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yl alcohol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Chemoselective Alkylation of Aromatics with Benzyl Alcohol over Mesoporous ZSM-5

  • Jin, Hailian;Ansari, Mohd Bismillah;Jeong, Eun-Young;Park, Sang-E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0-200
    • /
    • 2011
  • Hierarchical mesoporous ZSM-5 with enhanced mesoporosity was synthesized by microwave through the rapid assembly via ionic interaction between sulfonic acid functionalized ZSM-5 nano particles and cationic surfactant.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enhanced accessibility due to mesoporosity and acidity were investigated in the alkylation of mesitylene with benzyl alcohol as alkylating agent. The effect of mole ratio of aromatic with benzyl alcohol, reaction time and alkylation agent were also studied. The enhanced mesoporosity and acidity of sulfonic acid functionalized mesoporous ZSM-5 induced activity enhancement compared with non-functionalized mesoporous ZSM-5, sulfonic functionalized mesoporous ZSM-5 synthesized by hydrothermal method and conventional microporous ZSM-5. The sulfonic acid functionalized mesoporous ZSM-5 showed much higher chemoselectivity of benzylated mesitylene than others, whereas the others mainly show dibenzyl ether as product. Th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talytic selectivity was resulted from the existence of mesopores, which definitely allowed the benzylation in mesopores.

  • PDF

[Hmim][PF6]를 사용한 벤질 알코올의 호기성 산화반응용 팔라듐-은 차콜 촉매 제조 (Synthesis of Pd-Ag on Charcoal Catalyst for Aerobic Benzyl Alcohol Oxidation Using [Hmim][PF6])

  • 추연준;유계상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425-429
    • /
    • 2014
  • 호기성 벤질 알코올 산화반응용 상용촉매 개발을 위하여 팔라듐이 담지된 차콜 입자를 제조하였다. 특히 촉매의 팔라듐 분산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온 이온성액체 중 하나인 [Hmim][$PF_6$]을 기능성 용매로 사용하여 입자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팔라듐을 함침하여 제조된 입자의 반응성을 측정한 결과 7.5 wt%의 촉매가 가장 우수한 반응 활성과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촉매로서 다양한 농도의 은입자를 합침하여 촉매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반응조건에서 팔라듐과 은의 질량 비율이 9 : 1인 촉매가 높은 금속 분산도로 인하여 가장 반응성이 우수하였다.

Preparation of Branched Polystyrene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Techniques and Protection-Deprotection Chemistry

  • Kwark, Young-J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38-246
    • /
    • 2008
  • A new strategy using protection-deprotection chemistry was used to prepare branched polymers using the ATRP method only. Among the several monomers with different protecting groups, vinyl benzyl t-butyloxy carbonate (VBt-BOC) and 4-methyl styrene (4-MeSt) could be polymerized successfully to form backbones using the ATRP method in a controlled fashion. The protected groups in the backbones were converted to alkyl bromides and used as initiating sites for branch formation. The benzyl t-butyloxy carbonate groups in the backbones containing VBt-BOC units were first deprotected to benzyl alcohol by trifluoroacetic acid, then converted to benzyl bromide by reacting them with triphenylphosphine/carbon tetrabromide. The benzyl bromide groups in the backbones containing 4-MeSt units could be generated by bromination of the methyl groups using N-bromosuccinimide/benzoyl peroxide. The structures of the prepared polymers were well-controlled, as evidenced by the controlled molecular weight as well as the narrow and un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4-($R_1$)-Benzyl alcohol 및 4-($R_2$)-Phenol 유도체들의 Tyrosinase 활성 저해에 대한 3D-QSAR 분석 (3D-QSAR Analyses on the Inhibition Activity of 4-($R_1$)-Benzyl Alcohol and 4-($R_2$)-Phenol Analogues Against Tyrosinase)

  • 김상진;이명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1-276
    • /
    • 2009
  •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4-($R_1$)-benzyl alcohol 및 4-($R_2$)-phenol 유도체들의 치환기($R_1$$R_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관한 3차원적인 구조-활성 상관 (3D-QSARs)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입체장, 정전기장, 소수성장 및 수소결합 주게장의 조합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양호한 CoMSIA 2 모델(상관성; $r^2\;=\;0.858$ 및 예측성; $q^2\;=\;0.951$)을 유도하였다. 등고도 분석결과, 기질분자의 $R_2$-치환기는 입체적으로 작고 음전하를 띄며, 소수성이면서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지 않는 치환기가, 그리고 $R_1$-치환기는 양전하를 띄며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는 치환기가 tyrosinase의 저해활성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수소결합 받게장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순환 에너지를 갖는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마취제의 혼합에 따른 Membrane의 부피 변화 (Volume Change of Membrane Mixed with Various Anesthetics in Halobacterium Halobium with Photo-Cyclic Energy)

  • 김기준;성기천;이후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9-125
    • /
    • 1996
  •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ethyl alcohol, halothane, and procaine in vesicle and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circ}C$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esthetics has long been known to be correlated with lipid solubility. Denaturations of the bacteriorhodopsin, which is a sole membrane protein in the purple membrane of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UV/Vis absorption changes.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and procaine in egg lecithin were all found to be negative and this result was confirmed as Miller's supposition.

Volatile Oil Composition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 Leaves

  • Ryu, Su-Noh;Kim, Seong-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9-193
    • /
    • 1998
  •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leaves of two Boxthorn (Lycium chinense M.) cultivars by using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eventy components were identified : 13 acids, 15 alcohols, 18 hydrocarbons, 13 carbonyls, three esters, three ionones, and five others. The principal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peak area percentage) were n-pentanol (11.2~30.2%), phytol (14.5~28.3%), hexadecanoic acid (13.5~17.1%) 2,3-dihydrobenzofuran (1.5~4.2%), benzyl alcohol (1.9-4.8%), phenylacetaldehyde (1.8~3.2%), and octadecadienoic acid (1.7~10.7%). Fresh leaves showed much higher peak area than that of dried leaf in n-pentanol, n-hexanol, cis-2-penten-l-ol, cis-3-hexen-l-ol, benzyl alcohol, and $\beta$-phenylethyl alcohol, while dried leaves showed much higher content than that of fresh leaves in 9-hydroxytheaspran A, octadecanoic acid and octadecadienic acid.

  • PDF

Cr(VI)-6-Methylquinoline을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속도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Kinetics and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Using Cr(VI)-6-Methylquinoline)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72-376
    • /
    • 2015
  • 6M HCl 용매 하에서 6-메틸퀴놀린과 chromium(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6-MQCC(크롬(VI)-6-메틸퀴놀린) 착물을 합성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6-MQCC을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용매의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수율이 증가했다. 그 순서는 DMF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이었다. 산($H_2SO_4$) 촉매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6-MQCC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9 (308 K)이었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났다.

4-(Dimethylamino)pyridinium Dichromate를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 속도 (Kinetics of the Oxida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with 4-(Dimethylamino)pyridinium Dichromate)

  • 최선도;박영조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53-157
    • /
    • 2005
  • $H_2O$ 용매하에서 4-(dimethylamino)pyridine과 chromium(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4-(dimethylamino)pyridinium dichromate를 합성하여, IR, EA 및 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하에서 4-(dimethylamino)pyridinium dichromate를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 값이 큰 용매 순서인 시클로헥센 < 클로로포름 < 아세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에서 높은 산화반응성을 보였다. 산 촉(HCl)를 이용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하에서 4-(dimethylamino)pyridinium dichromate는 벤질 알코올과 그의 유도체들($p-CH_3$, H, m-Br,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그리고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Hammett 반응상수 $\rho$값은 -0.70(303 K)이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먼저 크토메이트 에스테르 형성과정을 거친 후, 속도결정단계에서 양성자 전이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었다.

Cr(VI)-헤테로고리 착물[Cr(VI)-2-methylpyrazine]를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echanism and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using Cr(VI)-Heterocyclic Complex[Cr(VI)-2-methylpyrazine])

  • 김영식;박영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6039-6046
    • /
    • 2013
  • Cr(VI)-헤테로고리 착물[Cr(VI)-2-methylpyrazine]를 합성하여, 적외선 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Cr(VI)-2-methylpyrazine를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varepsilon}$) 값이 큰 용매 순서인 시클로헥센 < 클로로포름 < 아세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높은 산화반응성을 보였다. 산 촉매(HCl)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Cr(VI)-2-methylpyrazine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CH_3$, m-Br,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Cr(VI)-2-methylpyrazine= -0.65(308K) 이였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먼저 크로메이트 에스테르 형성과정을 거친 후,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었다.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에 의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에서 속도론과 메카니즘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Oxida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by Cr(VI)-Heterocyclic Complex (2,4'-Bipyridinium Chlorochromate))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648-653
    • /
    • 2014
  •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을 합성하여, 적외선 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2,4'-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를 이용하여 벤질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값의 증가에 따라 반응도 증가했다는 것을 보였다. 그 순서는 : N,N-디메 틸포름아미드(DMF)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산 촉매(HCl)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2,4'-비피리디늄 클로로 크로메이트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CH_3$, m-Br,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7 (303 K)이었다. 속도결정단계에서 크로메이트 에스테르의 형성과정을 거친 후, 양성자 전이가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