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seed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8초

바랭이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Dormancy-Breaking of Digitaria sanguinalis Seeds)

  • 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7-142
    • /
    • 1983
  •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바랭이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영향(影響)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을 처리(處理)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산처리(窒酸處理)는 $10^{-2}$ M 농도(濃度)에서 약(約) 20%, 농황산연속(濃黃酸連續) 8 분간(分間) 처리(處理)에서 37.8%의 발아력(發芽力)을 보여 이들 두 처리(處理)는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를 보였다. 2. 변온(變溫)($15^{\circ}-35^{\circ}C$$20^{\circ}-35^{\circ}C$) 처리(處理)는 처리후(處理後) 10 일째 약(約) 89%의 높은 발아력(發芽力)을 보여서 빛과 더불어 바랭이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으로 간주되었다. 3. 종피제거(種皮除去)로 72%의 발아력(發芽力)을, 종피(種皮)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빛만의 조사(照射)로 약(約) 88-89%의 극히 높은 발아력(發芽力)을 보여서 변온처리(變溫處理)와 더불어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휴면타파방법(休眠打破方法)으로 구명(究明)되었다. 4. 변온하(變溫下)에서 GA, BA 및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 등(等)은 변혼(變混) 그 자체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를 증가(增加)시키지 못하고 억제(抑制)시키는 현상을 보였다. 정온하(定溫下)에서의 평균발아력(平均發芽力)은 변온처리시(變溫處理時)보다 훨씬 낮았으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상호처리간(相互處理間)에는 유의(有意)한 발아력(發芽力)을 보였다.

  • PDF

고속도로 절·성토 비탈면 녹화 공법의 적용 실태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Highway Slopes)

  • 김남춘;송호경;박관수;전기성;이상화;이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7
  • A variety of revegetation methods are being utilized and developed. However, most of revegetation methods used on highway slopes in Korea are based on foreign-introduced plant varieties to stabilize road surfaces and to administer afforestation for surface covering at an earlier phase. Therefore. it results in various problems. such as failure to achiev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vegetation and 10 cause re-denudation of slopes as the foreign-in introduced plant varieties wane out from 2~3 years after hydro-seeding, etc. In addition, some of the revegetation plants seeded in the earlier phase grow excessively high, thus causes successional problems, such as to inhibit the invasion of the secondary vegetation from the surrounding area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160 slopes located in the nationwide express highway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order to produce basic data for resto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in slopes created on a long-term basi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t and filled slopes in express highways, status of revegetation methods, characteristics of soil and plant-ecological environment. 1. Investigation on cut and embanked slopes in express highways was carried out in the total of 160 locations, which include 108 cut slopes and 52 embanked slopes. As a whole, the most frequently used revegetation method was seed spray, which was found to be used in the total of 55 target slops investigated. 2. Planting method of Wistaria floribunda applied to some of the blasted rock zones was found to cause damages as Wistaria floribunda trailed up the surrounding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invaded trees. In order to prevent this, this method must be used only in the lowest parts of large-sized slopes. Also, it will be required to administer continuo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 the areas already planted with this plants. 3. The areas of blasted rock and ripping rock slopes were applied with coir net (net + seeding) method. However, many of these areas failed in achieving ground covering. Most areas where revegetation was in progress, they were covered with Eragrostis curvula(Weeping lovegrass) only. In areas with soil, such as decomposition of granite, where afforestation is difficult. In this slopes, soil base must be improved by hrdroseeding with thin-layer vegetation base applica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success in afforestation with native plants. 4. Woody species, rather than herb species, are more helpful in stabilization of slope surfa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grow and protect woody species on highway slopes. Growth of woody vegetation is most largely influenced by soil depth. Thus, when hydro-seeding woody plants, it is recommended to apply at the upper layer of the slopes, which is capable to sufficiently provide the fundamentals required in plant growth.

실내 수조에 설치한 파판에서의 해양 부착 규조의 단기간 천이 및 출현종 (Succession and Appearence Species of Marine Benthic Diatoms on Wave Plates of Indoor Culture Tank (Short-term Observation))

  • 위종환;김형신;이승주;정민민;김태익;김병학;허영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6-47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패류의 유생 사육용 식물먹이생물로 배양중인 부착규조 팍판 배양 과정에서 부착 기질인 파판에 어떤 종류의 식물먹이생물이 부착, 출현하며 어떠한 천이 과정을 거치는지 검토하였다. 실험은 비닐하우스내의 약 20톤 콘크리트 직사각형 수조에 파판을 설치하여, 수온 $8.5{\pm}0.3^{\circ}C$, 비중 $1.0250\~1.0260$, 조도 $2,200\~13,000$ lux의 범위에서 20일간 배양하면서 5일 간격으로 관찰하였다. 각 관찰일에 계수한 시료 중 규조류의 세포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20일간의 실험 기간중 출현한 식물먹이생물은 모두 10종으로 Navicula sp. cf. viridula, Cylindrotheca closteriua Licmophora sp., Pleurosigma normanii,Bacillaria paradoxa, Asterionella glacialis, Stephanoppis sp. cf. turris, Entomoneis sp., Odontella aurita, Cocconeis sp. of, scutellum가 관찰되었다. 한편 각 관찰일별 출현종 수는 5일째가 2종, 10일째 3종, 15일째 10종 그리고 20일째에는 3종이 관찰되었는데, 20일째에는 15일째에 새로이 출현한 7종이 모두 사라졌다. 한편, 실험기간 중 우점종은 Navicula sp. cf. viridula였다.

한국 서해안 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Stichopus japonicu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박영제;김수경;최상덕;김용구;최낙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0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해안 안면도 해역에서 채집한 해삼(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에 관하여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해삼은 자웅이체이며, 생식소는 암 수 모두 다수의 배우자형성소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생식소지수(GSI)는 암 수 모두 각각 6월(7.91, 7.21)에 가장 높았으며, 10월(0.42, 0.53)에 가장 낮았다. 서해안 해삼의주 산란기는 $6{\sim}8$월이며,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1{\sim}3$월), 성장기($3{\sim}4$월), 성숙기($4{\sim}7$월), 산란기($6{\sim}8$월) 및 퇴화 및 휴지기($8{\sim}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국인(韓國人)의 고추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urvey Studies on the Korean Dietary Life of Red Pepper)

  • 박상기;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95-100
    • /
    • 1977
  • To get a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Korean's pattern of comsuming red pepper and the possibility of its industrial production, consumer's ways of red pepper processing and his present dietary habit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follows; (1) Korean's daily consumption of red pepper was on the average 9.2 g on the basis of the whole dried red pepper. (2) The tendency of evading the home drying method was increased; 72.22% in urban community and 50.4% in rural community purchased the dried red pepper in the lump yearly. The household purchasing the fresh red pepper and using the home drying was 27.8% in urban community and 49.6% in rural community, so one third of urban household was still using the home drying method. The case of dependence on tine drying factory was no more than 2.6%. (3) Drying method was mainly sun drying which done on the poor circumstance like as the street side without the proper equipment of drying. Home process of red pepper by housewife was 70.8%, and the old, housekeeper were only 7.3% respectively. (4) The hygienic sense in the drying was rare; 68.8% was not washed and 51.9% of decayed red pepper was eaten. (5) Koreans prefered the strong pungency, deep red color and fine powder form. (6) While the 45.5% of seed was collected by second hand dealer and made use of as resources of edible oil, it was not used effectively due to complexity of its collection system. (7) While 40.1% desired the improvement of red pepper dietary life, 41.1% distrusted the present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on the market. From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 the fact many households have still hygienically poor red pepper processed at home, in spite of the red pepp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pices in Korea. Considering the growing urban population, reduction of unemployed labor due to the increasing nuclear family and hygienic problems caused by the serious pollution, the improvement of red pepper processing method is urgently required. And it is believed that red pepper has a good prospect to be processed on the industrial scale in Korea.

  • PDF

벼 건답직파재배답(乾畓直播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체계(防除體系) (Weed Growth and Effective Control in Direct-seeded Rice Fields)

  • 최충돈;문병철;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5-182
    • /
    • 1995
  • 벼 건답직파(乾짧直播) 재배답(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고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체계(除草體系) 확립(確立)을 위하여 1994년도에 영남농업시험장(領南農業試驗場)에서 수행(遂行)한 일련(一連)의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단작(單作)의 1모작답(毛作畓)에 비하여 미맥(米麥) 2모작답(毛作畓)에서는 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고, 전체적(全體的)으로 약 30%정도(程度)의 잡초발생(雜草發生)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있었으며, 벼수량(收量)도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성력화(省力化)를 위한 무경운(無耕耘) 재배(栽培)는 앵미와 이형주(異型株)의 발생(發生)을 증가(增加)시킬 뿐만 아니라 피와 독새풀의 발생(發生)도 급증(急增)하였다. 3. 피와 바랭이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종자(種子)가 깊이 묻힐수록 출아(出芽)가 늦었으며,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온도(溫度), 종자매몰심도(種子埋沒深度))에서 피는 바랭이 에비하여 3-5일(日) 출아(出芽)가 빨랐다. 출아율(出芽率)도 온도(溫度)와 매몰심도(埋沒深度)에 영향(影響)을 받았는데, 피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이 큰 반면(反面) 바랭이는 매몰심도(埋沒深度)의 영향(影響)이 컸다. 4. 수량성(收量性) 확보(確保)를 전제로한 바람직한 제초체계(除草體系)는 건답상태(乾畓狀態)(벼 출아기전후(出芽期前後))에서 1회처리(回處理)+담수상태(湛水狀態) l회(回)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서,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 90%정도(程度)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내었으며, 수량성(收量性)도 손제초구(除草區) 대비(對比)90%를 상회(上廻)하였다.

  • PDF

기내배양을 통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조직의 NaCl에 대한 반응 (In vitro Culture Response to NaCl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issues)

  • 윤재호;송원섭;이미숙;신동일;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3-130
    • /
    • 2005
  • 인삼포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삼종자의 NaCl에 대한 반응정도를 조사하고, 또한 체세포배의 발생시 및 인삼모상근에서 사포닌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인삼 접합자 배를NaCl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접종한 결과 $84.5\%$가 발아되었으며 0.1M에서는 $3\%$ 만이 발아되었고, 0.2M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또한 체세포배 발생 은 미숙배를 이용할 경우 NaCl 무첨가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성숙배에서 는 NaCl 무첨가배지보다 0.05M첨가배지에서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뿌리 상태인 인삼의 모상근의 경우에는 광상태에서 NaCl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시 0.04M에서부터 안토시안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0.08M에서는 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많은 량이 형성되었다. 안토시안을 함유한 세포주는 다른 세포주에 비해 crude saponin뿐만 아니라 total ginsenoside의 함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anaxatriol보다 panaxadiol이 2배 이상 많았다.

우리나라 야생식용 자원식물의 종류 및 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Survey on Wild Edible Plant Resources in Korea and It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 강병화;심상인;이상각;박수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6-246
    • /
    • 1997
  • 우리나라의 자원식물 중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종에 대한 연구로서 식용자원의 발생 이황에 대한 연구와 유전자원 수집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식용 자원식물 중 74 개과에 속하는 609종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2. 식용 자원식물의 수에 다른 과별 순위는 국화과>백합과>십자화과>콩과>장미과>산형과>화본과>석죽과 순으로 나타났다. 3. 국화과, 십자화과, 백합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식용식물은 경엽부를 채소로서 이용하고 있었으며, 장미과의 식물과 콩과 식물 중 일부는 과실이나 종자를 식용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4. 재배하는 작물종과 식물분류학적으로 근연관계에 있는 종의 수가 많은 화본과 식물은 직접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종의 수가 극히 적었다. 5. 수집된 종자들의 발아률은 종마다 다양하여 자원식물의 식용을 위해서는 발아율의 낮은 종의 발아율 개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의 외부환경 평가항목 개선방향 연구 (Improving Assessment of External Environment for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김지현;권혁삼;김정곤;송옥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3호
    • /
    • pp.171-180
    • /
    • 2017
  • In 1990s, as the extreme weather event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re occurred frequently all around the world and the scale of the damage increases, the developed countries are promoting various policie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setting the go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with the level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Especially for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of buildings and the inducement of eco-friendly design, the green certification system is strengthened with the assessment of energy and greenhouse management, and recently,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the certification system expanded from the buildings to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is piloted. So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ain contents and the assessment system of domest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mplemented in March 2013 in response to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resent domestic greenhouse cert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ertification and the main case analysis of international green certification system. Recently in developed countries, in 1990s, for the reduction of building's greenhouse gas emission and the inducement of eco-friendly design, from the building of LEED, BREEAM, DGNB to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such a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BREEAM Communities, DGNB Stadtquartiere, the system is expanded and piloted. On the contrary, as for the domestic standard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the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the assessment items in each category consists of the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buildings, and just the simple adjustment of some items and the improvement of weighted value are performed. Actually,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30 districts of apartment housing with the most certification performance by use among the 49 buildings certified by Institute of Land & Housing from December 2014 to July 2016 and analyzing the assessment score, the certification level is determined by the sectors of high distribution like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not by the ineffective sector of external environment with low distribution so this system has a limitation to perform the practical means for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Thus for the 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tandards, the assessment system in the sector of external environment is to complemented and furthermore, reflecting domestic rea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assessment system with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this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tandard.

침입외래식물 가시상추의 확산과 생육지 유형별 분포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 김영하;길지현;황선민;이창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38-151
    • /
    • 2013
  • 본 연구는 국화과에 속하는 유럽 원산의 외래잡초인 가시상추(Lactuca scariol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시상추는 전국의 211개 지점에서 분포가 확인되었고, 생육지 유형은 크게 나지, 도로변, 항구 및 항만 주변과 하천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종순위-우점도 곡선을 이용한 종다양성 지수는 도로변에서 가장 높았고, 항구 및 항만주변, 나지, 도로변의 순서였다. 생육지 유형별로 총 32개 조사지역에서 공통 출현한 식물의 빈도는, 달맞이꽃이 24회로 가장 높았고, 돼지풀 17회, 쑥 16회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가시상추 생육지에서의 식물상은 총 26과 77속 89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9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외래식물은 44종으로 전체의 45.4%를 차지하였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Th-D4-R5-e로 1년생 식물(Th)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여 가시상추의 생육지가 인간 활동으로 인하여 교란된 지역임을 나타내었다. 가시상추는 주로 새롭게 건설되는 도로를 따라 바람길로 확산되고 있고, 나지에서는 선구종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별 도시화지수(UI)는 도로변 9.1%, 방조제항이 7.4%로 다른 생육지보다 높은 도시화지수를 나타내어, 이 유형이 가시상추뿐만 아니라 외래식물이 비교적 침입하기 좋은 입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시상추의 생육지는 분포면적에 비해 생육밀도가 비교적 낮고 인위적 교란이 자주 일어나는 천이 초기식생 지역이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경우 가시상추의 확산 방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