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nzene

검색결과 1,928건 처리시간 0.03초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연구소의 PAT 정도관리 참여결과 (Performance of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in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Program)

  • 이준승;유호겸;오미순;박화미;윤기상;최호춘;정규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321
    • /
    • 1996
  • Our laboratoy has been participated in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PAT)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the Americal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The program is designed to assist a laboratory improve its analytical performance by providing samples on a quarterly basis, evaluating the results, and providing reports on how well the laboratory performed. Evaluation of the results reported here covers five rounds of the PAT program (round 121~round 125). The way a laboratory is evaluated by PAT program is as follows: 1) There is no overall proficiency rating given to a laboratory. 2) A proficiency rating is given for each type of analyze (i.e., metals, silica, asbestos, solvents) that a laboratory analyzed. 3) Proficiency is rated acceptable ("A") if Z score lies between -3 and +3, and unacceptable if Z score is either higher than +3 ("H") or lower than -3 ("Lo"). Z score = (reported data - reference value) / standard deviation 4) For a laboratory to be rated proficient it must either have had no outliers over the most recent two rounds or of the samples actually analyzed over the past year (past four rounds), 75 % or more of the analyze sample results must be acceptable. According to the above rating criteria of PAT program, performance of metals including cadmium, lead, chromium and zinc, and asbestos sample analyses were rated acceptable ("A"). For silica analyses, all samples except one out of four samples in round 122 was rated high("H") were acceptable showing 95 % of ing 95 % of acceptance rate (19/20) throughout the rounds. Analyses of organic solvents were done on 52 samples in 9 types including methanol(MOH), 1,1,1-trichloroethane(MCM), tetrachloroethylene(PCE), trichloroethylene(TCE), benzene(BNZ), o-xylene(OXY), toluene(TOL), chloroform(CFM), 1,2-dichloroethane(DCE). All samples analyzed were rated acceptable except 2 samples that were rated high; one out of each four MCM and TCE samples in round 121, and one that was low out of four o-xylene analyses in round 122 indicating 94 % of acceptance rate(49/52) throughout the rounds. According to the laboratory rating criteria, our laboratory is rated proficient so far for all types of contaminants.

  • PDF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자의 아스팔트 흄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노출수준 평가 (Asphalt Fume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Exposure Assessment among Asphalt Road Paving Workers)

  • 박현희;황은송;김성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7-266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sphalt fumes and PAHs exposure among asphalt road paving workers. Methods: Task-based personal air samplings(n=41) were carried out in 3 asphalt road paving construction sites using PTFE (polytetrafluorethylene) filters for asphalt fume and XAD-2 with glass fiber filters for PAHs. The concentration of fumes and PAHs were showed by four different job(paver finisher operator, paving laborer(raker), macadam roller operator and tire roller operator). Results: The geometric mean(GM) concentration of asphalt fumes as benzene soluble aerosol was highest at paving laborers($42.32{\mu}g/m^3$), followed by in order, paver finisher operators($41.57{\mu}g/m^3$), macadam roller operators($31.9{\mu}g/m^3$), and tire roller operators($30.31{\mu}g/m^3$). The GM of total PAHs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paver finisher operators($37.5{\mu}g/m^3$), followed by in order, paving laborers($20.13{\mu}g/m^3$), tire roller operators($8.66{\mu}g/m^3$), and macadam roller operators($6.23{\mu}g/m^3$).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16 compounds of PAH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 achenaphthylene, achenaphthene, pyrene, fluorene and benz (a) anthracene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PAHs compounds and as the carcinogenic substances, benzo(a)pyrene, and debenz(a,h) anthracene were detected. The benzo(a)pyrene equivalent concentration(BaPeq) was $2.81{\mu}g/m^3$ at paver finisher operators, $2.07{\mu}g/m^3$ at paving laborers, $0.41{\mu}g/m^3$ at tire roller operators and $0.22{\mu}g/m^3$ at macadam roller operators. Asphalt road paving workers have higher benzo(a)pyrene equivalent(BaPeq) values even though at lower total PAHs concentration than workers in steel pipe coating and tar industry. Conclusions: Asphalt road paving workers were found to have risk of carcinogen exposure due to higher Benzo(a)pyrene equivalent concentration(BaPeq) than other PAHs exposure occup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carcinogenic hazards among asphalt paving workers.

인산기를 함유한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공중합체의 제조와 우라늄 흡착특성(제1보) - 인산기를 함유한 GMA-DVB 공중합체의 제조와 물성 - (Preparation of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Copolymer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I) - Preparation of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Copolymer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and Thei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 -)

  • 허광선;신세건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80-688
    • /
    • 1998
  • 친수성 단량체 glycidylmethacrylate (GMA)에 가교제인 divinylbenzene (DVB)과 세공형성제인 2,2,4-trimethylpentane (TMP)량을 각각 0~10 mol %과 0~100 vol %로 변화시켜 현탁중합법으로 macroreticular (MR)형 GMA-DVB 공중합체 (RG라 칭함)을 합성하였다. 이들 공중합체를 벤젠 존재하에서 인산으로 인산화시켜 인산기를 갖는 거대망상형 양이온 교환수지 (macroreticular type cation exchange resin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RGP)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수지에 대한 물성과 우라늄의 흡착능을 고찰하였다. RGP수지들의 물성은 합성시 가교도와 희석제량에 따라 영향이 있었으며, 우라늄의 흡착능은 가교도 영향인 경우 $$RGP-10(50){\sim_=}RGP-1(50)>RGP-2(50)>RGP-5(50)>RGP-0(50)$$ 이며, 희석제량의 영향인 경우는 RGP-2(100)>RGP-2(75)>RGP-2(50)>RGP-2(30)>RGP-2(0)순이였다. RGP수지들의 물성과 우라늄의 흡착능에서 가교도의 영향인 경우 RGP 수지의 세공구조, 양이온 교환 용량 및 팽윤비에 의존하며, 희석제량의 영향인 경우는 양이온 교환 용량보다도 비표면적과 세공구조에 더 영향이 있었다.

  • PDF

N-(butoxymethyl)-2-chloro-2',6'-diethylacetanilide(Butachlor) 제제(製劑)의 안정성(安定性) (The Stability of N-(butoxymethyl)-2-chloro-2', 6'-diethylacetanilide(Butachlor) formulation)

  • 홍종욱;이정훈;김장억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56-62
    • /
    • 1984
  • Butachlor를 유제(乳劑)와 입제(粒劑)로 제제화(製劑化)할 때 화학적(化學的) 안정성(安定性)과 약효(藥效)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중(中) 수분(水分), pH, 담체(擔體), 유화제(乳化劑) 및 유기용제등(有機溶劑等)으로 제제조성(製劑組成)을 달리 했을 때와 자외선조사시(紫外線照射時)의 주성분(主成分) 경시변화(經時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제제형태(製劑形態)에 따른 경시변화율(經時變化率)은 암실보관시(暗室保管時)에는 제형(製形)에 상관(相關)없이 16시간(時間) 후(後)까지 안정(安定)하였으나 자외선조사시(紫外線照射時)에는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이 유제(乳劑) > sand 피복입제(被覆粒劑) > zeolite 흡착입제(吸着粒劑)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물과 pH를 조절(調節)한 후(後)의 유탁액상태(乳濁液狀態)에서는 주성분(主成分)의 분해(分解)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유기용제(有機溶劑)로 유제(乳劑)를 조제(調劑)하여 $50^{\circ}C$에서 보관(保管)시킨 후(後)의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은 극성유기용제(極性有機溶劑)인 benzene, xylene이 비극성유기용제(非極性有機溶劑)인 iso-propyl alcoh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제(乳化劑)의 종류(種類)에 따른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은 Tween 60이 Hy-620C 및 Newkalgen-MC에 비(比)해 높게 나타났다.

  • PDF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N-아실 글리신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Acyl Glycine Used Triglyceride)

  • 신혜린;박예원;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8-1065
    • /
    • 2017
  • 단백질 계면활성제로서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친환경적인 화합물이다. 따라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기대된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높은 생분해성, 낮은 독성 및 표면 활성 특성을 갖는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 기반의 계면활성제인 cocoyl glycine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글리신에 의해 합성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표면 장력, 유화 특성, 거품 안정성 및 HLB 값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에 의해 확인되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1.0{\times}10^{-4}mol/L$에서 31.2 dyne/cm 이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팜 오일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3.2{\times}10^{-5}mol/L$에서 42.1 dyne/cm 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 기포 높이를 측정했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14.5cm이고 5분 후 10.7cm였다. 팜 오일에 의해 합성 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3.0 cm이고, 5 분 후에 2.8 cm이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의 기포 높이는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보다 높았다. 그러나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기포 안정성은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보다 우수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유화 특성은 벤젠과 콩기름에서 관찰되며 유기 용매에서의 유화 성질이 콩기름에서보다 우수하다.

검정해면으로부터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의 분리 동정 및 항균물질의 구조 (Identification of an Actinomycetes Strain, MSA-1, Originated from Sponge, Halichondria okadai, and its Antimicrobial Component)

  • 이종수;최종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6-522
    • /
    • 1998
  • 검정해면 (Halichondlia okadai)에 공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주를 분리하여 SEM, 형태학적, 화학 분류학적 방법에 의하여 균주를 동정하였으며, 이 균주를 marin broth 2216 배지에서 대량 b배양하여 균사체로부터 항균물질을 각종 HPLC에 의하여 분리하고 X선 결정 구조 해석. MS, NMR spectrum에 의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ISP 2 배지에서 $30^{\circ}C$, 7일간 배양 결과, 기질균사는 갈색을 띄었고 그 위로 ivory색의 기중균사를 형성하였다. spore chain은 flexibilis로서 10개 이상의 oval 형의 포자가 사슬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표면은 smooth하였다. 한편. 화학적 특성으로는 L-form의 DAP를 가지며 특징적인 당이 없는 cell wall type I 이었고. 인지질은 PII형 이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iso-14 : 0, anteiso-15 : 0, iso-16 : 0, 16 : 0 및 iso-17:0 이었다. 이들 결과와 Bergey's Manual에 의해 이 균주는 Strptomyces sp.로 동정하였다. 대량 배양한 동결 건조 균체 70g으로 부터 10mg의 연한 노란색의 항균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질량 분석에서 이 물질의 분자량은 466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benzene-acetone 용매중에서 결정화하여 X선 결정 구조 해석을 행한 결과 indolo[2,3-a]carbazole alkaloid의 staurosporine 으로 판명되었으며 proton 및 carbon NMR data도 이와 잘 일치하였다.

  • PDF

자외선 노출에 의한 Walnut 베니어의 광 변색 방지 연구 (Studies on Photoprotection of Walnut Veneer Exposed to UV Light)

  • 박세영;홍창영;김선홍;최준호;이효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21-23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목재베니어의 광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색 요인을 제거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목재 중 추출물함량이 높고 어두운 색상을 나타내며 고급용재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 활엽수종인 walnut을 공시재료로 선택하여 광 열화 분석 및 방지법에 관한 연구에 사용하였다. 베니어 내 발색단을 함유하는 물질을 탈리하기 위해 실시한 알코올-벤젠, 과산화수소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처리 후 광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광 변색인자로 알려진 추출물 성분의 제거 후에는 색 안정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리그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20, 30% 농도로 하여 $75^{\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표면색상에 대한 표백효과는 나타내었으나 추출물 용출에 따른 재색 유지가 어려우며 광 노출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1, 2 및 3% 농도로 하여 동일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처리 한 베니어의 광 노출 평가결과, 추출물 용출에 의한 재색변화는 나타났지만, 광 노출에 의한 색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하지만, 3% 이상 농도에서는 베니어 표면의 거칠기와 손상이 발생되므로, walnut 베니어의 경우 적정 농도조건에서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핵 CGC의 구조적인 특성과 에틸렌/1-헥센의 공중합 거동과의 관계 (Relation of Structural Features of Dinuclear Constrained Geometry Catalysts with Copolymerization Properties of Ethylene and 1-Hexene)

  • 까오환투이미;웽티레녕;웬티레탄;노석균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05-512
    • /
    • 2011
  • Para-xylene의 기본 구조로 연결된 4개의 이핵 CGC를 활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의 공중합특성을 조사하여 중합촉매의 구조적인 특징이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가지의 이핵 constrained geometry catalyst(CGC) 중에서 3가지는 모두 para-xylene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나 벤젠고리 부분에 각각 다른 치환체가 결합된 것으로서 치환체는 수소(Catalyst 1), isopropyl(Catalyst 2), n-hexyl(Cataylst 3)이고, n-octyl(Catalyst 4)인 화합물이었다. 이핵 메탈로센 4가지와 Dow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을 공중합시켜 다른 치환체를 가진 다리리간드의 구조적인 특성변화가 촉매의 중합특성과 이로부터 생성되는 공중합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다리리간드의 특성에 따라 분명한 경향성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중합활성은 치환체의 크기가 가장 작은 수소에서 가장 높았으며, isopropyl에서 가장 낮았으며 그 차이는 최대 3배 이상이었다. 반면 분자량은 치환체가 isopropyl인 촉매에서 생성된 공중합체가 가장 컸고, n-hexyl과 1-octyl 치환체 화합물에서 가장 작은 분자량의 공중합체가 생성되었으며 그 차이는 6배에 달하였다. 이핵 CGC의 공중합 특성은 치환체가 긴 알킬기인 n-hexyl 및 1-octyl 화합물이 가장 우수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1-헥센을 가장 많이 함유하여 40% 이상의 1-헥센을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촉매구조 변화에 의한 고분자 미세구조 조절이라는 고분자 합성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 xylene 다리를 가진 이핵 CGC의 치환체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Interaction of the Post-transition Metal Ions and New Macrocycles in Solution

  • Jung, Oh-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6호
    • /
    • pp.687-691
    • /
    • 1993
  • Complexation of $Cd^{2+},\;Pb^{2+}\;and\;Hg^{2+}$ ions with four cryptands were studied by potentiometry and solution calorimetry in various weight percent methanol-aqueous solvent at 25${\circ}$C under $CO_2$free nitrogen atmosphere. The stabilities of the complexes were dependent on the cavity size of macrocycles. The $Hg^{2+}$ ion stability constants are higher than those of $Cd^{2+}\;and\;Pb^{2+}$ ion. All the cryptands formed complexes having 1 : 1 (metal to ligand) mole-ratio except for $Hg^{2+}-L_1$ (cryptand 1,2b: 3,5-benzo-9,14,17-trioxa-1,7-diazabicyclo-(8,5,5) heptadecane) and $Cd^{2+}-L_2$ (cryptand 2,2b: 3,5-benzo-10,13,18,21-tetraoxa-1,7-diazabicyclo (8,5,5) eicosane) complexes. $Hg^{2+}-L_1$ complex was a sandwitch type, and the $Cd^{2+}-L_2$ complex showed two stepwise reactions. Thermodynamic parameters of the $Cd^{2+}-L_2$ complex were $6.08(log\;K_1)$, -7.28 Kcal/mol $({\Delta}H_1)$, and $4.78\;(log\;K_2)$, -4.62 Kcal/mol $({\Delta}H_2)$, respectively, for 1 : 1 and 2: 1 mole-ratio. The sequences of the selectivity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Hg^{2+}\;>Pb^{2+}\;>Cd^{2+}$ ion for $L_3\;and\;L_4$ macrocycles, and the $L_2$-macrocycle has a selectivity for $Cd^{2+}$ ion relative to $Zn^{2+},\;Ni^{2+},\;Pb^{2+}\;and\;Hg^{2+}$ ion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L_2$ can be used as carrier for seperation of the post transition metals by macrocycles-mediated liquid membrane because $L_2$ is not soluble in water, and the difference of stability constants of the metal complexes with $L_2$ are large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ansition metal complexes. The $^1H\;and\;^{13}C-NMR studies indicated that the nitrogen atoms of cryptands have greater affinity to the post transition metal ions than the oxygen atoms, and that the planarities of the macrocycles were lost by complexation with the metal ions because of the perturbation of ring current of benzene molecule attached to macrocycles and counter-anions.

흡착광산화 시스템을 이용한 효과적인 SSC 페수처리 (Efficient Spent Sulfidic Caustic wastewater treatment using Adsorption Photocatalysis System)

  • 김종규;이민희;정용욱;주진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0-520
    • /
    • 2016
  • 석유 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spent sulfidic caustic (SSC) 폐수는 액화석유가스(LPG)나 천연가스(NG)의 정제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고농도의 sulfide와 cresylic, phenolic 그리고 mercaptan 등이 포함된 독성과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LPG나 NG의 정제과정에서 높은 산도를 가진 휘발성 황화합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NaOH가 $H_2S$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진한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띄는 SSC 폐수는 12 이상의 높은 pH를 가지고 있으며 5~12 wt%의 높은 염분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강한 부식성과 독성을 가진 황화합물의 농도가 1~4 wt%이며, 방향족 탄화수소 물질 (i.e. methanethiol, benzene, tolune and phenol)들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물질들은 기존의 하수처리 공정으로 방류하기 전에 완벽하게 처리해야만 하수처리 공정의 오염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습식산화공정은 SSC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물리-화학적 처리 공정이지만 고비용, 고에너지가 필요하며, 고온 및 고압에서만 작동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습식산화공정을 거친 폐수는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생물학적 2차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철-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펜톤산화 공정, 그리고 sulfide를 sulfate로 전환시키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은 황화합물의 완전한 무기물화가 힘들며, 현장 적용 시 기술적 경제적 부담이 크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SSC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본 연구는, 높은 흡착력과 광산화력을 가진 흡착광산화 반응 시스템(Adsorption Photocatalysis System, APS)을 개발하였다. APS는 SSC 폐수를 시스템 내부로 유입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을 흡착광산화제로 구성된 반응구조체가 흡착하고, 흡착된 오염물질을 UV에너지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광화학반응에 의해 최종적으로 무해한 물질로 환원시키는 폐수처리시스템이다. APS의 반응구조체는 태양에너지 및 인공에너지원에 의해 활용 가능하며,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질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소재로서 널리 쓰이고 있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와 화력발전소의 높은 소성온도에 의해 연소된 후 발생되는 bottom ash를 이산화티타늄의 지지체로 사용하여 높은 흡착력과 광촉매 산화력을 가진 복합물이다. 개발된 APS에 의해 SSC 폐수를 처리한 결과, COD 86.1%, 탁도 98.4%, sulfide 99.9%의 높은 처리효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PS는 강한 부식성과 독성 그리고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는 SSC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