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 plant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6초

유한한 깊이의 투수층에 의한 파랑의 감쇠 (Damping of Water Waves over Permeable Bed of Finite Depth)

  • 김건우;이명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9-20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한한 깊이의 투수층에 의한 에너지 감쇠효과를 고려한 파랑의 변형을 해석하였다. 파의 에너지 감쇠율과 상대수심의 관계식을 제시하였으며, 에너지 감쇠율을 고유함수전개법에 사용하여 투수층에 의한 에너지 감쇠를 계산하였다. 투수성이 있는 수중둔덕에 대해서, 수치실험 결과는 해석해로 간주할 수 있는 적분방정식의 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하였다. 또한, 투수경사에 의한 반사율을 다양한 주파수에 대해서 실험하였으며, 수치실험 결과, 수심이 매우 커서 수면파가 투수층의 영향을 받을 정도가 아닌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파랑일수록 투수층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토 및 육묘 포트의 개발을 위한 제지 슬러지의 이용 (제1보) - 제지 슬러지의 물리.화학적 분석 - (Utilization of Paper Sludges for Developing Bed Soils and Seedling Pots (I) - Physico-chemical analysis of paper sludges -)

  • 김철환;김경윤;신태기;정호경;이영민;송대빈;허무룡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4호
    • /
    • pp.61-67
    • /
    • 2007
  • Paper sludges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paper mills were physico-chemically analyzed in order to use them as raw materials for making bed soils and seedling pots. The sludge from a fine paper mill contained lots of inorganic pigment particles used for coating, as those from a newsprint mill and a tissue mill had not. It was clearly through XRD analysis confirmed that all sludges included calcium carbonate. The paper sludge from the tissue mill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particles, which would contribute to water absorption and nutrient storage. The sludge from the fine paper mill had the highest density due to many inorganic elements. While the ash content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sludge from the fine paper mill, the C/N ratio was the lowest in the fine paper mill sludge. All sludges seemed to have insufficient contents of potassium. The sludges from the newsprint mill and the tissue mill showed more silicon contents than that from the fine paper mill. It was concluded that the sludge from the fine paper mill would be able to be the most efficient raw materials for making bed soils and seedling pots and the other two sludges would be more efficient for intensive culture for crops such as rice and grain with additional supplement of nitrogen and other nutrients.

Screening of Spray-Dried K2CO3-Based Solid Sorbents using Various Support Materials for CO2 Capture

  • Eom, Tae Hyoung;Lee, Joong Beom;Baek, Jeom In;Ryub, Chong Kul;Rhee, Young Woo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1권1호
    • /
    • pp.115-120
    • /
    • 2015
  • $K_2CO_3$-based dry regenerable sorbents were prepared by spray-drying techniques to improve mass produced $K_2CO_3-Al_2O_3$ sorbents (KEP-CO2P, hereafter), and then tested for their $CO_2$ sorption capacity by a $2,000Nm^3/h$ (0.5 MWe) $CO_2$ capture pilot plant built for Unit 3 of the Hadong thermal power station in 2010. Each of the sample sorbents contained 35 wt.% $K_2CO_3$ as the active materials with various support materials such as $TiO_2$, MgO, Zeolite 13X, $Al_2O_3$, $SiO_2$ and hydrotalcite (HTC).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reactivity were tested to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to a fluidized-bed or fast transport-bed $CO_2$ capture process. The $CO_2$ sorption capacity and percentage utilization of $K_2CO_3$-MgO based sorbent, Sorb-KM2, was $8.6g-CO_2/100g$-sorbents and 90%, respectively, along with good mechanical strength for fluidized-bed application. Sorbs-KM2 and KT were almost completely regenerated at $140^{\circ}C$. No degradation of Sorb-KM by $SO_2$ added as a pollutant in flue gas was observed during a cycle test.

소나무 낙엽층 화염높이 산정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Flame Height Equation for the Pinus densiflora Surface Fuel Bed)

  • 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0-15
    • /
    • 2009
  • 산불에서의 화염높이 산정은 복사열전달에 의한 수평 또는 수직적 화염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화염특성 중 화염높이는 빛을 수반하는 화염(the luminous flame)의 평균높이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풍속과 경사 등으로 인한 화염 높이가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외한 산림내 지표연소물질(surface fuel)인 소나무 낙엽층(fuel bed)에 대한 화염높이 관측실험과 열량분석계을 이용하여 발열량(Heat Release Rate) 측정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지표연소물질에 대한 화염높이 산출식 $H_f=0.027(\dot{Q'})^{2/3}$을 도출하였다.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기존 Heskestad 식과의 적용값 비교 결과, 소나무 낙엽의 경우,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적용값의 표준오차는 0.08, 실험값과 기존 Heskestad 식의 표준오차는 0.23으로 개발 산정식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덕산(德山) 정수장(淨水場)에서의 BAC Pilot plant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AC pilot plant in the Duk-san water works)

  • 이상봉;김동윤;임정아;이원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7
    • /
    • 1995
  • Today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system has many problems. The ozone/GAC process, sometimes termed Biological Activated Carbon(BAC), appeared to be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soluble organic matters in the drinking water. The water quality of Nak-dong river in Pusan, generally shows BDOC 30-40% and NBDOC 60-70%. The pilot plant installed at the Duk-san water works that was been largest treatability(1,650,000ton/day) in Pusan. A experimental water in the pilot plant made use of the water after sand-filteration.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rom this study. Initial adsorption velocity($DOC/DOC_o/T$) in the pure adsorption of GAG had a 0.0225, it's velocity changed to 0.006 after ozone added and the optimum ozone dose ranged of $1.4-2.0mgO_3/L$. A experimental water in the pilot plant composed with humic material(78%). Humic material composed with humic acid(20%) and fulvic acid(56%), and it's rate changed to 18 and 50% respectively after ozone added. DOC constantly decreased in the EBCTs and removal efficieny in the 15min of EBCT was 45-50%. It showed the largest removal rate of BDOC in the EBCT 5 and among the season, characteristics of removal varied. The HPC distributed over $10^6-10^7CFU/cm^3$ in the bed depth and among the season, distribution of HPC were differential.

  • PDF

Growth, Nitrogen Metabolism, and Nodulation of Hypernodulating Soybean Mutant Affected by Soil Fertility

  • Ha, Bo-Keun;Lee, Suk-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5-14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growth and nodulation characters of hypernodulating soy-bean mutant, SS2-2, and to know the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of the mutant in infertile soil. Soil fertility was adjusted by mixing the different ratios of soil components including clay, river sand, and horticultural bed, which resulted in fertile and infertile soil. Dry weight, nitrogen concentration, and leaf nitrate reductase of each plant were measured around V6 stage (47 days after planting) and around R3 stage (82 days after planting).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oil fertility and soybean genotype on the total dry weights including root, nodule, stem, leaf, and pod dry weight at V6 and R3 stages. Total dry weight of hypernodulating mutant, SS2-2, was clearly less than that of its wild type, Sinpaldalkong 2. However, nodule development on the roots of SS2-2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Sinpaldalkong 2, regardless of soil fertility. Though SS2-2 was smaller in plant size than Sinpaldalkong 2, genotypic difference in total nitrogen content was not significant at both V6 and R3 stages because SS2-2 fixed more nitrogen biologically than its wild type in the root nodule. The SS2-2 mutant showed lower plant yield in both infertile and fertile soil. The SS2-2 contained more crude seed protein than Sinpaldalkong 2, and was characterized with reduced top and root growth.

  • PDF

인공습지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주입방법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속도 평가 (Removal Velocities of Pollutants under Different Wastewater Injection Method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Livestock Wastewater)

  • 김성헌;서동철;박종환;이충헌;이성태;정태욱;김홍출;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2-279
    • /
    • 2012
  •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주입부하량에 따른 대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입방법에 따른 수처리 효율 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처리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설계 및 시공시 부지면적 감소와 오염물질의 처리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주입방법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속도를 조사하였다.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시기별 주입방법에 따른 수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최종 5차 방류수에서 COD, SS, T-N 및 T-P의 처리효율은 연속적 주입의 경우는 각각 99.5%, 99.8%, 99.0% 및 99.8%였으며, 간헐적 주입의 경우는 99.2%, 99.5%, 98.5% 및 99.3%로서 상대적으로 연속적 주입이 간헐적 주입보다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다.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주입방법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속도 K ($day^{-1}$)는 축산폐수 주입방법을 연속적 및 간헐적으로 구분하여 각 방법에 따른 COD, SS, T-N 및 T-P의 제거속도를 각각 조사하였으며, 각 오염물질의 제거속도는 $ln(C/C_0)=-Kt$의 1차 반응속도식을 이용하였다. COD 제거상수(K)는 연속적 주입의 경우 1차, 2차, 3차, 4차 및 5차 처리조에서 각각 0.210, 0.086, 0.222, 0.053 및 $0.137\;d^{-1}$이었고, 간헐적 주입의 경우 0.377, 0.129, 0.174, 0.052 및 $0.169\;d^{-1}$였다. 그리고 T-N의 제거속도 상수(K)는 연속적 주입의 경우 1차, 2차, 3차, 4차 및 5차 처리조에서 각각0.235, 0.071, 0.171, 0.058 및 $0.126\;d^{-1}$이었고, 간헐적 주입의 경우0.361, 0.121, 0.109, 0.047 및 $0.155\;d^{-1}$이었다. T-P의 제거속도 상수(K)는 연속적 주입의 경우 1차, 2차, 3차, 4차 및 5차 처리조에서 각각 0.572, 0.049, 0.090, 0.112 및 $0.222\;d^{-1}$이었고, 간헐적 주입의 경우 0.803, 0.084, 0.076, 0.118 및 $0.301\;d^{-1}$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때 제거속도는 연속적 주입이 간헐적 주입에 비해 빠른 경향이었으며, 본 현장 축산폐수처리장은 축산폐수 유입 부하량 변동과 순간 부하량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동층(流動層) 연소기(撚燒器)로 부터 발생(發生)된 석탄(石炭) 비산(飛散)재를 이용(利用)한 인공경량골재(人工輕量骨材) 제조(製造) (Manufacturing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using a Coal Fly Ash Discharged from Fluidized Bed Combustor)

  • 강민아;강승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54-60
    • /
    • 2011
  • 유동층 연소 방식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된 석탄 비산재를 점토와 혼합하여 8 mm 크기의 구형 성형체를 제조한 후, $1050^{\circ}C{\sim}1250^{\circ}C$에서 10분 직화 소성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고, 골재의 발포특성에 미치는 비산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산재가 50 wt% 미만으로 첨가원 시편은 발포되면서 black-coring 현상을 나타내었다. 비산재가 50 wt% 이상 포함되면, 소성온도와 함께 골재의 부피비중이 높아지면서 시편 전체가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이는 미연탄소 함량의 증가로 인해 과도한 환원분위기가 형성되고 따라서 가스가 급속히 방출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산화철이 환원되기 때문이다. 소성온도가 같을 경우 비산재 함유량이 높을수록 골재의 부피비중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비산재 첨가량이 10 wt%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시편들은 소성 온도를 높이면 홉수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온일수록 액상이 많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유통층 연소기 석탄 비산재에 점토가 10~90 wt% 첨가된 시편들은 부피비중이 0,9~1.8, 흡수율이 8~60%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어 중량 내지 경량골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공 접종재배가 표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tipore Spawn Inoculation on Productivity of Lentinus edodes (Berk) Sing)

  • 주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1996
  • 표고의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접종량(接種量)의 증가(원목(原木) $m^3$ 당 3.0kg - 6.0kg)가 균사(菌絲)의 초기 발육 상태인 활착(活着), 만연(蔓延)과 숙도(熟度) 그리고 우실체(宇實體)의 생산성(生産性)인 5년간 발생량과 개체당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의 증가는 종균(種菌) 활착율(活着率)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균사(菌絲) 만연율(蔓延率)과 균사(菌絲) 숙도율(熟度率)을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자(字) 실체(實體)의 발생량도 증가되어 대조구인 골목$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의 발생량은 16.34kg/$m^3$이었으나 접종량(接種量) 6.0kg구에서는 7.7% 증가되어 17.60kg/$m^3$ 이었다. 2.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哉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 증가는 자실체(字實體)의 조기 발생을 나타내었다. 자실체(字實體)의 2년차와 3년차의 건조 중량 발생량은 대조구인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는 5년간 발생량의 62.7%인 10.25kg/$m^3$인 반면 비교구인 접종량(接種量) 5.0kg구-6.0kg구는 74.0%-82.7%인 12.82kg/$m^3$-14.56kg/$m^3$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4년차와 5년차에서의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3. 표고 자실체(字實體)의 월별 발생량은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실체(字實體)는 5월-6월과 8월-9월 동안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량은 당해 년도 발생량의 11%-33%과 16%-28%를 각각 차지 하였다. 4.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따른 접종량(接種量)의 차이에 의한 자실체(字實體) 개체당 평균 중량(건조 중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정화담체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처리 (Treatment of Refractory Organics in Dyeing Wastewater by Using Cell Immobilized Pellets)

  • 한덕규;배우근;조영진;원호식;이용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17-922
    • /
    • 2005
  • 섬유 염색폐수는 PVA, 유기정련제, 각종 염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처리가 매우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폐수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염색폐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성슬러지를 PEG(Polyethylene glycol)에 포괄고정화한 담체를 고정상 반응기를 이용한 공정에 적용시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효율을 평가하고 적정 운전인자를 검토하였다. 별도로 적응과정을 거치지 않은 활성슬러지를 고정화한 담체를 고정상 반응기에 충전하여 호기성 상태에서 연속식으로 운전하였다. 이때 유입수는 $SCODE_{Cr}$ 약 330 mg/L, $SBOD_5$ 20 mg/L 이하의 생물학적 1차 처리수를 사용하였다. 체류시간의 변화에 따른 각 반응기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EBCT 6 hr을 제외하고는 모두 50% 이상의 유기물($CODE_{Cr}$) 제거효율을 보였고 $COD_{Mn}$의 경우 배출허용기준치 90 mg/L보다 평균 18 mg/L 이상 낮았다. EBCT $6{\sim}24\;hr$ 결과들을 비교한 결과 EBCT 8 hr이 유기물 제거효율과 배출허용기준을 고려할 때 경제적이고 안정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적정 체류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기에 충분한 DO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주입공기 선속도를 $7\;m^3/m^2{\cdot}hr$ 이상으로 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체내부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PAH, PVA, Phenol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균주가 성장하고 있었다. 한편, 고정화담체를 131일에 걸쳐 관찰한 결과 압축강도와 담체내부로의 물질확산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괄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염색폐수처리에서 고정상 반응기는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의 후처리로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