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con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32초

다중배열 디지털필터를 이용한 위성비콘 수신기 설계 (Design of the Satellite Beacon Receiver Using Array Based Digital Filter)

  • 이경순;구경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909-916
    • /
    • 2016
  • 비콘 수신기는 위성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위성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는 지구국의 안테나를 목표 위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지셔너의 조정 및 송신출력 제어 목적을 위한 것으로 무변조 저전력 연속파(CW)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 신호 검출은 협대역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tensity) 방식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온도변화 및 장시간 동작에 따른 위성 송출 비콘 주파수 변동이 발생됨에 따라 비콘 수신기에서 주파수를 추적하는 스캔 기능 구현을 필요로 한다. 본 설계에서는 보다 빠른 비콘 신호 검출을 위하여 협대역 디지털필터를 다중 배열하여 비콘 주파수를 추적하고, SNR(Signal to Noise Ratio) 방식에 의한 비콘 신호 검출방식 수신기로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과 지구국 사이의 강우감쇠를 고려한 무선채널 링크 버젯을 사용하여 비콘 신호 수신 $C/N_o$ 및 비콘 신호 검출을 위한 필요 C/N을 고려한 뒤 디지털필터의 대역폭 및 배열 개수를 도출한다.

A Study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BLE Advertisement Function

  • Jang, Bong-Soo;Lee, Sang-Joon;Kwak, H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67-73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lectronic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of the beacon and BLE advertising function of the smart phone. In the beacon-only bluetooth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it is needed more than one beacons according to the class room sizes. A BLE advertising function based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can not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attendances. In the proposed system, we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instructor using the beacon of the class room, and confirm the attendances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s's smart phone. In this system, we can achieves the goals of electronic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only one beacon per a class room.

Analysis of Optimal Parameters for Hopping Pilot Beacon in a CDMA Mobile Cellular Network

  • Choi, Wan;Kim, Jin-Young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7-57
    • /
    • 2007
  • In this paper, optimal parameters of a hopping pilot beacon are analyzed in a CDMA mobile cellular network. The hopping pilot beacon is used for inter-frequency handoff. It can reduce the number of pilot beacons needed for the inter-frequency handoff by transmitting neighbor frequency pilots periodically through a pilot beacon. The optimal parameters for transmission time and period of the hopping pilot bacon are derived by mathematical approach.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optimal values for the hopping pilot beacon under various operation environments.

  • PDF

다단계 속도제어에 의한 폐색구간 분할에 대한 최적화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Optimization of Block Sectioning for Step Speed Control (II))

  • 이종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2권8호
    • /
    • pp.397-404
    • /
    • 2003
  • In part I, we studied only step speed control for train, the second part extended to beacon signaling system and moving block system. With the calculated braking distance in part I, part II showed how to reduce headway using the beacon signaling system and moving block system, revealed that the beacon system has a braking distance advantage for sighting allowance with compared to step speed control, proposed beacon installation interval and revealed the braking distance with moving block system being nearly approached to train pure braking distance. We compared three different train control system to decide the best signaling system for a given condition and obtained the result that three systems have a same headway near 10~13 steps speed control.

Beacon을 이용한 관광 알리미 (Using the Beacon Tourist reminder)

  • 배세영;노경아;김가영;최종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20-522
    • /
    • 2015
  •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해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GPS로 건물 밖의 이동 데이터만 확인 가능 했다면, Beacon은 실내에서의 객체 이동 위치 데이터와 이동 경로를 측정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BLE를 통한 비콘셀이 항시 ID를 주변으로 뿌리고, 이를 인식한 단말기가 수신한 ID를 통해 Beacon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받는 방식으로, Beacon이 설치된 장소에서 특정 범위 안에 있는 단말기기는 Beacon 서버를 통하여 관광지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비콘의 거리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tance Measurement of Beacon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 장규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7
    • /
    • 2022
  • In this study, inaccurate RSSI values of beacons are corrected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For the experiment, the beacon was manufactured using Arduino Uno board and HM-10 Bluetooth module. RSSI valu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eacon and the viewer were measured at intervals of 1m, 1.5m, 2m, 2.5m, 3m, 3.5m, 4m, 4.5m, and 5m. To remove the irregular signal pattern of the beac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was applied to obta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actual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76.6% of the irregular signal pattern was removed after us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In addition, through the smartphone app,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ance accuracy between the beacon and the measurer was less than the actual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within 2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small.

온톨로지 기반의 실내 LBS를 위한 위치 추적 시스템 (Ontology-based Positioning Systems for Indoor LBS)

  • 황치곤;윤창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23-1128
    • /
    • 2016
  • 최근 IoT 기술에서 BLE Beacon은 실내 측위를 위한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측위를 위하여 필터링 기술은 필요하다. 그것은 대부분 고정형 비콘을 이용되었다. 정확한 위치 산출은 비콘을 통해 발생된 정보를 수신하여 측정하는 것은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필터링이 중요하다. 그래서 위치를 산출하고, 불필요한 값을 필터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논문은 실내에 고정된 비콘이 아니라 이동하는 비콘의 정확한 위치 측정하고, 이를 재사용하는 방안으로 온톨로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신세기(RSSI)는 비콘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값이다. 이 값은 값들 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한 정규화로써 위치 온톨로지를 구성한다. 이 온톨로지는 이동하는 비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이 된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온톨로지와 식별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온톨로지를 제공한다. 이는 실내에서 빠르고 정확한 위치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uto-Calibration을 이용한 Unstructured Environment에서의 실내 위치추정 기법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In Unstructured Environment using Auto-Calibration Algorithm)

  • 엄위섭;서대근;박재현;이장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1-217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way of expanding the use area of localization technique by using a beacon. In other words, we have developed the auto-calibration algorithm tha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is beacon by attaching the beacon on an arbitrary position and by using the information of existing beacon under this situation. By doing so, the moving robo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the localization of moving robot is only possible within the area that has installed the existing beacon since the beacon cannot be installed on the accurate location when passing through a danger zone or an unknown zone. Accordingly, the moving robot can slowly move to the unknown zone according to this auto-calibration algorithm and can recognize its own location at a later time in a safe zone. The localization technique is essentially needed in using a moving robot and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certain degree of reliability. Generally, moving robots are designed in a way to work well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surroundings is well arranged and the localization techniques of using camera, laser and beacon are well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 there may be the cases that the place is dark, interfering radio waves, and/or difficult to install a beac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has been proved through an experiment in this paper.

iBeacon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BLE-OTP 인증 메커니즘 (BLE-OTP Authorization Mechanism for iBeacon Network Security)

  • 정현희;신동렬;조광수;남춘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8호
    • /
    • pp.979-989
    • /
    • 2015
  • 사물인터넷(IoT)의 급속한 확산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인해서 실생활의 사물 간 통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iBeacon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스마트폰 앱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다. BLE 통신은 페어링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범위 안에 BLE 통신이 가능한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들에게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보안 방법이 필요하다. iBeacon에 보안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iBeacon 메시지의 암호화 방법과 이를 인증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TP(One Time Password) 방법을 적용한 보안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적용한 출결시스템을 통해 제안한 방법으로 성능측정을 함으로서 이 보안 방법의 유효함을 증명 한다.

O2O 마케팅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비콘 수용자와 비수용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of Beacon as an O2O Marketing Media: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eacon Accepter and Non-accepter)

  • 최민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25-1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O2O 마케팅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파악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관련 변인들에서 마케팅 커뮤니캐이션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자와 비수용자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이용량'과 '브랜드 인식'에서 인지자와 비인지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 예측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을 종속변인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이용량'과 '브랜드 인식' 모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비콘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TAM에서 주장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