 지향점, 초기 촉진책, 지속 가능 메커니즘이라는 3가지 전략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각각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빅데이터에 관한 국가 차원의 지향점으로서 '데이터 분석기반 창조 강국'을 국가 차원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의 촉진제로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을 지속 가능한 성공 메커니즘 창출의 대표적인 추진 전략으로서 '빅데이터 협력 거버넌스' 전략을 각각 식별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빅데이터를 위한 정책결정 설계 (Modeling of Policy Making for Big Data)

  • 이상원;박승범;김성현;채성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281-282
    • /
    • 2015
  • Data, by itself, will not reveal the optimal policy choice. Nor will data alone tell us what problems to focus on or how to direct resources. It should be recognized upfront that data-driven policy making cannot provide all the answers to the challenges of good governance. Policy decisions always depend on a combination of facts, analysis, judgment, and values. In this paper, we research on factors to design an organizational policy making for Big Data.

  • PDF

A Study on Policy and System Improvement Plan of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in Korea

  • Park, Joon Min;Yu, Seon Cheol;Ahn, Jong Wook;Shin, Dong B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9-589
    • /
    • 2016
  • This research focuses on accomplishing analysis problems and issues by examining the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geo-spatial big data which have recently arisen, and suggests political and systemic improvement plan for service activation. To do this, problems and probable issues concerning geo-spatial big data service activation should be analyz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cedent studies, policies and planning, pilot projects, the current legislative situation regarding geo-spatial big data, both domestic and abroad. Therefore, eight political and systematical improvement plan proposals are suggested for geo-spatial big data service activation: legislative-related issues regarding geo-spatial big data, establishing an exclusive organization in charge of geospatial big data, setting up systems for cooperative governance, establishing subsequent systems, preparing non-identifying standard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measures for activating civil information, data standardization on geo-spatial big data analysis, developing analysis techniques for geo-spatial big data, etc. Consistent governmental problem-solving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to make these suggestions effectively proceed.

빅데이터 품질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ig Data Quality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 이충형;김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45-256
    • /
    • 2021
  • 4차산업혁명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고객구매 성향의 다양함, 복잡함은 산업 전체적으로 데이터의 양적 중가를 가져와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빅데이터 시대는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여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것이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빅데이터 연구들은 기술적 이슈와 미래 잠재 가치 중심이었다. 반면 기업이 보유한 내.외부 고객 빅데이터의 품질 및 활용 수준관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내.외부 빅데이터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측면와 품질경영 측면으로 인식하여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품질관리, 빅데이터 활용 및 수준관리가 기업의 업무 효율화와 기업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204명의 임직원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층의 지원, 개인 혁신성, 경영환경변화, 빅데이터 품질활용 지표관리, 빅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 기업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