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ceps ancho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상완 이두근 장두의 관절내 부착부위와 상부 관절와 순 간의 드문 변형 - 증례보고 - (Rare Normal Variation Between Biceps Anchor and Superior Labrum - A Case Report -)

  • 김용주;정훈;하종경;이관희;이우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45-249
    • /
    • 2009
  • 목적: 견관절의 관절와 순 병변과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관절와 순 병변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버포드 병변 및 관절하순 공 등의 해부학적 변형 등은 항상 감별을 요하게 된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변형을SLAP병변으로 오인한 19세 여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소견 상 상완 이두근 장두가 상부 관절낭 및 극상근건에 부착되어 있는 소견이 관찰되었고, 이것이 SLAP 병변으로 오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이에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 전후 병변으로 진단되어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던 중 경험한 상부 관절와 순과 이두박근 장건의 부착부위 간의 드문 해부학적 정상 변형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이두근 장두 건 고정술시 강한 고정이 필요한가? (Is the Strong Fixation Necessary in Performing Biceps Tenodesis?)

  • 송현석;최우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48-153
    • /
    • 2012
  • 다양한 이두근 건고정술이 시행되고 있어서, 문헌들의 결과를 단순 비교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두근 장두의 건고정술은 첫째로, 시술을 관혈적 절개를 통하여 시행하는가 또는 관절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시행하는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이두건 자체를 고정하는 주변 조직에 따라서 연부 조직 건고정술과 골 고정술로 나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근위부와 원위부로 구분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건 고정술에 기구(간섭 나사, 봉합 나사, 비매듭 봉합 나사 등)를 사용하는 가에 따라서 구분해 볼 수 있다. 적절한 고정력이 어느 정도인지 밝혀지기까지는 단정적인 결론은 보류되어야 한다.

SLAP병변의 치료시 감별해야 할 상완 이두근 장두와 상부 관절와 순 간의 드문 변형 - 증례보고 -

  • 김용주;정훈;하종경;이관희;이우진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183-187
    • /
    • 2009
  • 견관절의 관절와순 병변과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Buford 병변 및 sublabral recess 또는 foramen 등의 해부학적 변형등은 관절와순 병변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항상 감별을 요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 전후 병변으로 진단되어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던 중 경험한 상부 관절와 순과 이두박근 장건의 부착부위 간의 드문 해부학적 정상 변형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humeral fracture during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a sequelae of prior biceps tenodesis

  • Serge Sultanem;Mohamad Y. Fares;Hasan Baydo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1호
    • /
    • pp.82-86
    • /
    • 2023
  •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humeral fractures are a rare but debilitating complication of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and can occur during multiple stages of the procedure. Prior biceps tenodesis has been found to reduce cortical humeral strength and predispose the patient to humeral fracture. We present a case of a 68-year-old female with a previous history of biceps tenodesis due to an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Months later, and after symptoms persisted, a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was performed. During the surgery and while performing final reduction, a fracture line was observed involving the hole used for the previous tenodesis procedure. The fracture was repaired, and the patient reported favorable outcomes. We report several factors that might have contributed to sustenance of this intraoperative fracture including prior biceps tenodesis, use of a press fit humeral stem, and the sex of the patient. Level of evidence: V.

견갑하근 건 파열과 동반된 상완 이두근 건 탈구 (Subscapularis Tendon Rupture with Medial Dislocation of Biceps Tendon - Case Report -)

  • 이병일;김동욱;김동진;민경대;나수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147-153
    • /
    • 1998
  • Biceps tendon dislocation combined with rupture of subscapularis tendon is not a common lesion and there has been few case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one fifty Six years old male patient who shows typical features on physical examination and roentgenographic finding. He was injured by direct trauma on his right shoulder in adducted and external rotated position. He showed positive findings on passive external rotation test and lift-off test. On MR!, the subscpaularis tendon was totally ruptured and the biceps tendon was dislocated to anteromedial aspect of the glenoid labrum, which was typical finding. On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the subscapularis tendon was totally ruptured from its humeral attachment and the biceps tendon was not seen in its normal anatomical position and it was dislocated antermedially to the glenoid labrum. We repaired the subscapularis tendon to humerus by use of suture anchor and the biceps tendon was relocated to its normal anatomical position in the intertubercular groove. On the post operative 6 months follow up, the patient shows improvements in his subjective symptoms and active range of motion.

  • PDF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and Biceps Long Head Tendon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 Sohn, Hoon-Sang;Baek, Duck In;Shon, Min 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3호
    • /
    • pp.127-133
    • /
    • 2014
  • Heterotopic ossification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is a rare lesion which remains a poorly described condition with little known of the exact mechanisms involved. Furthermore, its clinical importance remains still unclear.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studies present to data regarding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even with resultant isolated complete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Here we present a case of huge HO associated with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concomitant with tear of biceps long head tendon. After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the complete tear site of biceps long head tendon, mini-open excision of the ossification and subscapularis repair with suture anchor fixation were performed. The patient showed complete recovery of strength and function of the subscapularis at subsequent 24 months follow up.

A SLAP lesion associated with calcific tendinitis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at its origin

  • 김경천;이광진;신현대;변기용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63-163
    • /
    • 2008
  • Calcific tendinitis is a common condition with characteristic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Although we do not know which condition initiated the pathologic cascade, we present a rare case of calcific tendinitis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at its origin, associated with a SLAP lesion. The calcium deposit was removed and the SLAP lesion was repaired with a suture anchor arthroscopically.

  • PDF

재발성 내측 어깨 탈구를 보이는 개에서 본 앵커를 이용한 외과적 치료 증례 (Stabilization of Recurrent Medial Shoulder Luxation by Use of Three Bone Anchors in a Dog)

  • 윤헌영;노미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48
    • /
    • 2013
  • 수컷, 12년령, 2 kg의 푸들견이 오른쪽 앞다리 파행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병력 검사에서 교통사고 후 1년 동안 재발성 양측 어깨 관절 탈구를 보이다가 최근 들어 왼쪽 어깨는 유지가 잘 되고 오른쪽 어깨는 탈구가 심해진 것을 확인 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오른쪽 앞다리 파행을 확인 하였고, 방사선 검사에서 상완골 내측 탈구와 상완골과 견갑골의 겹침 현상을 확인 하였다. 수술 중 근위축, 상완 두갈래 근육 톤 감소, 어깨 관절 내측 인대 파열, 어깨 아래근 정지부 파열을 확인 하였다. 상완 두갈래근 변위술을 사용하였으나 수술 7일 후 재탈구를 확인 하였다. 견갑골 어깨 관절 부위에 장착한 두 개의 $2mm{\times}6mm$ 피질용 본 앵커와 상완골 어깨 관절 부위에 장착한 한 개의 $4mm{\times}6mm$ 해면질용 본 앵커를 이용 어깨 관절 내측 인대 복원술을 실시 하였다. 수술 직후 및 6주 후 방사선 검사에서 어깨 관절 탈구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수술 후 6개월 신체 검사에서 파행은 더 이상 관찰 되지 않았다.

상부 관절와 및 관절와 순의 해부학적 분석 (Anatomical Analysis of Superior Glenoid and Glenoid Labrum)

  • 최남용;송현석;윤형문;최승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6
    • /
    • 2010
  • 목적: 상부 관절와에 부착하는 관절와 순에 발생한 병변에 대한 봉합술 후의 결과가 모든 예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인 정보를 얻고자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분석하고, 상부 관절와 순이 부착하는 부위의 관절와의 해부학적인 형태 및 부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08예에서 관상면 영상을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52세(17~71세)였으며, 남자는 55예였고 여자는 53예였다. 일반적으로 상부 관절와 순 파열에서 봉합하게 되는 영역인, 이두건 장두의 관절와 부착 부위의 후방 2개 영상에서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의 길이 및 상외측 관절와의 단면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상부 관절와 순의 관절와 전방 부착 부위의 내-외측 길이는 평균 $9.78{\pm}1.64\;mm$였다. 남자는 평균 $10.1{\pm}1.61\;mm$, 여자는 평균 $9.43{\pm}1.6\;mm$였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평균 $89.6{\pm}7.6$도였다. 결론: 관상면에서의 상부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는 후방이 전방보다 짧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후방이 전방보다 작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