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d21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흑마늘과 미나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nk prepared with black garlic and Oenanthe javanica DC)

  • 정태성;김진학;안신애;원용덕;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3-198
    • /
    • 2014
  • 흑마늘 음료의 기호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해 흑마늘과 미나리의 배합비를 각각 3:0(BD-1), 2:1(BD-2), 1:1(BD-3), 1:2(BD-4)의 비율(w/w)로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식품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흑마늘 미나리 혼합음료의 pH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값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2.40(BD-1)에서 6.46(BD-4)로 증가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BD-4에서 46.96 ${\mu}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D-3(42.36 ${\mu}g/mL$), BD-2(41.91 ${\mu}g/mL$), BD-1(28.48 ${\mu}g/mL$)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BD-4에서 18.60%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D-3(15.53%), BD-2(12.53%), BD-1(10.27%)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D-1에서 28.7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미나리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BD-2는 39.43%, BD-3은 45.69%, BD-4는 52.51%로 나타났다. 철 이온 킬레이트 효과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D-1(6.38%)에 비해 BD-4(39.94%)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수용성 비타민(B1, B2, B6, C) 함량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BD-1(130.10 ${\mu}g/mL$)에 비해 BD-4(806.21 ${\mu}g/mL$)가 6배 가량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도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에서 BD-4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마늘 미나리 혼합 음료를 제조할 경우 흑마늘과 미나리를 1:2 비율(w/w)로 혼합하는 것이 생리활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음파 에너지 조사 시간과 분사지연에 따른 BD20의 디젤기관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BD20 according to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Duration and Injection Delay in a Diesel Engine)

  • 임석연;이호길;류정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8-46
    • /
    • 2008
  • An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n engine perform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pplying BD20 fuel reformed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o diesel engines. Before conducting the main experimen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um injection timimg of reformed BD20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o control the duration of the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he capacity of an ultrasonic energy fuel supply system was tested with 550cc and 1100cc chamber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gular BD20 and reformed BD20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he BSFC and the Power of the reformed BD20 was improved 3% and 6%,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non-irradiated BD20. When the fuel injection timing was delayed by $5^{\circ}$, the engine power was improved by 3%, and the BSFC was improved by 2%. The maximum cylinder pressure of reformed BD20 was improved by a maximum of 6% in comparison to that of regular BD20, and demonstrated a synergistic effect of 3% by delaying the injection timing $5^{\circ}$.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서 검정콩 된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박의성;이재양;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70-1278
    • /
    • 2015
  • 시료 된장의 pH, 아미노태, 암모니아태 수치는 각 군 간 특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검정콩 된장이 가장 높은 폴리페놀 농도,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된장 추출물은 0.1~0.5 mg/mL 범위까지는 RAW 264.7 cells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HT-29를 이용한 MTT에서 BD 군이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보였다. HT-29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와 염증관련 인자 COX-2의 mRNA 발현은 시료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BD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p21, p53과 cyclin D1의 mRNA 발현은 p21과 p53가 BD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cyclin D1은 BD군에서 낮아졌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인 Bcl-2는 BD군이 가장 낮은 발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D군은 CD, SD군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농도, 항산화 효과, 대장암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s과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을 조절한다. 이 결과는 아마도 서목태 된장의 높은 총 페놀화합물의 양과 안토시아닌의 함량으로 얻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Identifying Barriers to Big Data Analytics: Design-Reality Gap Analysis in Saudi Higher Education

  • AlMobark, Bandar Abdull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261-266
    • /
    • 2021
  •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digital computing, and the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have led to increased growth of data. That growth of data results in what is known as big data (BD), which seen as one of the most strategic resources. The analysis of these BD has allowed generating value from massive raw data that helps in making effective decisions and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With Vision 2030, Saudi Arabia seeks to invest in BD technologies, but many challenges and barriers have led to delays in adopting BD. This research paper aims to search in the state of Big Data Analytics (BDA) in Saudi higher education sector, identify the barriers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n to apply the design-reality gap model to assess these barriers that prevent effective use of big data and highlights priority areas for action to accelerate the application of BD to comply with Vision 2030.

Exploring Responses to Light in the Monocot Model Plant, Brachypodium distachyon

  • Tran, Quynh-Giao;Han, Yun-Jeong;Hwang, Ok-Jin;Hoang, Quyen T.N.;Kim, Jeong-Il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2-530
    • /
    • 2018
  • Brachypodium distachyon has been developed as a monocot model plant for temperate grasses and bioenergy crops. Although B. distachyon research is moving forward rapidly, the study of photoresponses has not been explored. To extend our knowledge of responses to light in monocots, we performed photoresponse analysis of B. distachyon using two inbred lines, Bd21 and Bd21-3. In this study, we first compared growing phenotypes between the two lines and investigated coleoptile and primary leaf growths under dark, far-red, red, and white light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two lines were similar until tillering stage, but other developmental stages from heading to senescence were much delayed in Bd21-3, which resulted in increased height and tiller numbers.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primary leaf lengths were kept increasing during the growth period, whereas the coleoptile extension was inhibited 4 to 7 days after growth depending on the light conditions appl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s to light in B. distachyon can be examined by measuring coleoptile lengths approximately 7 days after seedling growth. Moreover, we selected light-responsive genes known in Arabidopsis thaliana, such as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CAB), light-harvesting chlorophyll binding protein (Lhcb) and chalcone synthase (CHS), and confirmed their light-induced gene expression in B. distachy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inhibition of coleoptile growth can be used as the parameter to analyze photoresponses in the monocot model plant, and also provide the reference genes whose expression is induced by far-red and red light treatment.

Successful Treatment Using Wire-reinforced Interdental Splint for a Puppy with Rostral Mandibular Fractures

  • Kim, Se Eun;Shim, Kyung Mi;Kim, Seung Hyun;Bae, Chun-Sik;Kang, Seong S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7-140
    • /
    • 2018
  • A five-month-old toy poodle was referred for treatment of bilateral mandibular fractures. Preoperative skull and dental radiographs showed rostral mandibular fractures and permanent teeth that had not yet erupted. In addition to providing stability for the healing of fractures, it is very important to focus on restoring normal occlusion. The mandibular fractures were repaired using interdental wiring in a dentate area where the deciduous canines and fourth premolars were stable and could be used to anchor the interdental fixation. In the absence of an erupted permanent mandibular first molar, the modified Risdon wiring was performed using the deciduous mandibular fourth premolars as anchor teeth. An intraoral splint was placed on the mandibular teeth using self-curing composite resin. Five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 had experienced no complications, and the permanent teeth had erupted normally. In this case, which involves a small-breed puppy with deciduous dentition, treatment with a wire-reinforced interdental splint using intact deciduous fourth premolar teeth as anchor teeth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method for rostral mandibular fracture restoration.

Effect of intracanal medications on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reparative cements

  • Pereira, Andrea Cardoso;Pallone, Mariana Valerio;Marciano, Marina Angelica;Cortellazzi, Karine Laura;Frozoni, Marcos;Gomes, Brenda P.F.A.;de Almeida, Jose Flavio Affonso;de Jesus Soares, Adrian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2호
    • /
    • pp.21.1-21.8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alcium hydroxide with 2% chlorhexidine gel (HCX) or distilled water (HCA) compared to triple antibiotic paste (TAP) on push-out bond strength and the cement/dentin interface in canals sealed with White MTA Angelus (WMTA) or Biodentine (B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0 extracted human lower premolars were endodontically prepared and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intracanal medication, as follows: group 1, HCX; group 2, TAP; group 3, HCA; and group 4, control (without intracanal medication). After 7 days, the medications were removed and the cervical third of the specimens was sectioned into five 1-mm sections. The sections were then sealed with WMTA or BD as a reparative material. After 7 days in 100% humidity, a push-out bond strength test was performed. Elemental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interface, using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p < 0.05). Results: BD presented a higher bond strength than WMTA (p < 0.05). BD or WMTA in canals treated with calcium hydroxide intracanal medications had the highest bond strength valu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AP in the WMTA group (p < 0.05). There were small amounts of phosphorus in samples exposed to triple antibiotic paste, regardless of the coronal sealing. Conclusions: The use of intracanal medications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WMTA and BD, except when TAP was used with WMTA.

BD Andromedae의 주기 변화와 광도곡선 분석

  • 송미화;김천휘;우수완;윤요라;배태석;조영;진혜진;한원용;최용준;문홍규;임홍서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0권1호
    • /
    • pp.21.2-21.2
    • /
    • 2011
  • 2010년 11월 05일부터 11월 29일 중 총 12일간 진천 소재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60cm 반사망원경과 ST-8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BD And의 BVR CCD 측광 관측을 수행하여 처음으로 BVR 광도 곡선을 완성하였다. 또한, 극심시각 결정을 위한 측광관측이 레몬산 천문대 1m 반사망원경과 충북대학교 천문대의 35cm 망원경으로 수행되었다. 우리의 관측과 SWASP 관측을 통하여 모두 31개의 극심시각을 새로이 결정하였다. 새로운 관측은 이 별의 공전주기가 이전까지 알려진 0.4629일이 아니라 그 두 배인 0.9258일이며, 기산점도 반주기 바뀌어야 함을 보여 준다. BD And의 광도요소를 Min I = HJD 2434962.8602 + 0.d9258054 E으로 새롭게 개정하였다. 이 광도요소로 작성한 우리의 BVR 광도곡선은 제1식과 제2식의 깊이가 거의 비슷하며, 식바깥 부분에 잘 발달된 파형 모양을 보인다. 이는 BD And가 짧은 주기의 RS CVn형 식쌍성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의 극심시각을 포함한 총 144개의 극심시각에 대한 (O-C)도를 작성한 결과, BD And의 공전주기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변화를 보이지 않는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궤도이심율이 0.78이며, 9.19년의 주기를 가진 광시간 궤도를 결정하였다.우리의 광도곡선을 2003년 Wilson-Devinney 쌍성 모형으로 분석하여 광도곡선 해를 질량비 q=1.1822, 궤도경사각 i=$86.^{\circ}16$, $T_1$=6358(K), $T_2$=6250(K), $r_1$=1.117(Rsun), $r_2$=1.321(Rsun)와 같이 산출하였다. 식바깥에서 나타나는 파형 모양의 변화는 주성의 표면에 매우 큰 흑점으로 잘 설명되며, BVR 광도곡선에서 각각 전체 광도의 각 6.4%, 8.1%, 9.9%에 해당되는 제3 광도가 검출되었다. 이는 주기연구에서 제안된 제3천체의 존재 가능성을 더 공고히 한다.

  • PDF

수분-열처리로 제조한 멥쌀가루의 호화 특성과 겔 강도 (Pasting Properties and Gel Strength of Non-Waxy Rice Flours Prepared by Heat-Moisture Treatment)

  • 서혜인;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6-204
    • /
    • 2011
  • HMT가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과 물리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 아밀로오스 쌀은 태국산 수입쌀 TG(29.2%)와 국내산 특수미인 고아미GM(28.9%)을 사용하였고, 중간 아밀로오스 쌀은 추청미CC(23.6%)와 고시히카리 KSHK(21.2%)를 사용하였다. HMT 쌀가루는 습식제분 쌀가루를 수분함량 21%, 24%, 27%, 30%로 조절하여 각각 $100^{\circ}C$$105^{\circ}C$에서 30, 60, 90분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HMT GM, HMT, TG 쌀가루의 RVA 특성 변화는 HMT 처리시간, 수분함량 증가에 따라 PV와 BD가 낮아지면서 peak가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HMT KSKH 쌀가루는 처리온도와 처리시간 증가에 의해 BD의 현저한 감소와 높은 FV값을 보였고, HMT CC는 다른 쌀가루에 비하여 현저한 PV와 SB 증가와 낮은 BD로 FV가 매우 크게 상승하였다. HMT GM과 HMT TG는 수분 21%, $100^{\circ}C$, 30분에서 HMT 효과가 크게 이루어졌으나 HMT CC와 HMT KSKH는 그보다 높은 $105^{\circ}C$ HMT 온도나 긴 처리 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HMT 쌀가루의 BD는 수분함량, 처리온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수분함량 30%, $105^{\circ}C$, 90분의 HMT 조건에서 최소값을 보였다. HMT로 모든 쌀가루의 팽윤력은 증가였으며 용해도는 CC 이외의 다른 쌀가루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무처리쌀가루시료의 겔 강도는 TG(79.23 g)> GM(38.24 g)> CC (32.26 g)> KSHK(25.66 g) 순이었고 HMT로 모든 쌀가루의 겔 강도는 증가하였으며, HMT GM과 HMT TG가 큰 증가폭을 보였다. 겔 강도는 SB(r=0.777, p<0.01)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BD(r=-0.713, p<0.01)와 PV(r=-0.355, p<0.05)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HMT에 의해 쌀가루의 전분입자 내 분자 간 결합력 강화에 의한 BD 감소와 SB 증가가 겔 강도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