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diospore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Ganoderma lucidum의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의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 및 환기(換氣)의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and Aeration on the Formation of Non-Basidiocarpous Basidiospores of Ganoderma Lucidum)

  • 신관철;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4-196
    • /
    • 1989
  • Ganoderma lucidum의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의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 및 환기(換氣)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비자실체성(非子實體性) 담자포자(擔子胞子)는 $30^{\circ}C$에서 가장 잘 형성(形成)되었고 $15^{\circ}C$$35^{\circ}C$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포자(胞子)의 형성(形成)에 있어서는 환기(換氣) 조건(條件)이 필요(必要)하였고 포화(飽和) 습도하(濕度下)에서는 포자(胞子)가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 PDF

먹물버섯의 자가분해 과정에 대한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Autolysis of Coprinellus congregatus)

  • 최형태;조정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2-315
    • /
    • 2005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에서는 자실체가 성숙된 후 곧 자가분해되어 먹물로 전환된다. 이 자가분해 과정과 관련된 가수분재 효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자가분해과정과 연관된 미세구조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자실체의 성숙과정에서 자실층과 자실하층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질은 새로운 포자의 형성을 위하여 포자로 이동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직 내의 세포질의 고갈과 포자의 완성은 조직 내의 세포벽의 분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실층과 자실하층의 세포벽은 동시적으로 분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먹물버섯의 자가분해가 세포질의 분해가 아닌 세포벽의 분해과정에 의한 것임을 보여 주었으며, chitin 분해효소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표고 담자포자 유래 단핵균사의 A 교배형과 생장 속도 상관관계 (Correlation of A Mating Type with Mycelial Growth Rate in Basidiospore-derived Monokaryons of Lentinula edodes)

  • 박미정;유림;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7-495
    • /
    • 2021
  • 표고는 사극성의 교배계를 갖는 담자균의 일종으로, 표고의 교배형은 A와 B라 불리는 서로 독립된 두 유전자좌에 의해 결정된다. 이론적으로 하나의 이핵균주는 네 개의 서로 다른 교배형을 갖는 담자포자를 1:1:1:1의 비율로 만들 수 있다. 과거 연구 결과에 따르면, 표고 담자포자에서 교배형이 편향된 분리비로 나타남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들은 꺽쇠연결과 같은 형태학적 특성만을 기반으로 교배형을 결정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배형의 편향된 분리비가 표고에서 일반적인 현상인지 보다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해서 최근에 보고된 DNA 마커를 활용하여 세 가지 표고 품종들의 담자포자에 대한 교배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배형의 편향된 분리비가 과거 보고와 일치하게 균주 특이적인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분석한 세 품종 중 한 품종을 제외하고 나머지 두 품종에서 편향된 분리비가 관찰된 것이다. 다음으로는 각 담자포자 유래 단핵균사들의 생장 속도와 교배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고 단핵균사의 생장 속도는 B 교배형과는 관계가 없고, A 교배형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 교배형 유전자좌에 존재하는 호메오도메인 전사인자 혹은 A 교배형 유전자좌와 연관된 유전자들이 단핵균사의 생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버섯 신품종 육성에서 교배형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효율적인 신품종 육성 전략을 세우거나 단핵균사 생장 기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axonomic Study on Korean Schizopora

  • Lim, Young-Woon;Jung, Hack-Sung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94-197
    • /
    • 2001
  • Schizopora paradoxa is a white rot fungus showing great variation in hymenophoral configuration. It has been often treated as close to Irpex or Hyphodontia and frequently confused with S. flavipora which was identified as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Distinct features including sizes of basidia and basidiospores as well as hymenophoral shape make S. paradoxa differ from S. flavipora. Remarkable characters of hymenophores and microscopic structures are described and their significance is discussed for the taxonomy of Korean Schizopora.

  • PDF

영지버섯 백색변이주의 광 및 온도에 의한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 of a White Mutant of Ganoderma lucidurn Induced by Light and Temperature)

  • 조수묵;서건식;유익동;신관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19
    • /
    • 1994
  • White mutant of Ganoderma lucidum(G4142) induced the non-basediocarpous basidiospores(NBB) from the aerial mycelia on agar media by the light illumination. Light was found to be necessary for NBB formation, but it also inhibited the growth of mycelium. The best sporulation was obtained at the periodic exposure of 16 hour light and 8 hour dark. Blue and yellow light were the most effective on sporulation, however, near UV and red light did not induce any spores. Effective light intensity for NBB bearing was about 1,000 lux as white light. Even after 16 days of culture, this strain did not form the pinhead nor chlamydospor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NBB formation were 30$\circ $C. Ganoderma lucidum G4142 exhibited the formation of stroma after five days of incubation at 30$\circ $C.

  • PD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Cho, Jung-Hee;Lee, Seung-Eun;Chang, Who-Bong;Cha, Jae-Soon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04-107
    • /
    • 2006
  • Flammulina velutipes was transformed efficiently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The transformation frequency was about 16% with the gill tissues of the fungal fruiting body. Southern hybridization and genetic analysis suggest that the introduced DNA was inserted onto different locations of the fungal genome, and inherited stably to the next generation via basidiospores. Transformation or gene tagging with Agrobacterium T-DNA based vector should be useful for wide ranges of genetic or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of the mushroom.

Analysis of Mating System in Lentinula edodes and Development of Mating Type-Specific Markers

  • Ha, Byung-Suk;Kim, Sinil;Ro, Hyeon-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2-42
    • /
    • 2014
  • Mating of tetrapolar mushrooms is regulated by to chromosomal loci, A and B. A locus contains A gene that expresses a homeodomain protein whereas B locus contains multiple pheromones and receptor gene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ating loci in Korean cultivate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one hundred monokaryotic myclelia were isolated from the basidiospores of cultivated strains, including Cham-A-Ram, Sanjo701, and Sanjo707. Both mating loci were amplified using primer sets targeting conserved sequence regions for homeodomain (HD), pheromone, and receptor genes.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Korean strains contained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homeodomain of A locus, even within the same A1 or A2 mating type. Similarly, B locus was also highly diversified in the sequences of pheromones and receptors as well as gene organization. These results enabled us to design mating type-specific probes which can distinguish mating type of each strain.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between intra- and inter-strain mating experiment.

  • PDF

한국산(韓國産)과 미국산(美國産)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리기테다 소나무 파종균(播種苗)에 대한 포자접종효과(胞子接種効果) 비교(比較) (Spore Inoculum Effectiveness of Korean and American Strains of Ecto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under Nursery Conditions)

  • 이경준;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3-47
    • /
    • 1984
  • 한국산(韓國産)과 미국산(美國産)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Pisolithus tinctorius : Pt)의 포자접종효과(胞子接種効果)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리기테다 소나무 파종상(播種床)에 접종(接種)을 하였다. methyl bromide로 훈증(薰蒸)된 묘포장(苗圃場)에 $1m^2$당(當)의 1g의 Pt포자(胞子)를 접종(接種)하고 파종(播種)하여 당년(當年) 가을에 묘고생장(苗高生長)을 조사(調査)하였는데 미국(美國) Pt로 접종(接種)된 묘목(苗木)은 한국(韓國) Pt로 접종(接種)된 것보다 묘고(苗高)에서 15% 더 컸으며, 훈증(薰蒸)만 하고 접종처리(接種處理)되지 않은 묘목(苗木)을 중간정도의 생장(生長)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韓國) Pt의 묘목(苗木)는 별로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다음해 실시한 볕도의 실험(實驗)에서, 토양훈증(土壤薰蒸) 후 미국(美國) Pt 혹은 韓國 Pt로 접종(接種)한 묘목(苗木)은 훈증(薰蒸)없이 자생균근균(自生菌根菌)으로 감양(感梁)된 묘목(苗木)보다 당년(當年)에 묘고(苗高)에서 각각 66%와 60% 더 컸다. 이것은 Pt 접종효과(接種効果)와 토양훈증효과(土壤薰蒸効果)가 함께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實驗)은 균근균(菌根菌) 포자(胞子)를 접종원(接種原)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미국(美國) Pt와 같이 어떤 지역(地域)에 적응한 Pt 균(菌)의 선발(選拔)이 중요하다는 것과 한국(韓國)에서도 우수한 균근균(菌根菌)을 선발(選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이산화 유황이 느타리버섯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Dioxide on Growth of the Fruit Bod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관철;구자형;유성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3-167
    • /
    • 1983
  • $SO_2$가 느타리버섯의 자실체생장(生長)과 갓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SO_2$의 농도(濃度)를 0.625, 1.25, 2.5 및 5 ppm으로 조절(調節)하고 노출시간을 15, 30, 60, 120 및 180분(分)으로 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의 자실체(子實體)에 $SO_2$를 처리하면 갓색이 변화(變化)하였는데 낮은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회청색(灰靑色)을 띄었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높아질수록 담갈색(淡褐色), 암갈색(暗褐色)으로 변색(變色)이 심하여 졌다. 2. 자실체(子實體) 변색(變色)의 한계점(限界點)은 0.625 ppm 120분(分), 1.25 ppm 30분(分), 2.5 ppm 15분(分)이었고 5 ppm에서는 10분(分) 이내(以內)에 변색(變色)하였다. 3. $SO_2$를 1.25 ppm 120분이상(分以上), 2.5 ppm 60분이상(分以上), 5 ppm 30분이상(分以上) 처리(處理)하면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2.5 ppm, 180분(分), 5 ppm 60분(分)에서는 자실체(子實體)가 고사(枯死)하였다. 4. $SO_2$의 처리(處理)는 담자기(擔子器)의 발육(發育)과 포자형성(胞子形成)을 심하게 억제(抑制)하였고 형성(形成)된 포자(胞子)의 $20{\sim}25%$는 기형화(畸形化)하였다. 5. $SO_2$를 처리(處理)한 자실체(子實體)에서 ethylene 발생(發生)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한국들잔디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olani AG 2-2(IV)의 완전세대 형성 (Formation of Teleomorph of Rhizoctonia solani AG 2-2(IV) Isolated from Zoysiagrass)

  • 이재홍;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8-281
    • /
    • 1995
  • An isolate of Rhizoctonia solani AG 2-2(IV) from zoysiagrass was examined on development of its teleomorph by the modified soil-on-agar culture method. The most effective growth medium for sporulation was Czapek's 1/2 agar medium added with yeast extract and peptone. The characters of teleomorph of R. solani AG 2-2 (IV) are as follows. Hymenia developed on soil surface after the development of vegetative hyphae. Basidia were barrel-shaped, short clavate or obovate and were 11.4~17.9$\times$7.1~11.4 ${\mu}{\textrm}{m}$ (mean : 15.1$\times$9.0 ${\mu}{\textrm}{m}$) in size. Sterigmata were horn-shaped and slightly bent to the inner side and 4.3~18.6 ${\mu}{\textrm}{m}$ (mean : 10.3 ${\mu}{\textrm}{m}$) in size. Two to four sterigmata developed on each basidium. Basidiospores were obovate, ellipsoid to oblong-ellipsoid, hyaline, smooth, thin walled, with an apiculus, and 3.6~10.4$\times$2.9~5.7 ${\mu}{\textrm}{m}$ (mean : 7.8$\times$4.4 ${\mu}{\textrm}{m}$) in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