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Copepo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부유물질증가에 따른 저서성 해양생물의 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Ecotoxicological Effects of the Increased Suspended Solids on Marine Benthic Organisms)

  • 윤성진;박경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383-1394
    • /
    • 2011
  • Environmental impacts of suspended solids (SS) released in coastal area by dredging, reclamation and construction can cause serious damages to coastal habitats and benthic organisms. Acute toxicity tests (4-7 da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S concentration and mortality of three marine benthic species;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adult,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pat,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y. Benthic copepod was the most sensitive to SS followed by olive flounder fry and Pacific abalone spat, with an $LC_{50}$ (lethal concentration of 50% mortality) value of 61.0 mg/L and LOEC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value of 31.3 mg/L for benthic copepod. LOEC and 7 day-$LC_{50}$ for Pacific abalone spat were 500.0 mg/L and 1887.7 mg/L, and those for olive flounder fry were 125.0 mg/L and 156.9 mg/L, respectively. The tolerance limits of the test species to SS revealed the various concentration ranges of SS, which reflects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the test species. These results are very valu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SS concentration of effluents released into the coastal area by dredging, reclamation and construction etc. Also, sharp increase of SS can cause long-term damages to the benthic and sessile fauna by blanketing of benthic substratum. These experimental procedures for marine bioassay and acute toxicity results can be a useful guideline for practical management planning of SS discharge into coastal area.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 및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 생활사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s using Early Life Stage of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이승민;박경수;윤성진;강영실;오정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29-139
    • /
    • 2008
  •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1차 소비자인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를 이용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였다. 표준시험생물로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를 선정하였으며, endpoint는 윤충류 신생개체의 사망률(24 hr $LC_{50}$) 및 개체군성장률(48 hr $EC_{50}$)과 저서 요각류 유생($100{\sim}200\;{\mu}m$)의 사망률(48 hr $LC_{50}$)로 설정하였다. 표준시험방법은 미국재료시험협회 (ASTM)의 독성시험법을 참고하였으며, 표준시험생물은 국내 해양생태계의 특성 및 종의 유용성 등을 고려하여 재설정하였다. 윤충류 B.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 japonicus는 광염성으로 $5{\sim}35\;psu$ 구간에서 실험이 가능하고, 또한 배양이 용이한 점이 고려되었다. 상기 두 종을 이용한 독성시험은 시험생물 확보 및 배양이 쉽고 시험기간이 짧고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독성시험의 민감도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이용한 시험법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두 종 모두 해양유입 유해물질을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농도-반응의 선형관계가 뚜렷하였다. 카드뮴을 이용한 윤충류 개체군성장에 대한 실험실간 교차분석결과 $EC_{50}$이 각각 39.3 mg/L와 33.7 mg/L로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는 독성시험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의 두 종중 최소 1종은 해양생태 독성실험의 "battery test"에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nauplii 생산에 미치는 미세조류의 영향 (Effect of Microalgal Species on Nauplii Production in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김미정;김정창;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8-275
    • /
    • 2009
  • The survival and growth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depend on the nutritional value of micro alga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etary value of the many microalgal species used for food by benthic larvae. Therefore, we tested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hich grazes microalgae on substrata in a manner similar to abalone larvae. It also has short generation time and is easy to rear which makes to be easier to examine the dietary value of each micro algal species. We measured the daily production of nauplii from gravid females of T. japonicus fed 26 microalgal species separatel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the micro algae and the copepod was also analyzed. The nauplii production of T. japonicus was the highest (10.7) when they were fed Navicula sp. (B-394) and the lowest (0.8) when they were fed Scrippsiella trochoidea. In Tetraselmis suecica the nauplii production was so high (8.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diatom group. We determined that Navicula sp. (B-394), Rhaphoneis sp. and T. suecica were good sources of food for T. japonicus. We suggest that a diet of with a mixture of these three micro algal species may be also good for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해양 저서성 요각류의 다양성 연구 현황과 그 전망 (Current Researches on the Diversity of the Marine Benthic Copepods and the Prospects)

  • 이원철;송성준;이재성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1-9
    • /
    • 2002
  • 요각류는 수서생태계 내에서 1차 소비자로서 매우 중요한 생물이다. Harpacticoida 목에 포함되는 대부분의 저서성 요각류는 중형저서생물에 포함되며, 전세계적으로 3,000여 종 가량의 해산종이 알려져 있다. 저서성 요각류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일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생물자원과 유전자원의 발굴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해산 저서성 요각류 다양성 연구의 중요성 및 앞으로의 연구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저서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노출에 따른 국내산 해산무척추동물 요각류(Tisbe sp.)와 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의 만성영향 (Chronic Effect Exposed to Carbon Dioxide in Benthic Environment with Marine Invertebrates Copepod(Tisbe sp.) and Amphipod(Monocorophium acherusicum))

  • 문성대;최태섭;성찬경;이정석;박영규;강성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9-369
    • /
    • 2013
  • Chronic effects such as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with elevated $CO_2$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using two representative marine benthic species, copepod (Tisbe sp.) and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adopting long-term exposure. Juvenile copepod and amphipod individuals were cultivated in the seawater equilibrated with control air (0.395 mmol $CO_2$/air mol) and high $CO_2$ air having 0.998, to 3.03, 10.3, and 30.1 mmol $CO_2$/air mol during 20 and 46 days, respectively. After the exposure period, the number of benthic invertebrate was counted with separate larval and juvenile stage such as naupliar, copepodid and adult for copepod, or neonate and adult for amphipod, respectively. The individual number of both test species at each life-s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awater with 10.3 mmol $CO_2$/air mol or higher. Recently, the technology of marine $CO_2$ sequestra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which may cause climate change. However, under various scenarios of $CO_2$ leak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r sequestrated $CO_2$ in marine geological structure, the potential risk to organism including various invertebrates can be expected to exposure.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tailed consideration on the adverse effect with marine ecosystem can be prerequisite for the marine $CO_2$ sequestration projects.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배양방법 및 먹이효율 (Culturing Method and Dietary Value of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김철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1-269
    • /
    • 1998
  • 본 연구는 부착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의 대량배양을 위해서 배양방법과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수식 배양에 있어서 암컷의 생존율과 유생생산은 정수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생의 생존율은 정수식에서 높게 나타났다. T. japonicus의 배양에 있어서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T. japonicus의 증식은 효과적이였다. 또한 T. japonicus와 rotifer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rotifer는 T. japonicus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T.japonicus는 rotifer의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산 자어에 대한 T. japonicus의 먹이효율은 참돔과 자주복 등과 같은 쪼아먹는 식성의 치어에 있어서는 Artemia nauplius보다 높은 먹이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넙치치어와 같이 저서성치어에게는 먹이로서 부적합하였다.

  • PDF

A new species of the genus Ameiropsis Sars G.O., 1907 (Copepoda; Harpactiocoida) from Korea

  • Hyun Woo Ba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244-257
    • /
    • 2023
  • The family Ameiridae Boeck, 1865 (Copepoda; Harpacticoida) consists of about 380 species in 47 genera, but only 10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 benthic ameirid species was collected from the East Sea of Korea.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members of the genus Ameiropsis Sars G.O., 1907, an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Ameiropsis in the Pacific Ocean. Ameiropsis gyeongjuensis sp. nov.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A. mixta Sars G.O., 1907 and A. longicornis Sars G.O., 1907 from Norway. However, the new species is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s based on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roximal segment of antennary exopod with a bulge in the middle, and with one pinnate seta; the distal segment of antennary exopod with a thickened, blade-shaped outer seta; and female P5 baseoendopod with five setae and exopod with six setae. An identification key to species is provided for the 11 valid species of the genus Ameiropsis.

마취제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가 해양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생존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nesthesia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on Survival and Hatching of Marin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신효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5-309
    • /
    • 2006
  • 살아 움직이는 요각류를 모세관으로 분리 할 때 마취제(MS-222)의 이용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리 후 요각류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험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요각류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부착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 수컷과 포란한 암컷을 대상으로 MS-222의 농도별(500, 750, 1,000 ppm) 마취시간과 회복시간 그리고 마취 후 분리된 개체들의 생존율 및 포란한 암컷의 nauplius 생산력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S-22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마취시간은 짧고 회복시간은 길게 나타났다. MS-222로 마취 후 분리한 T. japonicus의 14일간의 생존율에서 수컷은 포란한 암컷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수컷 대조구와 유의적 차를 보이지 않았다. 반대로 포란한 암컷의 경우는, 750 ppm, 1,000 ppm에서는 생존율이 대조구나 500 ppm 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MS-222 농도가 높을수록 T. japonicus의 부화횟수와 부화량은 적고, 부화주기는 길었다. 그러나 500 ppm 실험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T. japonicus의 분리 시 적정 농도는 500 ppm 정도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다양한 크기의 요각류를 분리할 때 MS-222의 적정 농도를 파악하는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에서 항생제 Fenbendazole과 Lincomycin의 영향 (Effects of Antibiotics, Fenbendazole and Lincomycin, in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s.l.)

  • 이동주;곽인실;방현우;이원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197-205
    • /
    • 2010
  • The ecotoxicological effects of two antibiotics, fenbendazole and lincomycin, were observed in the harpacticoi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s.l. collected from tidal pool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enbendazo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rvival rates (p < 0.05), delay of copepodite emergence, and urosome size (p < 0.05). Lincomycin, on the other han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se environmental indicators. However, our analysis of morphological abnormalities in T. japonicus s.l. showed that lincomycin was more effective than fenbendazole in causing deformities. The pattern of deformity was diverse, with fused segments, and loss or addition of setae in the swimming legs. All of these patterns appeared as a result of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of this antibiotic (0.3, $1\;{\mu}g\;L^{-1}$). We report here patterns of morphological abnormality in T. japonicus s.l. exposed to antibiotics, and suggest their possible application in ecotoxicological monitoring.

부착성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최적배양환경 (Optimum Culture Environment of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7
    • /
    • 1993
  • 부착성 요각류중 Tigriopus japonicus는 어류의 종묘 생산시 먹이생물로서 매우 중요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본 연구는 T. japonicus의 염분 내성과 최적 배양 환경 (염분, 온도, 빛)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대량 배양을 하기 위한 2종류의 효모와 6종의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한 먹이 가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T. japonicus의 염분 내성 실험에 있어서 배양 5일 후 포란 암컷의 생존율은 $0%o$$90%o$에서 각각 $40\%$$70\%$로 나타났다. 그러나 $2-80\%o$에서$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 종은 매우 광염성이라고 생각된다. T. japonicus의 최적 배양 환경은$24^{\circ}C,\;24\%o$, 3,000 lux 24 L : 0D였고, 이 때 한마리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38마리였으며 평균 산란 간격일은 2.05일이었다. T. japonicus의 가장 좋은 먹이생물은 P. tircornutum였고 T. suecica는 먹이 가치가 매우 낮았다. 그리고 유지 효모의 먹이 효율은 빵 효모 보다 높았고, Amphora sp., C. ellipsoida N. oculata와 비슷하게 나타나서 T. japonicus의 대량 배양시 좋은 먹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