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 bracke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용 니켈-크롬합금에 대한 표면 처리가 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F DENIAL NICKEL-CHROMIUM ALLOY ON TENSILE BOND STRENGTH)

  • 이은숙;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93-50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니켈-크롬합금의 표면에 전처리없이 치과용 브라켓을 Super-bond로 접착한 대조군과 샌드블라스팅 및 tin-plating을 각각 혹은 병용으로 표면처리후 Super-bond로 접착한 실험각군의 인장접착강도, 브라켓 탈락양상 및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비교하여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장장접착강도는 니켈-크롬합금의 표면에 샌드블라스팅 처리후 Super-bond로 브라켓을 접착한 실험 I군이 $14.41{\pm}2.24MPa$로 가장 높았고, tin-plating처리후 Super-bond로 접착한 실험 III군이 $13.59{\pm}1.51MPa$, 샌드블라스팅후 tin-lating처리를 하고 Super-bond로 접착한 실험 II군이 $12.27{\pm}1.45MPa$, 특정한 표면처리 없이 Super-bond로 접착한 대조군이 $10.50{\pm}1.57MPa$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실험 I군과 실험 III군간, 실험 III군과 실험 II군간, 실험 II군과 대조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브라켓의 주된 탈락양상은 대조군의 경우 $70\%$가 브라켓과 접착제 계면에서 adhesive failure를, $30\%$가 니켈-크롬합금과 접착제 계면에서 adhesive failure를 나타내었고, 실험 각군은 모두 브라켓과 접착제 계면에서 adhesivefailure 를 나타내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에서 대조군의 경우 일부 레진이 브라켓 기저면에 부착되어 나타났으나 실험 각군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레진이 니켈-크롬합금면에 부착되어 관찰되었고, 샌드블라스팅만 시행한 시편면이 가장 균일하고 조밀한 표면 요철상을 나타내었다.

  • PDF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한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과 브라켓 간의 결합 강도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enamel with a self-etching primer after bleaching and desensitizer application)

  • Attar, Nuray;Korkmaz, Yonca;Kilical, Yasemin;Saglam-Aydinatay, Banu;Bicer, Ceren Ozg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2-348
    • /
    • 2010
  • 본 연구는 미백,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8개의 소구치를 무작위로 12개씩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15% hydrogen-peroxide office bleaching agent (Illumine Office-IO), Group 2: IO +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3: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4: 아무것도 하지 않음(대조군). 브라켓 접착 24시간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의 속도를 5 mm/min로 하여 브라켓이 탈락할 때까지 시행하였다. Modified adhesive remnant index를 이용하여 탈락 양상을 분석하였다. 미백만 시행,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탈감작제만 도포한 경우 모두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p$ = 0.001), 이 세 실험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Group 1-Group 2, $p$ = 0.564; Group 1-Group 3, $p$ = 0.371; Group 2-Group 3, $p$ = 0.133). 세 실험군에서 브라켓의 탈락은 주로 법랑질-접착제 계면에서 발생하여 브라켓 베이스에 접착제의 100%가 남아있었다. 따라서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는 교정치료 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한국인 영구치의 순, 협측 치관 굴곡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bial & buccal surface contour in Korean permanent teeth us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ning)

  • 고상덕;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91
    • /
    • 2002
  • 스트레이트 와이어 장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제시되어야 할 여러 사항 중 치관의 굴곡도에 대한 연구는 국내, 외에서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영구치의 순, 협측 임상치관 굴곡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있는 구강 석고모형 36쌍을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닝 하였다. Andrews plane 과 Facial axis of clinical crown(FACC)을 각각 수평 , 수직 기준선으로 설정하고, 이들로부터 상, 하 방향과 좌, 우 방향으로 각각 1m간격으로 2개 혹은 3개씩의 선을 그었다. 이들 선이 교차하는 점들에 대한 3차원적 점 좌표를 만들어 놓고 36쌍 구강 석고모형의 각각 좌표점들의 평균을 구하였다 3차원 좌표 점(x,y,z)을 이용해 곡면 방정식을 만들어 각 치아의 곡률을 구하였고, 가로, 세로 각 방향의 2차원 곡선으로 단순화시킨 곡선에서의 곡률을 구하여 치아 부위마다의 곡률 변화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영구치 치관의 순, 협면 굴곡도의 기초자료를 얻었다. 2. 남, 녀 간에 치관 굴곡도 차이는 없었다. 3. 개개 치아의 치관 굴곡에 대한 특성 1) 상악 중절치에서 치은쪽과 절단면쪽의 곡률 차이가 다른 치아에 비해 심하였으며, 치은쪽이 더욱 심한 곡률을 보였다. 2) 상악 견치의 치관 굴곡도는 근심-절단면쪽의 굴곡이 다른면에 비해 더 심하였다. 3) 상악 제 1소구치에서는 근심-교합면쪽과 원심-치은쪽에서의 굴곡이 더 심하여 치관 표면의 굴곡이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뒤틀린 반면, 상악 제 2소구치에서는 근심 끝과 원심 끝의 치관 표면 굴곡이 비슷하여 서로 평행하게 나타났다. 4) 하악 중절치와 하악 측절치의 치관 굴곡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하악 제 2소구치의 교합면-치은쪽으로의 굴곡이 하악 제 1소구치나 상악 제 2소구치에 비하여 더 둥근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악 중절치와 측절치는 브라켓 베이스를 같게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악 제 1소구치와 제 2소구치, 그리고, 하악 제 1소구치와 제 2소구치는 치관 굴곡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브라켓 제작시 베이스의 굴곡을 다르게 하여야 한다.

Flowable resin을 이용한 브라켓의 재접착 시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rebonded orthodontic bracket with flowable resin)

  • 김동우;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7-215
    • /
    • 2005
  • 본 연구는 교정 치료 중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 시 탈락 전과 유사한 위치로 재접착하기 위하여 브라켓 탈락 전 위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flowable resin을 이용하여 재접착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재접착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브라켓이 탈락된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산 부식 후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새로운 브라켓을 접착하는 통상적인 재접착 방법을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탈락된 브라켓과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치면을 산부식 후 탈락된 브라켓을 Transbond XT와 CharmFil Flow로 재접착한 군을 각각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군간 전단 결합강도를 비교하였으며 ARI score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였고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중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6.30\pm1.01MPa)$의 전단결합강도가 대조군$(6.51\pm1.21 MP3)$에 비하여 낮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34), CharmFil Flow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7.29\pm1.54MPa)$은 Transbond XT을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0.009). 탈락 양상을 관찰했을 때 대조군에서는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레진-치면 간의 파절 양상이 고르게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는 레진-치면간의 탈락 양상은 보이지 않았고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간의 탈락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재접착 방법과 flowable resin의 재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New virtual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for indirect bonding using the stereolithographic technique

  • Son, Kyoung-Hoi;Park, Jae-Woo;Lee, Dong-Keun;Kim, Ki-Dal;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8-1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 new virtual orthodontic treatment (VOT) system, which can be used to construct three-dimensional (3D) virtual models, establish a 3D virtual setup, enable the placement of the virtual bracket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fabricate the transfer jig with a customized bracket base for indirect bonding (IDB) using the stereolithographic technique. A 26-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nterior openbite, crowding in the upper and lower arches, and narrow and tapered upper arch, despite having an acceptable profile and balanced facial proportion. The treatment plan was rapid palatal expansion (RPE) without extraction. After 10 days of RPE, sufficient space was obtained for decrowding. After a 10-week retention period, accurate pretreatment plaster models were obtained using silicone rubber impression. IDB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VOT system. Crowding of the upper and lower arches was effectively resolved, and anterior openbite was corrected to normal overbite. Superimposition of the 3D virtual setup models (3D-VSM) and post-treatment 3D virtual models showed that the latter deviated only slightly from the former. Thus, the use of the VOT system helped obtain an acceptable outcome in this case of mild crowding treated without extraction. More cases should be treated using this system, and the pre- and post-treatment virtual models should be compared to obtain feedback regarding the procedure; this will support doctors and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during the learning curve.

조선후기 궁실건축에 사용된 격식기법의 유형과 변천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in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안소현;전봉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6호
    • /
    • pp.43-54
    • /
    • 2019
  • The grade of East Asian architecture is generally classified by the size, the shape of the roof, and the type of bracket set. The craftsmanship of columns, beam, purlin, stylobate, column base stone and paintwork is also a contributing factor for such classifications. These classifications can be found not only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Oksajo(屋舍條)」 of 『Samguksagi(三國史記)』 but also in 「house details regulations of residential architecture(家舍規制)」 of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designs among the same grade of architecture regardless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research, the Palace, the Royal Residence(宮家), and the Jaesil(齋室) are considered as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And the advanced architectural o details which appear only in the Royal Architectures are defined as the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is detailed design, which can be seen as fabrication of materials and supplementary facto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used in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reveal the type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basis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nd also prevent them from further damages, thus help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s.

수종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 접착강도 비교 (A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ORTHODONTIC ADHESIVES)

  • 유미희;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33-445
    • /
    • 1994
  • Bonding of brackets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for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so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s are very importan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ompare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orthodontic adhesives and to evaluate failure sites. One-hundred twenty extracted human first premolars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premolar brackets were bonded to prepared enamel surfaces with Super C Ortho, Mono-$Lok^2$, Transbond, and Super C Ortho after applying Fluorobond. After bonding of brackets, teeth specime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n group 1 specimens were stored at humidor $37^{\circ}C$ in 1 hour, in group 2 specimens were stored at humidor $37^{\circ}C$ in 24 hours, thermocycled 10 times and in group 3 specimens were stored at humidor $37^{\circ}C$ in 24 hours, thermocycled 1800 times. Then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6022, Instron Co., U.S.A. was used to test the shear bond strength of brackets to enamel. After debonding, brackets and enamel surfaces were examined under stereoscopic microscope to determine the failure si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hear bond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st of using Super C Ortho after applying Fluorobond and Super C Ortho In group 1, was highest of using Super C Ortho in group 2, and was highest of using Mono-$Lok^2$ in group 3. 2. According to time and temperature change, in using Super C Ortho the group 2 had significantly highest strength and group 3 had lowest strength, in using Mono-$Lok^2$ the group 2 and had higher strength than group 1 and in using Super C Ortho after applying Fluorobond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constantly, 3. The failure sites were tooth-resin interface in Super C Ortho after applying Fluorobond, Mono $Lok^2$ and Transbond and were at almost same ratio bracket base-resin interface and tooth-resin interface in Super C Orth.

  • PDF

수 종의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rmocycling on shear bond strength and mode of failure of ceramic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different porcelain restorations)

  • 강상욱;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5-233
    • /
    • 2009
  • 본 연구는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과 도재 수복물의 종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도재전장관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Ceramco 3,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세 가지를 선택하여 각 20개씩 총 60개의 시편을 원반형태(두께 2 mm, 직경 12 mm)로 제작하였다. 동일한 접착 술식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한 후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두 군으로 나누어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7.06\;{\pm}\;1.76\;MPa$, Empress II는 $7.55\;{\pm}\;2.38\;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7.19\;{\pm}\;1.38\;MPa$로 추천되는 전단접착 강도(6 - 8 MPa)에 적합한 강도를 보였으나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은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열순환 후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4.88\;{\pm}\;1.00\;MPa$, Empress II는 $5.46\;{\pm}\;1.35\;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4.84\;{\pm}\;1.01\;MPa$로 임상적으로 추천되는 것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도재의 종류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파절양상은 대조군에서는 모두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으며, 실험군에서는 2개의 시편(Ceramco 3과 Zi-ceram/Vintage ZR군에서 각 1개)만이 접착제내 파절을 보였으며 28개의 시편은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았을 때 도재 수복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열순환에 의해 전단접착강도가 약화되므로 실제 임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침수후 시간에 따른 교정용 레진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변화 (A Change of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Resin Adhesives under Water Immersion)

  • 이제준;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83-789
    • /
    • 1998
  • 본 연구는 침수후 시간경과에 따른 교정용 레진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변화를 비교연구하고 파절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건전한 제1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에 화학중합형 레진접착제인 $Concise^{\circledR}$와 광중합형 레진접착제인 $Transbond^{\circledR}$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부착하고 $37^{\circ}C$ 증류수에 1일,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동안 침수시킨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침수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비교시 Concise군과 Transbond군 모두에서 6개월의 결합강도가 1일, 1주, 1개월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으며(p<0.05) 상관검정 결과 침수시간이 증가할수록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Concise군과 Transbond군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하여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경계부에서의 탈락이 가장 많았으며 침수시간에 따른 접착제 잔류지수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All-in-one Attachment Based Steel Pipe Pile Cutting Robot Prototype)

  • 염동준;한재현;정의현;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15-123
    • /
    • 2018
  •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은 안전성, 품질의 균일성, 작업 생산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자동화 및 기계화 등 대안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풀스케일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선행기술 분석 및 현장 전문가 설문조사, 2)AHP 분석을 활용한 핵심 요소기술 선정, 3)상세설계 도출, 4)구조적 안정성 분석, 5)풀스케일 프로토타입 개발을 수행하였다. 핵심 요소기술 선정 결과, 레이저 레벨기 및 수광기(94.46점), 강관말뚝 절단 기능에서는 플라즈마 절단(96.72점), 강관말뚝 인양 및 운반 기능에서는 회전형 그래플(93.45점)이 선정되었으며, 구조적 안정성 분석 결과,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는 3개 부재(그립부, 실린더 피벗 브라켓, 그립부 베이스)에서 최소 2배 이상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풀스케일 프로토타입은 센싱부 정확도 3.39mm, 절단부 절단 속도 1분 59초로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은 현업에서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고 기술적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므로 그 실용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