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 intervention

검색결과 1,359건 처리시간 0.03초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의 효과 -일 지역 여중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구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90-399
    • /
    • 2014
  •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실시하고, 월경지식, 월경대처, 월경증상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일 지역 2학년 여중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1명과 대조군 33명 총 64명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지식과 월경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경증상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은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대다수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면서도 적절한 중재요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여중생을 위해 바람직한 건강 행위를 기반으로 한 중재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한 점은 보건의료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Men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Elapsed Period)

  • 하행주;서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61-673
    • /
    • 2021
  •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 249명이며,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 중 자율적 동기(β=.35, p<.001), 교육요구도 중 위험요소(β=-.26, p<.001), 질병의 경과기간(β=.19, p<.001), 결혼 여부(β=.15, p=.001), 최종 학력(β=-.12, p=.035)이며, 총 설명력은 29.1%였다.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남성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증도가 높고 경과시간이 1년 미만인 대상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악성댓글 작성과 중재 의도에 대한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on intention of intervention and posting malicious comments)

  • 김한민;박경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197-206
    • /
    • 2018
  • 온라인 악성댓글에 대한 폐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가 핵심적인 선행 요인임을 확인해왔다. 중화는 이론적으로 일곱개의 다차원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탈행위의 종류에 따라 중화요인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일탈행위 연구에서 다차원의 중화 기술 요인들을 실증한 것과는 다르게 악성 댓글 연구에서는 중화기술을 단일 차원으로 살펴보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한편, 일탈행위에 대한 중재자의 역할은 일탈행위 억제에 기여할 수 있지만 악성댓글 연구에서의 중재 의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상호보완적인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된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의도와 중재 의도에 대한 관련 요인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자가 비난자에 대한 비난과 책임의 부정 중화기술을 활용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대방과의 정서적 공감이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관상동맥중재술 후 개별화된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심혈관위험도 및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counseling Program on Cardiovascular Risk and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조화영;우수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4-26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counseling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and Cardiovascular risk after discharge in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the non-equivalence control group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ad no complications due to severe arrhythmia or heart failu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o the subjects who met the selection conditions, and written consent was obtained, and 50 randomized experimental groups and 50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and assigned.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alth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1 week (F=33.63, p<.001) and 12 weeks (F=23.63, p<.001). The cardiovascular risk score based on Framingham risk scor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period (F=26.18,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measurement period (F=0.72, p=.469).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counseling program provided to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ject's health behavior, but not in lowering the cardiovascular risk.

Effects of self-care intervention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on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physiological index

  • Yu Kyung Shin;Mi Young Kim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23-135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are intervention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on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physiological indic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8 patients who had a regular hemodialy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n = 19) that had self-care intervention for 8 weeks and a control groups (n = 19) that had routine hemodialysis treatment.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2022 to October 29, 2022. The date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SPSS Win 29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t = 3.42, p = .002)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knowledge (t = 0.80, p = .428), self-care behavior (t = 0.09, p = .929), potassium (t = -0.82 p = .416), phosphorus (t = -0.03, p = .974), weight gain (t = 0.16, p = .867).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self-car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an effective indicator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There is a requirement to formulate comprehensive interventions capable of enhancing various indicators.

Healthcare coaching program for youth with type 1 diabetes in South Korea: a pilot study

  • Dae Eun Lee;Haejung Lee;Chong Kun Cheon;Ju Young Yoo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17-30
    • /
    • 2024
  • Purpose: This pilot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preliminary efficacy, and effects of a mobile app healthcare coach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self-regulation theory among youths with type 1 diabetes. Methods: A mixed-method design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intervention (n=23, 12-week coaching program) or control groups (n=16, usual care).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included self-efficacy, diabetes management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HbA1c).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ver. 26.0. The narrative information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healthcare coaching program underwent content analyzed.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depression scores (t=2.57, p=.014) tha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lf-efficacy, diabetes management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verage frequency of health behavior monitoring per week among the participants was 1.86±1.60. The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improved diabetes self-management with the intervention; however, challenges during vacations, dietary control difficulties, and a lack of disease awarenes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e healthcare coaching program improved psychological aspects for youth with type 1 diabe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mobile app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compliance with diabetes management in pediatric and adolescent populations.

정신건강 어려움이 있는 국내 초등학생의 학교-기반 중재 : 체계적 고찰 (School Based Intervention with Mental Health Problem in the Elementary School : Systematic Review)

  • 김기웅;조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35-347
    • /
    • 2018
  • 본 연구는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가진 국내 초등학생의 학교기반 중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추후 더욱 효과적인 정신건강 관련 학교 기반 중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PRISMA 체크리스트와 흐름도를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과학기술센터,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였다. 대상 연구의 중재 특성, 대상자 특징, 평가도구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25개의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학교 기반 중재 특징에 따라 심리교육 중재(자기관리기술, 사회기술, 사회정서학습), 행동 중재(긍정적 행동지원, 모델링), 심리치료 중재(미술치료, 상담치료 및 부모교육), 레크리에이션 중재(로봇 중재, 원예치료)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로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평가 영역은 주로 정서의 변화, 주의력의 변화를 알아보는 도구가 사용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기반 중재의 연구 분야, 대상자, 평가도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추후 더욱 효과적인 정신건강 관련 학교기반 중재를 마련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본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2.023, p=.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2.121, p=.034), 주의집중(Z=-2.032, p=.042)과총B점ehavior during testing (Z=-2.032,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 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내적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의 경험 (Experiences of Problem drinkers Participation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Moderate Alcohol Drinking)

  • 강경화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1-13
    • /
    • 2018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문제음주자 관점에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명함으로써 탐색적 이해를 보여주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질적 기술 연구 설계가 사용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13명의 문제음주자와 개별 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알코올 정보,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 자기효능감과 행동 변화 측면에서 4개의 주제 및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직장 내에서 운영된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개인별로 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대체로 수용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자를 신뢰하는 참여자일수록 음주행동 변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충분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음주 폐해에 대한 인식과 변화 동기의 증진 및 행위기술인 자기효능감의 획득을 통하여 문제음주 행동 변화에 유용한 접근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등 다양한 일차건강관리 현장에서 알코올중독 예방을 위한 조기개입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모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on th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 홍현정;신나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337-349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A total of 372 mothers of preschoo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maternal attachment, adult attachment,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Adult attachment was analyzed by distinguishing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Parenting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For the main analyses, Preacher and Haye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examine ser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only mediated the effect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otab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or either positive or negative parenting behavior. By contras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void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se findings elucidate the predictive factors for parenting behavior within a process model framework,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aimed at enhancing mothers' parent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