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an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4초

열처리 온도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β-Glucan with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 이상훈;장귀영;김현영;우관식;황인국;김기종;이미자;김태집;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64-1770
    • /
    • 2012
  • 열처리에 따른 보리 ${\beta}$-glucan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및 흰찰쌀보리를 $110^{\circ}C{\sim}1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하였으며, 총 및 수용성 ${\beta}$-glucan 함량, 순도, 분자량, 점도 및 재용해율을 살펴보았다. 3품종 보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7.77~8.40% 범위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1.59~14.65% 범위로 증가하였으나, $140^{\circ}C$$150^{\circ}C$에서는 6.30~8.33%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함량은 무처리의 4.14~4.79%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6.11~10.29%까지 증가하였으며, $150^{\circ}C$에서는 3.01~5.60%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순도는 3품종 모두 $130^{\circ}C$까지는 31~37%범위이었으나 $140^{\circ}C$ 이상에서는 91%까지 증가하였다. 분자량은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더 컸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새쌀보리는 606,463 Da에서 1,404 Da으로, 새찰쌀보리는 698,541 Da에서 1,617 Da으로, 그리고 흰찰쌀보리는 669,539 Da에서 1,550 Da으로 감소하였다.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높았고 흰찰쌀보리보다 새찰쌀보리가 높았다. 재용해율은 무처리의 50~55%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50^{\circ}C$에서는 96.75~97.99% 범위로 증가하였다.

재배환경(栽培環境)이 맥주맥(麥酒麥)의 ${\beta}-Glucan$ 함량(含量)과 ${\beta}-Glucan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ultural Environments on ${\beta}-Glucan$ Contents and ${\beta}-Glucanase$ Activities on Malting Barley Varieties)

  • 김원일;장현세;박노동;김광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66-272
    • /
    • 1986
  • 맥주맥(麥灌麥) 장려품종의 원맥(原麥)과 맥아(麥芽)에서 수용성(水溶性) ${\beta}-glucan$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4{\sim}4.0%$$0.3{\sim}0.6%$범위(範圍)였다. 원맥(原麥)의 ${\beta}-glucan$함량(含豊)은 품종(品種), 재배지역(載培地域) 및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 수준(水準)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맥(原麥)의 ${\beta}-glucan$함량(含量)은 점도(粘度)와 고도(高度)의 정(正)의 관(關)을 보였으며 ,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total gum함량(會量)에 대(對)하여는 각각(各各)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맥아(麥芽)의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점도감소(粘度減少)의 상대시간(相對時間)으로 표시(標示)할 때 $11.0{\sim}20.0$초(秒)였으며, 품종(品種), 재배지역(栽培地域) 및 질소비료(室素肥料) 수준(水準)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았으며, 제맥아중(製麥芽中)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제6일(第6日)째 이후(以後)부터 최고수준(最高水準)을 유지하였다. 맥아(麥芽)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맥아(麥芽)의 잔존(殘存) ${\beta}-glucan$함량(含量)과 부상관(負相關)을 추출수량(抽出收量)과는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맥아(麥芽)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豊)은 추출수량(抽出收量)과 부상관(負相關)을, 효소력가(酵素力價)와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 PDF

표고버섯과 보리에서 추출한 ${\beta}-glucan$이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glucan$ from Lentinus edodes and Hordeum vulgar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송지영;윤기주;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02-807
    • /
    • 2001
  • 표고버섯과 보리에서 추출한 ${\beta}-glucan(M500,\;B500)$을 Alloxa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6주령의 ICR 마우스에 10 일간 경구 투여를 실시하고 식이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 혈액과 간장 중의 지질 성분 및 각종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서 B500군과 M500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2 배에 가까운 식이 섭취량이 관찰되었으나 이에 따른 체중 변화는 시료 투여군에서 당뇨 대조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혈중 포도당 농도는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실험기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나, B500군과 M500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p<0.05).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약 1.7배 정도 증가하였다. B500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M500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0.05). 혈액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에서 표고버섯과 보리의 ${\beta}-glucan$을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체중 및 혈중 포도당 농도가 감소되었고, 특히 보리 ${\beta}-glucan$은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표고버섯과 보리의 ${\beta}-glucan$이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beta}$-glucan이 Sparague-Dawley 랫드의 성장, 식이효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eta}$-glucan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Hematologic Index in Sparague-Dawley Rats)

  • 김소정;이진석;권중기;안인정;이성호;박영석;박병권;김병수;김상기;송성기;이종대;조성대;최창순;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2011
  •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beta}$-glucan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본 실험은 ${\beta}$-glucan의 영양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투여했을 때 흰쥐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SD종 5주령의 어린 쥐를 각각 5마리씩 배치하였고, ${\beta}$-glucan을 급여하지않은 대조군, ${\beta}$-glucan을 D.W-(distilled water)에 용해시켜 저용량 (하루 사료섭취량의 0.2%의 ${\beta}$-glucan), 중간용량 (하루 사료섭취량의 1%의 ${\beta}$-glucan), 고용량 (하루 사료섭취량의 5%의 ${\beta}$-glucan) 으로 구분하여 6주간 사육하였으며, 실험쥐의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장기발육 및 혈액 형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군 모두에서 실험쥐의 시험 종료시 평균체중과 식이섭취량의 통계적 유의차는 발견되지않았다. 그리고 간, 심장, 선장, 및 위장 등의 장기무게와 백혈구,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릿 및 혈소판 등의 혈액학적 지수에 있어서도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즉 ${\beta}$-glucan식이로 이상적으로 장기가 비대해지거나 억제됨 없이 정상적 발육이 이루어졌으며, 이상현상없이 정상적 혈액학적 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beta}$-glucan이 생리대사에 무해하고 안전하며, 면역력증진 효능에 대한 세부적 및 과학적 규명과 함께 면역력증강 사료첨가제로 개발 필요성 및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리 및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 섭취에 의한 흰쥐의 간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n Rat Liver Fed Barley and ${\beta}-Glucan-enriched$ Barley Fraction with Cholesterol)

  • 김성란;석호문;최희돈;박용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9-324
    • /
    • 2002
  • 총 식이섬유 함량과 에너지 수준을 동일하게 조정한 보리첨가식이 및 ${\beta}-glucan$ 함량을 높인 농축획분 첨가식이가 간에서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체중을 고려한 간무게 결과는 콜레스테롤 투여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 및 ${\beta}-glucan$ 투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Control군과 fiber-free군의 간에서는 normal(cholesterol-free)군의 간과는 달리 콜레스테롤 첨가로 인하여 심한 지질 침착이 관찰되었다. 반면 보리첨가군의 경우 동량의 콜레스테롤을 섭취하였으나 지질 침착이 거의 없거나 미약하여 normal 간과 유사한 형태였다. 간의 단위무게당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는 보리 ${\beta}-glucan$ 농축획분을 첨가한 N glucan(5%)와 W glucan(5%)군에서 각각 대조군의 50%와 60%이하 수준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섬유 함량이 10%가 되도록 찰보리 농축획분의 양을 증가시킨 W glucan(10%)군의 간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는 더욱 현저하였다. 따라서 0.5%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고 5%와 10%의 식이섬유를 보리로부터 공급했을 때 변으로 배설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보상하기 위한 간에서의 생합성 증가는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이 현저히 낮아지고 간에 지질 침착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Vitro, In-Vivo 동물모델에서 귀리 유래 수용성 베타-글루칸의 칼로리 제한 효과 작용기전 규명 (Mode of Action of Water Soluble β-Glucan from Oat (Avena sativa) on Calorie Restriction Effect In-Vitro and In-Vivo Animal Models)

  • 강한나;김세찬;강용수;권영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2-1228
    • /
    • 2017
  •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soluble ${\beta}-glucan$ from oat (Avena sativa) against various digestive enzymes such as ${\alpha}-glucosidase$, sucrase, maltase and glucoamylase. Inhibition of these enzyme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disaccharide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The ${\beta}-glucan$ had the highest documented rate of small intestinal sucrase inhibitory activity (2.83 mg/mL, $IC_{50}$) relevant for potentially manag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effects of ${\beta}-glucan$ on the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 animal model.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tested two hours after sucrose/starch administration, with and without ${\beta}-glucan$ (100, and 500 mg/kg-body weight). The maximum blood glucose levels (Cmax) of ${\beta}-glucan$ administration group were decreased by about 23% (from $219.06{\pm}27.82$ to $190.44{\pm}13.18$, p<0.05) and 10% (from $182.44{\pm}13.77$ to $165.64{\pm}10.59$, p<0.01) in starch and sucrose loading test,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control in pharmacodynamics study. The ${\beta}-Glucan$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mean, maximum, and minimum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at 30 min after meal.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felt that our findings suggest that ${\beta}-glucan$ from oat serves to redu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rise secondary to slower absorption of glucose in the small intestine, via carbohydrate hydrolyzing enzymes inhibition.

Effects of β-Glucan from Paenibacillus polymyxa and L-theanine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omodulation in Weanling Piglets

  • Hwang, Y.H.;Park, B.K.;Lim, J.H.;Kim, M.S.;Song, I.B.;Park, S.C.;Jung, H.K.;Hong, J.H.;Yun, 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53-1759
    • /
    • 2008
  • Forty weanling piglets ($5.6{\pm}0.5kg$ and 26 to 30 d of age) were used in a 28-d experime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eta}$-glucan from Paenibacillus polymyxa and L-theanine on growth performance. Piglet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groups (n = 10, 2 animals per pen) provided with the basal feed (control), ${\beta}$-glucan 400 mg/kg feed, L-theanine 80 mg/kg feed or ${\beta}$-glucan plus l-theanine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centrations). Body weight and feed consumption were recorded during four weeks. Subsequently,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eta}$-glucan and L-theanine were investigated for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cytokine production in vitro and in vivo on day 28.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wth performa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beta}$-glucan plus L-theanine had 5.6% greater ADG (p = 0.074) on day 21 to 28.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increased interleukin (IL)-10 levels and decreased interferon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levels in cultured medium by LPS treatment (p<0.05). Plasma IL-10 levels were also increased in the piglets fed with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after LPS challenge ($25{\mu}g/kg$, i.p.), whereas plasma IFN-$\gamma$ and TNF-${\alpha}$ levels were decreased (p<0.05). The levels of IFN$\gamma$ in piglets fed with ${\beta}$-glucan plus L-theanine showed the greatest inhibition after LPS challenges. In conclusion, treatment of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might lessen inflammatory responses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 via the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an optimal concentration of ${\beta}$-glucan and L-theanine for improved growth performance.

옥테닐 호박산 베타글루칸의 유화 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Octenyl Succinic Anhydride Modified β-Glucan from Barley)

  • 길나영;김산성;박은정;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7-2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OSA-${\beta}$-glucan 유화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유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H 변화, NaCl 첨가에 따른 유화액의 지방구 크기, 제타전위의 변화 등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OSA-${\beta}$-glucan에 대한 co-surfactant 선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OSA-${\beta}$-glucan 유화액은 pH가 낮을수록, NaCl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응집으로 인해 안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유화액의 제타전위 측정 및 현미경 관찰 결과와 일치하였다. OSA-${\beta}$-glucan 유화제에 적합한 co-surfactant는 유화 지방구 크기 및 크리밍 안정도 측면에서 Tween 20으로 확인되었으며 적절한 농도는 0.2%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Tween 20 첨가에 대한 OSA-${\beta}$-glucan 유화액의 안정도 향상은 유화지방구 표면에서 OSA-${\beta}$-glucan과 Tween 20의 co-adsorption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Effects of β-Glucan Supplementation on Lymphocyte Proliferation, Macrophage Chemotaxis and Specific Immune Responses in Broilers

  • Cheng, Yeong-Hsiang;Lee, Der-Nan;Wen, Chiu-Ming;Weng, Ching-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145-1149
    • /
    • 2004
  • Immunomodulatory feed additives might offer alternatives to antimicrobial growth promoters in poultry productio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test the effect of $\beta$-glucan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s. Total of 160 day-old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 groups fed corn-soybean diets containing 0, 0.012, 0.025 or 0.05% of $\beta$-glucan supplement in a 6 week feeding experiment. Growth performance, antibody titer against New Castle vaccine, lymphocyte blastogensis, and peritoneal macrophage chemotaxis activity of broilers were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among the treatments, and no differences in antibody titer was observed. Supplementation of $\beta$-glucan did not elevate the lymphocyte blastogensis among treatments, following stimulation with different mitogens.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0.025 and 0.05% $\beta$-glucan enhanced the macrophage chemotaxis activity of broil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glucan may enhance som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of chickens by modulate macrophages ability.

흑효모유래 $\beta$-glucan의 패혈증 치료효과 및 항돌연변이 활성 평가 (Anti-mutagenic and Anti-septic Effects of $\beta$-gluca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 구세광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75-82
    • /
    • 2009
  • Anti-mutagenic and anti-septic effects of $\beta$-1,3/1,6-gluca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were evaluated on the on the cyclophosphamide (CPA)-cecal ligation puncture (CLP) and CPA-treated mice. To induce immunosuppression and mutagenicity, 150 and 110 mg/kg of CPA were single intraperitoneally injected at 3 or 1 day before CLP or initial $\beta$-glucan administration. In CLP animals, the cecum was mobilized and ligated below the ileocecal valve, punctured through both surfaces twice with a 22-gauge needle. 125 mg/kg of $\beta$-glucan were dissolved in saline and subcutaneously or orally administered in a volume of 10 ml/kg (of body weight), 4 times, 12 hrs intervals from 6 hrs after CLP or 1 day after second dose of CPA. After treatment of $\beta$-glucan, the mortalities were observed in CPA-CLP model, and the appearance of a micronucleus is used as an index for genotoxic potential in CPA model. As results of CPA-CLP sepsis, all animals (9/9, 100%) in CPA-CLP control were dead within 2 days after CLP. In addition, increase of the number of bone marrow MNPCEs indicated mutagenicity were also observed by treatment of CPA. However, $\beta$-glucan treatment effectively inhibited the mortalities in CPA-CLP, and it also reduced the CPA treatment-related mutagenicity,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eta$-glucan has effective anti-septic and anti-mutagenic effects and can be used as an agents for treating sepsis and mutagenicity related to high-dos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observe more detail action mechanisms of it's anti-septic and anti-mutagenic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