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Pattern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향정신성약물이 마우스 자발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tropic Agents on Motor Activity in Mice)

  • 우행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0
    • /
    • 1975
  • An animal which is placed in a new environment displays a complex behavioral pattern consisting of locomotion, grooming and rearing. This behavioral pattern is influenced by endogenous and exogenous stimuli, such as hormonal secretion, level of neurohumoral transmitters, drugs and light. It is widely known that the most tranquilizers depressed spontaneous motor activity although their mechanisms of action were different, while antidepressants stimulated except imipramine which showed various action. Until the present time, the hole-board apparatus, which gives rather subjective data, has been used extensively to study the effects of drugs on general activity and exploratory behavior in mice. Recently a new apparatus for mobility measurements, called a 'Selective Activity Meter' has been introduced. This instrument supposedly produces more objective data on activity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experiment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psychotropics on motor activity using the Selective Activity Meter. In the experiment, various psychotropic agents such as major tranquilizers(chlorpromazine, haloperidol); minor tranquilizers(meprobamate, diazepam); and antidepressants(amphetamine, imipramine) were used. In each experiment, the drug was administered to five mice and their activity was recorded. Each experiment was run five or more times and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mean of each tria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oup of mice treated with chlorpromazine showed markedly inhibited motor activity in comparison with controls and the inhibitory action of chlorpromazine was shown to be more intense than any of the other drugs used in the test. Haloperidol administration yielded similar results until 60 minutes, but mice showed less inhibition of motor activity than with chlorpromazine after 90 minutes. 2. In the group treated with diazepam, there was strong inhibition of motor activity until 30 minutes, but after 60 minutes the mice showed less inhibition than with chlorpromazine. In the meprobamate group, motor activity was inhibit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other tranquilizers, but the inhibition was less than that of diazepam. 3. In the group treated with imipramine, the inhibition developed gradually after ten minutes. 4. The effects of amphetamine did not appear until 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but the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otor activity.

  • PDF

행동 시계열 데이터와 k-평균 군집화를 통한 젖소의 일일 행동패턴 검출 (Daily Behavior Pattern Extraction using Time-Series Behavioral Data of Dairy Cows and k-Means Clustering)

  • 이성훈;박기철;박재화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3-92
    • /
    • 2021
  • 지난 동안 낙농업계에서는 다양한 센서 기술과 ICT 응용이 도입되어왔으며 축적된 낙농 데이터를 토대로 과학적인 낙농생산관리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젖소의 출산이나 우유 생산량과 같은 낙농 생산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인들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결과에 근본적으로 관여하는 생리학적 혹은 동물심리학적 요인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딘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젖소의 시간별 행동 데이터로부터 일일 행동패턴을 검출하는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k-평균 군집화를 통해 한 젖소의 1594일간 행동을 네 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군집에 속한 데이터와 군집의 대푯값을 시각화하여 군집 형성의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체의 일별 군집 변화를 토대로 군집 개수의 적정성을 판단하였다. 이 연구 결과가 향후 젖소의 이상상태나 질병징후의 포착 연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SNS 수퍼 노드의 메시지 사용 패턴 및 인맥 형성 패턴 분석 (Analysis of Message Usage Pattern and Relationship Formation Pattern of SNS Super Nodes)

  • 안형배;박종문;이명준;박양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2-340
    • /
    • 2013
  •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단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사용자의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사회적 인맥 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SNS는 인맥 관계를 관리하고 인맥관계를 기반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SNS 사용자의 행동 특성과 인맥 관계 형성 과정의 분석은 온라인 인간관계에 대한 모델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에서 영향력 있는 사용자가 게시된 메시지의 특성을 기반으로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또한, 페이스북 내에서 인맥 관계 수를 기준으로 영향력이 큰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하고, 두 그룹의 인맥 형성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한 후 이에 따라 패턴 분석에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인간관계 모델의 특징을 설명한다.

Empirical assessment of design patterns' fault-proneness at different granularity levels

  • Mohammed, Mawal A.;Elish, Mahmoud O.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2권4호
    • /
    • pp.293-311
    • /
    • 2017
  • There are several claimed benefits for the impact of design patterns (DPs) on software quality.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design patterns and fault-proneness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this work, we evaluate the fault-proneness of design patterns at four levels: the design level, category level, pattern level, and role level. We used five subject systems in our empirical study. As a result, we found that, at the design level,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design pattern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At the category level, we found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behavioral and structural categorie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structural design patterns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other categories. At the pattern level, we found that only five patterns show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fault-proneness: builder, factory method, adapter, composite, and decorator. All of these patterns except for builder show that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each one of them are less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in that patter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the builder design pattern were more fault-prone than the non-participant classes and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several patterns: the adapter, the composite, and the decorator design patterns. At the role level,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classes that participate in some roles and the non-participant classes. Only three pairs of design pattern rol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oles are concrete-product vs. concrete-creator, adapter vs. adaptee, and adapter vs. client. The results recommend the use of design patterns because they are less fault-prone in general except for the builder design pattern, which should be applied with care and addressed with more test cases.

The Role of the Pattern Edge in Goldfish Visual Motion Detection

  • Kim, Sun-Hee;Jung, Chang-Sub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6호
    • /
    • pp.413-417
    • /
    • 2010
  •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edges in perception of moving objects, we defined four questions to answer. Is the focus point in visual motion detection of a moving object: (1) the body or the edge of the object, (2) the leading edge or trailing edge of the object, (3) different in scotopic, mesopic and photopic luminance levels, or (4) different for colored objects? We measured the Optomotor Response (OMR) and Edge Triggering Response (ETR) of goldfish. We used a square and sine wave patterns with black and red stripes and a square wave pattern with black and grey stripes to generate OMR's and ETR's in the goldfish. When we used black and red stripes, the black leading edges stimulated an ETR under scotopic conditions, red leading edges stimulated an ETR under photopic conditions, and both black and red leading edges stimulated an ETR under mesopic luminance levels. For black and gray stripes, only black leading edges stimulated an ETR in all three light illumination levels. We observed less OMR and ETR results using the sine wave pattern compared to using the square wave pattern. From these results, we deduced that the goldfish tend to prefer tracking the leading edge of the pattern. The goldfish can also detect the color of the moving pattern under photopic luminance conditions. We decided that ETR is an intriguing factor in OMR, and is suitable as a method of behavioral measurement in visual system research.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행동양상 연구 (A Study on Behavior Patterns Between Smokes and Non-Smokers)

  • 김화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9-87
    • /
    • 1990
  • Clinical and epedemiologic studies of coronary heart disease(CHD)have from time to time over the last three decades found associations between prevalence of CHD and behavioral attributes and cigarette smok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reduced to major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through prohibition of smoking and control of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consisted of 120 smokers and 90 non-smokers who were married men older than 30 years working in officers. The officers were survey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eptember 26 through October 6, 1989.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a self-administered measurement tool composed of 59 items was made through modifications of Jenkuns Activity Survery(JAS). The Data were analysed by SAS(Statistical Analsis System) program personal computer. The statistical technique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x$^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15 items were chosen with items above 0.3 of the factor loading in the factor analysis. In the first factor analysis 19 factors were extracted and accounted for 86% of the total variance. However when the number of factors were limited to 3 in order to derive Jenkins classification, three factors were derived. There names are Job-Involvement, Speed & Impatience, Hard-Driving. Each of them includes 21 items, 21 and 9,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The score of the smoker group and non-smoker group in Job-Involvement(t=5.7147, p<0.0001), Speed & Impatience(t=4.6756, p<.0001), Hard-Driving(t=8.0822, p<.0001) and total type A behavior patter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8.1224, p<.0001). 2. The score of type A behavior pattern by number of cigarettes smoked dail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 score of type A behavior pattern by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ers and non - smokers of type A behavior patter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number of cigarettes smoked daily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this study is needed to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 of type A behavior pattern in order to elevated to educational effect for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 PDF

Using an Adaptive Search Tree to Predict User Location

  • Oh, Se-Ch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3호
    • /
    • pp.437-444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predicting a user's location based on their past movement patterns.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length of past movement patterns when using this method to predict the current location. For this purpose, a modified search tree has been devised. The search tree is constructed in an effective manner while it additionally learns the movement patterns of a user one by one. In fact, the time complexity of the learning process for a movement pattern is linear. In this process, the search tree expan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more details about the movement patterns when a pattern that conflicts with an existing trained pattern is found. In this manner, the search tree is trained to make an exact matching, as needed, for location prediction. In the experi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is highly accurate in comparison with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methods. Also, the accuracy deviation of users of this metho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any other methods. This means that this method is highly stable for the variations of behavioral patterns as compared to any other method. Finally, 1.47 locations were considered on average for making a prediction with this method. This shows that the prediction process is very efficient.

새끼 여우의 수유기 행동패턴 변화 (Changes in Suckling Behavioral Pattern in Fox Cubs)

  • 정철운;김영채;이화진;김성철;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0-694
    • /
    • 2013
  • 본 연구는 새끼 여우의 수유기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생존율 증대 및 효율적인 개체관리에 필요한 생태적 자료구축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는 국립공원종복원기술원 여우복원센터 시설 내에서 2013년 출생 후 관리중인 새끼 여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유 및 굴 외부 출현패턴 분석 결과 새끼의 성장에 따라 일일 수유횟수와 어미의 수유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새끼의 굴 외부 출현횟수, 활동시간, 이동거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후 30일이 경과하면서 어미의 수유 행동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새끼의 굴 외부 활동성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원종 확보를 위한 증식개체 관리시 해당 일자를 기준으로 생물 먹이원의 증가가 필요하며, 야생에서 출생한 새끼의 개체표식을 위한 포획시에도 최소 생후 30일이 경과한 후 진행하는 것이 포획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새끼의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iOS GUI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어포던스 관점의 고찰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iOS GUI Design in the view of Affordance)

  • 양운;김형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4호
    • /
    • pp.96-102
    • /
    • 2016
  • 본 연구는 iOS GUI 디자인의 변화에 함의된 어포던스의 변화와 이를 통한 어포던스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어포던스 개념을 도출하고 연구에 사용될 6가지 어포던스(본능적, 행동적, 반성적, 명시적, 메타포적, 패턴 어포던스)를 선정하고 iOS의 GUI 디자인 변화를 어포던스 관점에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iOS GUI 디자인의 본능적 어포던스는 이미 충분한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어 이를 과감히 생략하거나 제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명확한 명시적 어포던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둘째, iOS의 행동적 어포던스와 패턴 어포던스는 사용 경험의 누적으로 인해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턴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메타포적 어포던스의 기반 영역으로도 활용된다. 셋째, iOS의 플랫 디자인을 어포던스 관점에서 고찰해 본 결과, 본능적 어포던스의 감소로 인하여 시각적 표현 상의 제약이 줄어들게 되어 화면 공간의 여유, 컬러 변화의 자유, 명시적 어포던스의 제공 등이 가능하게 된 것도 그 원인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본능적 어포던스가 사용경험 누적에 따라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이는 메타포적 어포던스의 기반 영역으로 활용되며, 본능적 어포던스의 제거나 감소는 보다 명확한 명시적 어포던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턴 어포던스가 생성되는 어포던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관계 변화 또한 고찰할 수 있었다.

어린이 행동 패턴에 기반한 개별화된 음성 합성 (Customized Speech Synthesis for Children with Characteristic Behavioral Patterns)

  • 이호준;박종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71-578
    • /
    • 2006
  • 음성을 통한 사용자 간의 정보 교환 방법은 추가적인 훈련 과정이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공간 제약이 거의 없기 때문에 노약자 등 사용자의 연령대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는 시각이나 촉각 등 다른 정보 수단과의 상호 작용으로 상승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경우 정보 전달력을 높이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유형의 음성 정보가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될 경우 표현상의 단조로움으로 인해 정보 전달력이 급감할 수 있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음성을 통한 정보 전달의 경우 동일 상황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행동 패턴, 심리 상태,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차별화된 문장 구조 및 어휘의 선택으로 긴장감을 유지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5 세 전후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그들의 행동 패턴 분석에 기반하여 개별화된 음성 합성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어린이들의 주된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현직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조건을 통하여 어린이의 행동 패턴과 위치 정보, 연령 및 성격에 따른 발화 문장의 문장 구조와 어휘적 특성을 파악한다. 최종적으로, 개별화된 음성 합성 결과를 위해 유치원 공간을 시뮬레이션 하고 RFID 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행동 패턴 및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각 상황에 따라 분석된 발화문의 문장 구조와 어휘 특성을 반영하여 음성으로 합성될 문장의 문장 구조 및 어휘를 재구성하여 사용자 개별화된 음성 합성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린이의 행동 패턴이 발화문의 문장 구조 및 어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재구성된 결과 발화문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