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L-x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매몰채널 pMOSFET소자의 서브쓰레쉬홀드 특성 고찰 (Subthreshold characteristics of buried-channel pMOSFET device)

  • 서용진;장의구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8권6호
    • /
    • pp.708-714
    • /
    • 1995
  • We have discussed the buried-channel(BC) behavior through the subthreshold characteristics of submicron PMOSFET device fabricated with twin well CMOS process. In this paper, we have guessed the initial conditions of ion implantation using process simulation, obtained the subthreshold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process parameter variation such as threshold adjusting ion implant dose($D_c$), channel length(L), gate oxide thickness($T_ox$) and junction depth of source/drain($X_j$) using device simulation. The buried channel behavior with these process prarameter variation were showed apparent difference. Also, the fabricated pMOSFET device having different channel length represented good S.S value and low leakage current with increasing drain voltage.

  • PDF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in the Swine Leukocyte Antigen-DRA Gene and Piglet Diarrhea in Three Chinese Pig Breeds

  • Yang, Q.L.;Zhao, S.G.;Wang, D.W.;Feng, Y.;Jiang, T.T.;Huang, X.Y.;Gun, S.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9호
    • /
    • pp.1228-1235
    • /
    • 2014
  • The swine leukocyte antigen (SLA)-DRA locus is noteworthy among other SLA class II loci for its limited variation and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pth.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ct polymorphisms of four exons of SLA-DRA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piglet diarrhea in Landrace, Large White and Duroc pigs. No polymorphisms were detected in exon 3, while 2 SNPs (c.178G>A and c.211T>C), 2 SNPs (c.3093A>C and c.3104C>T) and 5 SNPs (c.4167A>G, c.4184A>G, c.4194A>G, c.4246A>G and c.4293G>A) were detected in exon 1, exon 2 and exon 4 respectively, and 1 SNP (c.4081T>C) in intron 3.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genotype had significant effect on piglet diarrhea, individuals with genotype BC had a higher diarrhea score when compared with the genotypes AA, AB, AC and CC. Futhermore, genotype AC had a higher diarrhea score than the genotype CC in exon 1 (p<0.05); diarrhea scores of genotype AA and BB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otypes AC and CC in exon 2 (p<0.05); individuals with genotype AA had a higher diarrhea score than individuals with genotype AB and BB in exon 4 (p<0.05). Fourteen common haplotypes were founded by haplotype constructing of all SNPs in the three exons, its association with piglet diarrhea appeared that Hap2, 5, 8, 10, and 14 may be the susceptible haplotypes and Hap9 may be the resistant haplotype to piglet diarrhea. The genetic variations identified of the SLA-DRA gene may potentially be functional mutations related to piglet diarrhea.

Genetic Variations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ifth Intron of Porcine NRAMP1 Gene

  • Yan, X.M.;Ren, J.;Ai, H.S.;Ding, N.S.;Gao, J.;Guo, Y.M.;Chen, C.Y.;Ma, J.W.;Shu, Q.L.;Huang, L.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183-1187
    • /
    • 2004
  • The natural resistance-associated macrophage protein 1 (NRAMP1) gene was identified as a candidate gene controlling the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to a number of intracellular parasites in pigs. The genetic variations in a 1.6 kb region spanning exon 1 and exon 3 of the porcine NRAMP1 gene were investigated by PCR-HinfI-RFLP in samples of 1347 individuals from 21 Chinese indigenous pig populations and 3 western pig breeds. Three alleles (A, B, C) and four genotypes (AA, BB, AB, BC) were det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were observed between Chinese indigenous pig populations and exotic pig breeds, while in general the differences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among Chinese indigenous pig populations were not significant. The allele C was detected only in Duroc, Leping Spotted and Dongxiang Spotted pig, and the two Chinese pig populations showed similar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Four Chinese Tibetan pig populations displayed genetic differentiation at the NRAMP1 gene locus. In addition, intron 5 of the NRAMP1 gene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directly sequencing the PCR products encompassing intron 5. The alignment of intron 5 of the porcine, human, equine and ovine NRAMP1 gene showed a similarity of 45.38% between pig and human, 52.55% between pig and horse, 63.47% between pig and sheep, respectively.

섬유용양마의 육종에 관한 연구 -단일반응성과 섬유종의 유전 및 연소 (Studies on the Breeding of the Response to short photoperiod, Fiber weight, and Qualitative characters and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characters in Kenaf)

  • 박종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124
    • /
    • 1968
  • 1. 양마의 섬유중 단일반응성 엽형 경색 엽병색 삭과색에 관한 제형질에 대하여 개개의 질적형질의 유전 및 그들의 연소를 연구하였다. 량적형질의 유전은 통계유전학적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인자분석을 하였다. 또 이들 양적형질의 질적형질과의 연소 및 양적형질상호간의 연소를 조사하여 얻어진 지견을 응용하여 선발의 효과를 높이려고 하였다. 2. 본실험에는 양마의 품종 Dashkent, G38F-1의 1교잡을 사용하였다. Dshkent는 우리나라 재래품종으로 경색은 녹색이고 열핵엽형 녹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 단일처리하에서 106.9222일이고 호외 포장조건에서 105.8234일이었고 개체당 섬유중은 26.4922 gr였다. G38F-1은 Guatemala에서 도입하여 계통선발된 품종로서 적색경 수원엽형 적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단일처리하에서 62.3784일이고 호외포장조건에서 148.8921일였고 개체당 섬유중은 37.1591 gr.였다. 본교잡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P, $P_2$, $F_2$, $F_2$, $BC_1$,($F_2$ ${\times}$ Dashkent), $BC_2$($F_2$ ${\times}$ G38F-1)의 각집단이며 1965년 수원작물시험장 포장에 재식하였다. 3. 엽형 엽병색 경색 삭과색 등 제형질의 유전은 수원엽형 녹색엽병 녹색경 녹색삭과등의 제인자가 단인자로서 그의 대립형질인 열각엽형 적색엽병 적색경 황색삭과에 대하여 각각 열성으로서 3:1의 Mendel성단순분리비를 나타내었다. 또 $F_1$과 열성형질과의 여교잡은 각각 1:1의 분리비가 인정되었다. 엽병색(G)과 엽형유전자(L)와의 조환가는 11.9565의 상인연소현상을 보였다. 삭과색(Y) 경색(R) 유전자간에는 어느것이나 연소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4. 단일반응성의 변이는 연소적이며 우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인자간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가적 유전을 보였다.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89.50%로서 실용적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단일반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대의 인자로 추정하였고 다시 양친의 유전자형을 aabb AABB라고 측정하여 각인자의 작용가는 11.136일로 산출되었고 분해법에 의한 유전분석결과 유전자형의 관찰빈도분포와 이론빈도분포는 서로 잘 적합되었다. 단일반응성에 있어서 유전력이 대단히 높았으므로 비교적 초기세대에서 본 형질의 선발이 가능할 것 같았다. 5. 단일반응성과 엽형 및 엽병색 유전자와의 사이에 $F_2$, $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들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단일반응성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6. 섬유중 유전자와 엽병색 및 엽형유전자와의 사이에 $F_2$$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 섬유중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7. 경장 경경 개화일수와 주당섬유중의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표현형상관보다도 유전상관의 절대치가 크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물체의 크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장 개화일수와 섬유중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높은 치를 보였다. 8. 이상의 유전분석 결과 엽형 및 엽병색과 단일반응성경장 섬유중 형질간에는 연소 혹은 다면발현(pleiotropic effect)이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하드라도 대과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양마에 있어서 고섬유중을 위한 선발은 엽병색 및 경장의 선발과 엽형 및 개화일수로서 선발을 함께 하면 그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믿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