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ketbal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2초

영상 자료를 활용한 학생 농구부 슈팅 훈련 지도방안 (A Study on the Shooting Traning of Basketball Sports Club using Video File)

  • 김세민;이규정;이정원;전병일;홍기천;유강수;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2-38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농구부 지도자들이 촬영한 농구 학생 선수들의 슈팅 훈련 영상을 바탕으로 슈팅의 투사각도를 분석하였다. 슛팅 영상에서 스크린 샷을 통하여 선수의 슈팅한 높이와 공의 궤적을 실선을 통하여 그렸고, 이를 선수들에게 보여주어 성공률이 더 높은 상황으로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상을 통하여 농구선수들에게 효율적인 지도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학생의 규칙적인 운동이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r Exercises on Basic Physical Fitn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김원식;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7-140
    • /
    • 2000
  •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provide a bas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egular exercises on basic physical fitn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40 second graders from a middle school were chosen randomly and divided into 4 groups-wrestling group, basketball group, jogging group, and control group. The first three groups have been trained 4 times per week for 18 weeks after class to be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Pre and post measurements of physical fitness of the subjects were processed by means of the SPSS program.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s of each group were covered with the ANOVA test,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the types of train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period and improvement in basic sports ability. The conclusions as follows; 1. In the 50 meter sprint, only the wrestling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other groups showed gradual progress in general. 2. In the standing long jump, there is no group that showed any improvement. 3. In the forward flexion of the trunk, no significance was to be found. 4. In 30-second sit-ups, the wrestling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wrestling group made greater progress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 basketball group and the jogging group also showed rather great progress. 5. In push-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groups of wrestling, basketball, and jogging. And the wrestling group came in first, the basketball group second, and the jogging group third on the progress level. 6. In the distance run, the jogging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jogging group made considerable progress. Steady improvement was to be found in the groups of wrestling and basketball.

  • PDF

2010~2011 시즌 자료를 활용한 프로농구 구단의 효율성 평가 (An efficiency evaluation of Korean basketball league using 2010~2011 season data)

  • 최경호;안정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505-513
    • /
    • 2013
  • 한국프로농구는 1997년 8개팀으로 출범한 이래 꾸준히 발전하여 현재 10개팀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겨울스포츠이다. 관중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0~2011 시즌에는 각 경기 평균관중이 3,815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영수지 측면에서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일환으로 효율성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효율성 분석 방법인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농구 구단의 효율성에 대해서 평가한다. 데이터분석 결과, 전자랜드, LG, KT 등이 효율적으로 평가된 반면, 오리온스, 인삼공사, 모비스 등은 효율성이 크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분석을 통한 승패결정요인 추정: 2010-2011시즌, 2011-2012시즌 정규리그 기록 적용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ictory and defeat through analyzing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 김세형;이준우;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993-1003
    • /
    • 2012
  •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을 이용하여 승패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치러진 정규리그 (540경기)의 기록을 분석하여 승패결정요인을 추정하였다. 한국농구연맹은 7개 공격변인과 7개 수비변인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자료 중에 공헌도와 공격력에 적용되는 6개 공격변인 (2점슛 성공률, 3점슛 성공률, 자유투 성공률, 공격리바운드, 어시스트, 턴오버)과 4개 수비변인 (수비리바운드, 스틸, 굿디펜스, 블록슛)이 승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하였다. 두 분석은 PASW와 Answer Tree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6개 공격변인 중 2점슛 성공률, 3점슛 성공률, 턴오버가 통계적으로 승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4개 수비변인 중 굿디펜스를 제외한 수비리바운드, 스틸, 블록슛이 통계적으로 승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변인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에서는 2점슛 성공률이 51%-58%이며, 3P%가 31%를 초과하고 TO가 11개 이하일때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80.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수비변인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수비리바운드가 24개를 초과하고 스틸이 6개를 초과하며, 블록슛이 2개를 초과할 때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9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에 따른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e-leg Drop landing Pattern and Muscular Activity depending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mong Basketball Club members)

  • 정경열;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1-4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CAI)에 따른 한발착지패턴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레크레이션 농구경기에 참여하고 있는 농구동호인 30명을 대상으로 국제발목협회에서 제공하는 CAI 표준 선정기준에따라 CAI집단 21명과 CON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다. 한발착지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초기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하지정렬과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고 초기접촉 시점, 발꿈치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및 중간볼기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단일 다리 드롭랜딩 시 하지정렬과 하지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CAI에 따라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CAI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경기포지션을 고려하여 움직임의 특성 및 기능적 요구의 차이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韓國人) 청년남여(靑年男女)의 최대산소섭취량(最大酸素攝取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 II 편(篇) 남여운동선수(男女運動選手)의 최대산소섭취량(最大酸素攝取量)에 관(關)하여 - (Studies on the Maximal Oxygen Intake of the Korean - Part II. The Maximal Oxygen Intake of Korean Athletes -)

  • 이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권1호
    • /
    • pp.91-101
    • /
    • 1967
  • The maximal oxygen intake (MOI) was determined in 54 males (23 nonathletes, 10 basketball players, 8 hand ball players, 7 weight lifters and 6 long distance runners) and in 49 females (24 non-athletes, 16 basketball players and 9 volley ball players) by using a treadmill method outlined in Part I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ximal aerobic work capacity varied from the lowest value of 1,008 kg-m/min in female non-athletes to the highest value of approximately 2,000 kg-m/min in male basketball players and long distance runners. Values of other groups varied from 1,400 kg-m/min in male non-athletes and female athletes to 1,800 kg-m/min in male hand ball players. (2) The MOI per unit body weight varied from the lowest value of 41.3 ml/min/kg in female non-athletes to the highest value of 67.6 ml/min/kg in male long distance runners. Values of other groups were in the order of 47 to 55 ml/min/kg. (3) The heart rate during maximal aerobic work performance varied from the lowest value of approximately 180 per min in female basketball players and male long distance runners to the highest value of 190 or above in nonathletes of both sexes. (4) An estimate of oxygen debt as measured during 15 minutes following the maximal work was 3.841 in female non-athletes, 4.681 in female athletes, 5.561 in male non-athletes and 6.321 in male athle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I per unit body weight as well as the oxygen debt of Korean non-athletes were comparable to, while corresponding values of Korean athletes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urope.

  • PDF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한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분석 : 2014-2015 정규리그 (Analyzing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using general linear model)

  • 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957-970
    • /
    • 2015
  • 이 연구는 일반선형모형에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2014-2015 정규리그 270경기)을 분석하였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3점슛시도에서 승패와 홈원정 집단간에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변인들 (2점슛시도, 어시스트, 속공, 선수교체)은 모두 승패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홈원정경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어시스트는 3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 속공은 어시스트가 2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어시스트는 2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그리고 속공은 어시스트가 3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수교체는 2점슛시도, 3점슛시도 그리고 어시스트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상해 예방훈련이 여자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Injury Prevention Training Program on the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the Rebound in Female Highschool Basketball Players)

  • 임비오;정철수;신인식;김석범;남기정;이상우;박용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38
    • /
    • 2008
  • 본 연구는 8주간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예방훈련이 농구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가한 연구 대상자는 $16{\sim}18$세 사이의 여자 농구선수 16명이다. 8주간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예방훈련을 수행할 실험집단 8명과 스포츠상해 예방훈련을 수행하지 않을 통제집단 8명을 무작위로 나눈 후 훈련 전후에 농구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 초기피크(%BW), 최대피크(%BW), 충격량(%BW.sec) 및 부하율 (N/sec)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농구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에 8주간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예방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에서 초기피크 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지면반력의 충격량과 부하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주간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예방 프로그램이 점프 동작에 필요한 하지의 근신경 조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쳐 효율적으로 착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자 농구선수들의 엽산과 비타민 B12 섭취가 혈액학적 요인 및 면역인자,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lic acid and vitamin B12 supplementation on hematologic factors, immune factors,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in Women's basketball players)

  • 박노환;조인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27-332
    • /
    • 2019
  • 본 연구는 여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가 혈액학적 요인 및 면역인자,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를 섭취군과 통제군 각각 9명으로 선정하였으며, 4주간의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 전 후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 무산소 능력 측정 결과 섭취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혈액요인 분석의 경우 RBC, Hct의 섭취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염증 및 면역 분석 결과 섭취군에서 평균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섭취군과 통제군 모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여성 농구선수의 유 무산소성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엽산과 비타민 $B_{12}$ 섭취는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의 기질 및 인지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Basketball and Baseball Players)

  • 김건중;한덕현;김선미;오명진;유주형;이동민;민경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34-141
    • /
    • 2023
  • 연구목적 과거 스포츠 선수의 신체, 기술적인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 훈련하던 경향과 더불어 최근 선수의 기질, 성격 그리고 인지 능력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의 중요성에도 초점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 및 기질과 인지기능에 따라 선수들 및 일반인들 사이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더불어 차례가 정해져 있고 느린 템포의 경기를 하는 야구 선수와 빠른 템포의 경기를 하며 순간적인 판단을 자주하는 농구 선수 간의 기질과 인지 기능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 예상했다. 방법 2023년 한해 동안 프로 농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7명, 프로 야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1명, 선수 생활을 해본 적 없는 일반인 44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 컴퓨터화된 신경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 군의 인구 특성, 기질 및 성격 특성, 인지 기능의 평균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Bonferroni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전과 비주전 선수들간의 기질 및 성격, 인지 기능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간의 기질 비교에서, 보상의존, 지속성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다. 성격 검사에서는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던 반면 자기초월은 농구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들은 비 주전 선수들에 비해서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의 점수가 높았다. 인지 능력 검사인, 감정지각 검사에서,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가 대조 군에 비하여 correction rate가 높았다. 심적회전 검사에서 농구 선수 그룹이 가장 correction rate가 높았고, 카드정렬 검사에서는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의 움직인 카드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감정지각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 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심적회전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프로 농구 및 야구 선수들과 일반인 간의 성격, 기질 그리고 인지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프로 선수들의 기질은 일반인과 비교하여 높은 보상의존과 지속성 경향성을 보였다. 성격에선 프로 선수가 일반인과 비교하여 자기지향성과 연대감 경향성이 높았지만 자기초월성 점수는 낮았다. 인지 능력 검사에서 감정지각 검사, 심적회전 검사, 카드정렬 검사 모두 운동 선수가 일반인보다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 선수들이 성격, 기질 및 인지 능력 면에서 일반인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선수 육성과 지도 목표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