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misia tabaci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41초

고추와 토마토 품종별 담배가루이 B와 Q biotype의 섭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Feeding Behavior of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against Red Pepper and Tomato Varieties)

  • 양정오;김은희;윤창만;안기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9-188
    • /
    • 2009
  • 담배가루이 B와 Q biotype은 토마토 모든 7개 시험품종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였으나 고추 품종에서의 발육은 다르게 나타났다. B biotype은 9개 고추 품종에서 모두 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Q biotype은 정상적으로 발육하였다. 그러나 Q biotype은 녹광 품종에서는 낮은 우화율을 보였다. EPG를 이용한 체관부 섭식시간 분석에서 B와 Q biotype은 고추 품종에 대한 체관부 섭식시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Q가 B biotype보다 섭식시간이 길었다. 고추 품종에서 Q biotype은 녹광 품종에서 짧은 섭식시간을 보여주어 녹광 품종을 섭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고추 8개 품종에서는 섭식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B biotype은 고추를 섭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품종에 대한 두 biotype의 체관부 섭식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담배가루이 B와 Q 계통의 국내 발생 상황 (Occurrence of the B- and Q-biotypes of Bemisia tabaci in Korea)

  • 이민호;강석영;이선영;이흥수;최준열;이관석;김황용;이시우;김선곤;엄기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9-175
    • /
    • 2005
  • 2005년 5월 충청이남 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충남 북, 전남 및 경남에서 착색단고추, 토마토, 오이, 장미 등의 시설 재배지에 담배가루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전북과 경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각 지역별로 발생한 담배가루이의 계통(biotype)과 근연관계를 조사할 목적으로 충을 채집하여 16S 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진천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의 16S DNA 염기서열은 일본 및 이스라엘에서 보고된 B 계통의 DNA와 상동성이 높았고 충남 부여, 경남 거제 및 전남 보성 채집 충은 상호간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여 주었으며 스페인과 이집트의 Q계통의 DNA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담배가루이 Q 계통이 국내에 유입되었음을 알리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는 1998년부터 진천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 B 계통과는 별도로 담배가루이 Q 계통이 최근에 국외의 동일한 지역내지는 국가로부터 이들 지역의 시설재배지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몇 가지 살충제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생육 단계별 살충효과 및 방제효과 (Toxicities and Control Effect of Three Insecticides to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 하태기;황인천;김종관;송유한;김길하;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7-21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3종 (acetamiprid, acetamiprid+etofenprox, etofenprox)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Trialeurades vaparariarum)와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를 비롯한 2 가지 농도 (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acetamiprid 단제 40ppm 처리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서 각각 45%, 42%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령 약충에 대해서는 acetamiprid 20 ppm 농도에서도 각각 97%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의 경우 acetamiprid 20 ppm 과 acetamiprid + etofenprox(12.5+40) ppm 농도에서도 92%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 아니라 침투이행 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cetamiprid와 acetamiprid+etofenprox를 추천농도로 처리시에 처리후 3일째부터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Wild Mint 오일의 기피효과 (Repellent Effect of Wild Mint Oil Against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정진원;문상래;조선란;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9
    • /
    • 2010
  •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식물정유의 기피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종의 식물정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성충의 기피반응을 검정한 결과, mint 오일만이 $5{\mu}{\ell}$의 약량처리에서 90% 이상의 높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2, 1, 0.5, $0.1{\mu}{\ell}$ 약량처리에서는 77.8~65.7%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Wild mint 오일을 분석하고 생물검정을 수행한 결과, GC/MS 분석으로 wild 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이 menthol(56.5%), menthone(29.0%), menthyl acetate(14.5%)로 밝혀졌으며, 기피활성을 보인 주요구성성분은 원래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율로 $10{\mu}{\ell}$ 오일을 처리하였을 때 menthol과 menthone이 각각 77.8과 75.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nthyl acctate는 유의성이 없었다. 주요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잠정한 결과, 단독검정시와 비교하여 기피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제어 조건에서 방충망 색과 크기가 담배가루이 및 꽃노랑총채벌레의 물리적 방제에 미치는 영향 (Colors and Sizes of Insect Screen Net Influence Physical Control of Bemisia tabaci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 정충렬;윤정범;김광호;이광재;허정욱;김현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6-54
    • /
    • 2016
  • 주요 온실해충인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크기가 다른 백색의 여섯 가지의 방충망(0.2, 0.3, 0.4, 0.6, 0.8 mm과 TW30)과 세 종류의 색상(흑, 백, 적)을 가지고 차단율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는 0.2 mm 방충망에서는 각각 100%와 86%의 높은 차단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0.3 및 0.4 mm 망에서 담배가루이는 96% 이상의 높은 차단율을 보인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40% 미만의 낮은 차단효과를 나타냈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0.6와 0.8 mm의 백색과 적색망의 색상별 차단효과를 조사한 결과 0.6 mm 망에서는 백색이, 0.8 mm 망에서는 적색이 우수하였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0.2 mm 백색과 흑색망에서는 백색보다 흑색에서 100%의 완벽한 차단효과를 나타낸 반면, 0.6과 0.8 mm의 흑, 백, 적 또는 백, 적의 반응에서 백색보다는 적색의 차단효과가 높았다. 공기 순환과 경제성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담배가루이 방제에는 0.4 mm 백색 방충망을, 꽃노랑총채벌레 방제에는 0.2 mm의 흑색 방충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Aleyrodidae, Hemiptera)에서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를 이용하기 위한 cDNA Library 제작 (Construction of cDNA Library for Using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 with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Hemiptera: Aleyrodidae))

  • 고나연;임현섭;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1-97
    • /
    • 2015
  •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외래해충으로 바이러스벡터로 작용하여, 토마토의 토마토황하잎말림병바이러스(TYLCV)를 비롯한 약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VIGS vector를 이용하여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target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cDNA library 제작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방법으로 oligo d(T) primer를 사용하였을 때, 평균 약 1 kb의 insert와 $1.4{\times}10^4cfu$의 titer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insert size가 너무 커서 적절하지 않았다. 두 번째 방법으로 attB-N25 random primer를 이용하고, sonication을 6초 실시하여 다시 진행하였다. 그러나 확인되는 insert size는 다소 컸고, 몇몇은 insert가 너무 작아서 밴드가 확인 되지않았으며, $1.04{\times}10^54cfu$의 titer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oligo d(T) primer를 이용하였고, sonication을 2초 실시하였다. 그 결과 300 bp~600 bp size의 insert가 확인되었으나, electro transformation을 사용한 첫번째, 두번째 방법에 비해 heat shock transformation을 사용하여 titer가 $5.2{\times}10^24cfu$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cDNA library를 만들 때 먼저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First strand를 합성하여 poly A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sonication을 1초 실시하여 300~700 bp정도의 적절한 size의 insert를 생성하고, 마지막으로 electro-transformation을 실시하여 transformation 효율을 높인다면 VIGS vector에 적합한 cDNA library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한국과 중국 채집 담배가루이 지역계통의 B, Q biotype 분포 및 살충제 약제반응,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보독율 비교 (Comparison of B and Q biotype distribution, insecticidal mortality, and TYLCV viruliferous r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ocal populations of Bemisia tabaci)

  • 정인홍;박부용;이관석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16-624
    • /
    • 2020
  • 세계적인 침입해충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Gennadius)의 한국 계통과 중국 계통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9년에 채집한 두 계통들의 biotype 분포,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을 조사하고 차이를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집단 분석한 결과 국내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Q biotype만 발견되었으며, 중국은 B biotype (14.3%)과 Q biotype (85.7%)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담배가루이 Q biotype의 haplotpye 구성도 중국은 모두 Q1 그룹만 관찰되었고 Q1H1 (79.8%), Q1H2(20.2%)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한국은 Q1이 우세한 가운데 Q2도 관찰되었으며 Q1 그룹의 구성도 Q1H1 (1.7%), Q1H2 (97.5%)로 중국과는 크게 달랐다. 15종 살충제에 대한 약제반응은 국내 계통은 일부 약제를 제외하고 대부분 약제에서 충분한 살충력(mortality≥80%)을 보여주었으나 중국 계통은 40% 이하의 살충력을 보인 약제들이 다수 있었으며 한국보다는 높은 저항성을 갖고 있었다. 토마토 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의 보독율은 국내 계통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의 경우 0~60%(평균 21.4%)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한국와 중국의 담배가루이 계통 간에는 유전적 조성과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양국의 담배가루이가 서로 다른 유입 패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란 효과 (Ovicidal Effect of Plant Extract Mixture Against Seven Major Insect Pests)

  • 이희아;이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75-76
    • /
    • 2024
  • 몇 종의 주요 농작물 해충에 대한 식물추출물(cinnamon extract 5% + citronella oil 10% + citrus oil 30% + derris extract 10% + neem extract 20% + penetrating surfactant 25%)의 살란 효과를 분무법으로 검정하였다. 노린재류의 경우 알이 부화하는 과정에서 치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추출물(500배액) 처리시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홍비단노린재(Eurydema dominulus),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rarorium),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검거세미밤나방(Agrotis ipsilon)에 대한 최종 살란 효과는 100%로 높게 나타나, 향후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