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 Station Antenna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6초

Design of the Pattern Adjustable Base Station Antenna for WCDMA Applications

  • Lee, Sang-Ho;Lee, Jung-Nam;Lee, Don-Shin;Park, Jong-Kweon;Kim, Hak-Su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64-69
    • /
    • 2008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pattern adjustable base station antenna for WCDMA applications.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an omni-antenna(sleeve monopole) and two movable reflectors. The two reflectors can be controlled by mechanically and used to adjust the horizontal pattern of the base station antenna. The antenna was designed, fabricated, and measured. The antenna covers the entire WCDMA band for VSWR<1.4. The measured antenna gain is more than 15 dBi over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 By changing the angle (a) and the distance (d) of the antenna, the pattern adjustment of the proposed base station antenna is found to be possible.

IEEE 802.16j 기반의 중계기를 도입한 3섹터 셀룰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기지국 커버리지 확장 기법 (An Effective Coverage Extension Scheme for Trisector Cellular Systems using Multi-hop Relay based on IEEE 802.16j)

  • 유창진;김승연;조충호;이형우;류승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4호
    • /
    • pp.294-30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j를 기반으로 하는 중계기를 도입한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 3섹터 셀룰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기지국 커버리지 확장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IEEE 802.16j MMR 규격에서는 기지국과 멀티홉 중계기에 전방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전방향성 안테나는 전방향($360^{\circ}$)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이웃한 기지국과의 신호간섭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나 지향성 안테나의 경우는 빔이 방향성을 갖도록 안테나를 배치하여 이웃한 기지국과의 신호간섭을 줄일 수 있어 전방향성 방식보다 효율성이 높다. 그러나 IEEE 802.16j MMR환경에서는 기지국과 멀티홉 중계기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채널 재사용 등에 의해 다른 셀에서 쓰이는 동일 채널의 간섭(Co-channel interference) 때문에 지향성 안테나가 갖는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향성 NBTC, WBTC 방식의 기지국에 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중계기를 multi-tier로 배치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기지국과 중계기들의 빔의 방향에 따른 동일 채널 간섭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멀티홉 중계기가 배치된 NBTC안테나와 WBTC 안테나 방식을 전방향성 안테나를 갖는 중계기가 배치된 방식과 비교 분석하여 멀티홉 중계기의 홉 수가 증가함에 따른 성능 저하 및 셀 커버리지 확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기지국 배열안테나의 빔틸트 패턴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beam tile pattern properties of the base station array antenna)

  • 최정환;임계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76-82
    • /
    • 2010
  • 기지국 섹터 배열안테나의 하향 빔틸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압제어 이상기를 사용하였다. 틸트 각도에 따른 각 안테나의 위상각을 도출하였으며 이때 생성되는 패턴의 수직과 수평 방향 성능을 분석 평가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안테나의 셀커버리지 확보와 통화율 증대, 간섭 저감을 이룰 수 있어 최적의 기지국안테나 설계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 PDF

PCS 기지국용 U-슬롯 어레이 안테나 설계 (Design of U-slot Array for OCS Base Station)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7-12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PCS 기지국요 U-슬롯 어레이 안테나 설계가 실행 및 연구되었다. U-슬롯 안테나는 안테나의 부피가 작은 단층 형태이나 기생 패치를 이용하는 설계보다 더넓은 대역폭을 얻을 수 있으며 probe 급전의 경우에 17%이상의 대역폭을 얻을 수 있다. 설계도니 U-슬롯 어레이 안테나는 PCS 주파수 대역에서 12dB이상의 평균 이득과 안정적인 복사패턴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U-슬롯 어레이 안테나의 설계를 통하여 PCS를 기지국용 안테나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기지국 배열안테나의 근역장 프로빙 방법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Near-field Probing Method on the Base Station Array Antenna)

  • 임계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5-72
    • /
    • 2009
  • 기지국 배열안테나의 근역장 프로빙을 통해 원역장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반사판을 갖는 다이폴 배열 안테나와 프로브 사이 높이에 따른 상호 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본 개념은 기지국 배열 안테나의 입력단들과 프로브의 입력 port P 에 대한 근역장에서의 상호 높이를 변화시키며 S 파라미터 측정값을 분석하여 상호결합 효과가 가장 적으면서 프로빙 효율이 높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얻어진 높이는 기지국 배열안테나의 정밀한 원역장 성능을 구하기 위한 근역장 프로빙 시스템 설계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 PDF

Dual-Polarized Small Base Station Antenna Integrated RF Module Applicable to Various Cell Environments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Lee, Jung-Nam;Lee, Yuro;Park, Bong-Hyuk;Kim, Tae-Joong
    • ETRI Journal
    • /
    • 제39권3호
    • /
    • pp.383-389
    • /
    • 2017
  • A small dual-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with a simple isolation patch is presented. A high isolation is achieved when using a shorted metallic isolation patch.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measured impedance bandwidth of the proposed antenna is 1.72 GHz to 1.89 GHz for small cell systems and that the isolation is more than 30 dB. The proposed antenna exhibits good radiation patterns with a peak gain of 8 dBi.

Erlang and Channel Capacity of Truncated Power Controlled CDMA Cellular Systems with Base Station Antenna Arrays

  • Kim, Nam-Soo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0A호
    • /
    • pp.788-795
    • /
    • 2003
  •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truncated power controll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systems with base station antenna arrays. Erlang capacity and the channel capacity which is a maximum date rate to maintain almost error free communication are analytically derived.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ere can be a substantial increase in Erlang capacity and in channel capacity by antenna arrays incorporating with the truncated power control scheme.

안테나 배열을 이용한 CDMA 셀룰라 시스템에서 불완전 전력제어가 역방향 채널 용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mperfect power control on the capacity of reverse channel in cellular CDMA system with antenna arrays)

  • 김씨알;오성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71-482
    • /
    • 1996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imperfect power control on the capacity of the reverse channel in CDMA cellular system with antenna arrays in the base station. For imperfect power control, we assume that the received power at the base station from the users within each cell has log-normal distribution, and we also consider the effect of imperfect power control of co-channel interferences which arise from both its own cell and outer cells. From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e show that the degree of power control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capacity of CDMA celluar system with antenna arrays, and also that antenna arrays at the base station can improve greatly the system capacity even when the power control is imperfect.

  • PDF

가시선 환경에서 Pilot 채널을 이용한 WCDMA 기지국의 EIRP 측정 (EIRP Measurements of WCDMA Base Station Using Pilot Channel in Line-of-Sight Environments)

  • 장병준;문성원;임재봉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45-5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WCDMA 기지국에서 방사되는 유효 등방성 복사 전력(EIRP)을 가시선 환경에서 pilot 채널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특히, 국내 기지국 검사에 적용될 수 있도록 실제 운용 중인 기지국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와 Friis 전송 공식에 의해 추정된 EIRP 예측값과 송신 안테나 정보를 이용한 EIRP 계산값을 비교한 결과, -2 dB의 편차를 갖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2 dB 편차는 실험용 기지국 안테나로 확인한 결과, 편파 부정합에 의한 것으로 판별되어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측정 방법을 활용하면 WCDMA 기지국 검사 시 기존의 공중선 전력으로 검사하는 방법 이외에 EIRP를 직접 측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성형 빔 패턴을 갖는 전기적인 다운 틸팅 안테나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he Electrical Down Tilting Antenna with Shaped Beam Pattern)

  • 이창은;허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호`
    • /
    • pp.111-118
    • /
    • 2005
  • 기지국 안테나의 수직 패턴 형태는 자기 셀 뿐만 아니라 인접 셀의 통신 품질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셀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현재 기지국 안테나에 적용되는 수직 패턴의 형태는 크게 5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안테나의 설계에 있어서, 5가지의 수직 패턴은 단독으로 적용되기도 하고, 또는 복합적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측의 부엽이 억압되고, 하측의 널이 널 필링된 수직 패턴을 갖으며, 또한, 수직면 상에서 연속적인 전기적 다운 틸팅이 가능한 이중 편파의 기지국용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성형 빔 합성은 R. S. Elliott이 제안한 패턴 합성법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또한 전기적인 다운 틸팅 기능을 위해 위상 배열 안테나 기술이 적용되었다. 측정한 결과, 0°~14°의 연속적인 다운 틸팅 범위와 13.3dBi 이상의 이득, 그리고 최대 -23dB의 상측 부엽 성능이 나타났다. 또한, 다운 틸팅 시에도 상측 부엽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패턴의 널 필링 특성도 전반적으로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