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idus facto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4초

모유수유와 분유수유에 따른 영아 장내 미생물 군집의 특징 (Comparison of gut microbial diversity of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 김경순;신정;심지수;연수지;이평안;정문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8-273
    • /
    • 2019
  • 장 내에 존재하는 microbiome은 생활환경, 나이와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논문에서는 모유를 섭취한 영아와 분유를 섭취한 영아들에 대한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미생물의 군집변화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80개의 영아 분변을 통해 미생물 군집변화를 확인하였다. 모유그룹(BIG)과 분유그룹(FIG-A, FIG-B, FIG-C)간의 장내세균의 군집을 비교한 결과 BIG에서는 Actinobacteria 문이 전체 군집의 $74.22{\pm}3.48%$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분유그룹의 Actinobacteria 문을 비교하였을 때 FIG-A는 $73.46{\pm}4.12%$였지만 FIG-B와 FIG-C는 $66.52{\pm}5.80%$$68.88{\pm}4.33%$로 BIG와 FIG-A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 속(genus) 수준에서 살펴보면 Bifidobacterium이 전체 미생물군집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BIG가 $73.09{\pm}2.31%$로 가장 높았고 FIG-A, FIG-B 및 FIG-C는 각각 $72.25{\pm}4.93%$, $63.81{\pm}6.05%$$67.42{\pm}5.36%$를 차지하였다. Bifidobacterium 종의 경우 모든 그룹에서 Bifidobacterium longum이 우점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BIG와 FIG-A가 전체 군집의 $68.77{\pm}6.07%$$66.85{\pm}5.80%$를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FIG-B와 FIG-C는 각각 $58.94{\pm}6.20%$$61.86{\pm}5.31%$로 BIG와 FIG-A보다 낮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FIG-A가 섭취한 분유는 Bifidobacterium의 선택적 증식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갈락토올리고당, 갈락토실락토스, 시너지올리고당, 비피도올리고 및 장내균총개선소재를 혼합한 5-Bifidus factor 복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5-Bifidus factor라는 유산균에 대한 증식능이 우수한 프리바이오틱스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모유를 섭취한 영아의 장내에 존재하는 Bifidobacterium 속의 군집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섭취가 장내세균 및 세균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Growth Respons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acterial Metabolism)

  • Ahn, Y.J.;Kim, M.J.;Kawamura, T.;Yamamoto, T.;Fujisawa, T.;Mitsuoka, T.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53-264
    • /
    • 1990
  • The growth responses of a variety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to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five other oriental medicinal Araliaceae were elraluattd in vitro and in vivo. The extracts enhanced the growth of Brifidobnnerilrm breve and B. longlim in media with or without carbon sources, suggesting that bifidus factors) might be involved in the phenomenon. This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water extract of P. ginseng, the growth of 27 bifidobacteria strains belonging to B adolescentis, B. longum, B. brim and B. infantis being greatly stimurated, whereas seven B. bifidum strains and other bacteria such as clostridia and Escherichin soli had little or no ability to utilise it for growth. Methanol extracts of p. ginseng were found to selectively inhibit growth of various clostridia including bifidobacteria. Paraputrificum, bu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on other bacteria including bifidobacteria.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intake (600 mg/day for two weeks) on the faecal microflora, pH,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putrefactive products, and -glucuronidase, -glucosidase and nitroreductase activities, and on the blood component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ammonia) were investigated using seven healthy human volunteers. The total concentration of faecal microflora including Bifidnkaderiifm app. during the period of ginseng extract intake %twas significantly unaffected from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control peroids. Howev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bjects having C. perfringe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aecal pH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suggesting that the intake might increase the activity of Bifidobncterium spry. Other biochemical properties in faec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mmonia and triglycerid in blood were decreased with ginseng extract intake. These result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 ginseng as an adaptogen.

  • PDF

Human Milk Oligosaccharides as a Missing Piece in Combating Nutritional Issues during Exclusive Breastfeeding

  • Sudarma, Verawati;Hegar, Badriul;Hidayat, Adi;Agustina, Rin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6호
    • /
    • pp.501-509
    • /
    • 2021
  • Extensive studies have shown that breast milk is the best source of nutrition for infants, especially during the first six months, because it fulfills almost all of their nutritional needs. Among the many functional building blocks in breast milk, 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 have been receiving more attention recently. Furthermore, it is the third most common group of compounds in human milk, and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health benefits it provides for infants, including improved nutritional status. HMOs were previously known as the 'bifidus factor' due to their 'bifidogenic' or prebiotic effects, which enabled the nourishment of the gastrointestinal microbiota. Healthy gastrointestinal microbiota are intestinal health substrates that increase nutrient absorption and reduce the incidence of diarrhea. In addition, HMOs, directly and indirectly, protect infants against infections and strengthen their immune system, leading to a positive energy balance and promoting normal growth. Non-modifiable factors, such as genetics, and modifiable factors (e.g., maternal health, diet, nutritional status, environment) can influence the HMO profile.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how HMOs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utritional issues during exclusive breastfeeding.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Growth Respons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acterial Metabolism

  • Ahn, Y.J.;Kim, M.J.;Kawamura, T.;Yamamoto, T.;Fujisawa, T.;Mitsuoka, T.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rean Ginseng, 1990, Seoul, Korea
    • /
    • pp.111-122
    • /
    • 1990
  • The growth responses of a variety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to extracts of Pun(1.vKy'n.ieny and five other oriental medicinal Araliaceae were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extracts enhanced the growth of Bifidobncterilim breve and B. longum in Media with or without carbon sources, suggesting the bifid factor (5) might be involved in the phenomenon. This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water extract of p. ginseng, the growth of 27 bifidobacteria strains belonging to B. ndolexcentium, H. longlrm, and 1. breve and B. iniuntis being greatly stimurated, whereas seven B. bifidum strains and other bacteria such as clostridia and 5.fcherirhia coli had little or no ability to utilizes it (or growth. Methanol extracts of p, ginseng were found to selectively inhibit growth of various clostridia including C. perfringens and C. Paraputrificum, bu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on other bacteria including bifidobacteria.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intake(600 mg/day for two weeks) on the fecal microflora, pH,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putrefactive products, and -glucuronidase, -glucosidase and nitroreductase activities, and on the blood component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ammonia) were investigated using seven healthy human volunteers. The total concentration of fecal microflora including Bri'idobucterilim app. during the period of ginseng extract intake was significantly unaffected from the proceeding and sub sequent control periods. Howev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bjects having C. perfringe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ecal pH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suggesting that the intake might increase the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Other biochemical properties in fac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mmonia and triglycerid in blood were decreased with ginseng extract intake. These result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 ginseng as an adaptogen.

  • PDF

Bifidobacterium sp. Int-57이 생산하는 ${\beta}-xylosidase$의 생산특성 (Production of ${\beta}-xylosidase$ from Bifidobacterium sp. Int-57)

  • 강동현;이계호;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9-93
    • /
    • 1993
  • 한국인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Bifidobacterium sp. Int-57은 다른 장내세균에 비해 ${\beta}-xylosidase$의 높은 역가를 보였으며, xylooligomer의 bifidogenic factor의 유용성을 고려하였을 때 효소생산에 초점을 둔 결과 최적 탄소원으로는 xylose였는데, 일반적으로 최종생산물은 feedback inhibition, feedback repression 등으로 효소 생산을 억제하는 일반 이론과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xylose는 1.1%일 때 가장 높은 효소역가를 보였다. 질소원으로서는 yeast extract였고, 그 농도가 0.04%일 때, 무기염류 면에서는 $CoCl_2$였고, 농도가 0.0003%일 때 ${\beta}-xylosidase$의 최대 생산을 보였다.

  • PDF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2. 효소적 분석 -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2. Enzymatic Analysis -)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0-158
    • /
    • 1998
  • 한국산 맥주 3종류, 일본산 맥주 21종류의 한계 덱스트린을 에탄올 침전법으로 분리하였다. 한계 덱스트린의 양은 평균 1.1%로 전체 당 3.15%의 34.5%를 나타냈다. FPLC 분석 결과 한계 덱스트린은 평균 글루코오스 잔기 25개 정도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1H-NMR 분석으로 한계 덱스트린의 $\alpha$-1, 4-결합에 대한 $\alpha$-1, 6-결합의 비율은 평균 1:0.183을 나타냈다. 한계 덱스트린을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로코시다아제로 5시간 가수분해 하여 소화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57.22% 가수분해 되었다. 그 중 한국산 맥주의 한계 덱스트린이 가장 높은 소화성 70.38%를 나타냈다. 아밀라아제로 소화된 부분과 에탄올 침전법으로 상징액으로 제거된 작은 당을 합하면 평균 86%가 소화성 당으로, 14%가 비피두스균 증식 인자로 평가된다.

  • PDF

콩과식물 종실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반응 (Growth Responses of Lactic Acid Bacteria to Leguminous Seed Extracts)

  • 이회선;안용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67-171
    • /
    • 1997
  • 26종 콩과식물 종실의 메탄올 조추출물의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longun, B. bifidum, Lactobacillus casei에 대한 생육촉진 및 생육억제 활성을 탄소원 배지와 비탄소원 배지를 이용하여 in vitro 혐기조건하에서 각각 분광학적 및 여지확산법으로 검정한 결과 생육반응은 공시세균과 콩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콩과식물 종실중, 대두(밝은 청색 종실)와 땅콩 (짙은 갈색 종실) 추출물은 유산균의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로 부터 이들 콩과식물 종실에 탄소원과 비탄소원의 비피더스 인자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 공시 유산균 중에서 L. casei에서 가장 현저한 생육측진 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콩과식물 종실시료는 상기 유산균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았다.

  • PDF

젖당(Lactose)으로부터 락툴로오스(Lactulose) 생산을 위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Lactulose Production from Lactose)

  • 이자현;유하영;정다운;박찬호;송윤석;박철환;김승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07-412
    • /
    • 2014
  • 락툴로오스는 식품과 제약분야에서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식품분야에서는 정장작용을 위한 비피더스 인자, 제약분야에서는 주로 변비, 간성뇌증, 간질환의 합병증 그리고 혈액 내 포도당(glucose)과 인슐린 수치의 유지 등을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락툴로오스 합성은 크게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화학적 방법에서는 젖당(lactose)의 알칼리 이성질체화법에 의하여 합성되지만, 생성물의 분해 및 다양한 부반응에 의한 정제의 난점과 폐기물 관리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효소를 이용한 합성 방법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 베타-갈락토시다아제(${\beta}$-galactosidase)는 젖당의 가수분해물 생산이 가능하기에 유제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효소이며, 과당(fructose)으로 갈락토실(galactosyl) 잔기의 전달반응에 의하여 젖당으로부터 락툴로오스를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정제된 젖당은 매우 고가의 물질로써 락툴로오스를 합성하기에는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본 총설에서는 락툴로오스를 합성하기 위한 화학적, 생물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저가의 기질을 활용한 경제적인 락툴로오스 생산에 대한 연구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beta}-amylase$와 transglucosidase의 처리가 홍삼 extract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amylase$ and Transglucosidase on the Qualities of Red Ginseng Extract)

  • 김나미;이종수;이병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93-98
    • /
    • 1999
  • 홍삼 exoact를 첨가한 액상 제품에서의 침전 생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홍삼 exoact에 ${\beta}-amylase$와 transglucosidase를 처리한 후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소말토올리고당인 isomatose 가 $5.25\%$ 생성되었고 glucose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ginsenoside는 $Rb_1$$Rb_2$가 감소하였고 Rd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효소처리 한 홍삼 exDact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Bifdus속균과, Lactobacizlus속균과 같은 장내유용세균에 대한 증식효과가 있었으며 Bifdus속균은 Lactobacizlus속균보다 대체로 흥삼 extract 첨가에 의한 생육도가 낮았다. 효소처리한 홍삼 extract는 단맛과 신맛이 증가하였으나 홍삼 extrac의 좋지 않은 맛으로 평가되는 쓴맛과 떫은맛이 감소하여 향미가 개선되었다. 효소처리 한 홍삼 extract를 첨가하여 $pH\;3.0\~4.5$의 음료를 제조한 다음 $40^{\circ}C$에서 1개월간 저장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하여 침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pH 3.0에서는 효소처리 한 홍삼 extract첨가구에서 $17.7\%$, 무처리구에서 $30.3\%$의 침전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인삼 음료의 침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홍삼 exoact에 P-amylase와 transglucosidase를 처리하고 동시에 음료의 pH를 3.5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 PDF

강황을 첨가한 발효유의 발효특성과 면역조절 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Modulating of Fermented Milk with Curcuma longa L Powder)

  • 렌친핸드;손지윤;어르가말;백승희;이조윤;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5
  • 강황 (Curcuma longa L.)은 건강기능성 식품의 훌륭한 소재로 전통적인 약용식물이다. 강황의 주요성분인 안토시아닌계인 curcumin은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혼합유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강황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발효유의 발효특성은 대조군에 비해 강황 첨가군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현저히 빠르게 나타나 pH는 감소되었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우유단백질의 분해도 부분적으로 일어났고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높게 생성되었다. 기호도는 강황 특유의 쓴맛과 강한 향으로 인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강황 발효유 배양액을 처리한 RAW 264.7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염증성 싸이토카인으로 TNF-${\alpha}$와 IL-6는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NO의 생성은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황 첨가가 유산균의 성장을 촉진시켜 발효유 제조에 도움을 주고, 염증활성을 조절하므로 강황을 이용한 발효유, 음료 제품 및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