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al proces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 미국의 청소년 신체활동목록 (Youth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을 이용하여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Korean youth: using the Youth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 김은경;곽지연;전하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33-542
    • /
    • 2022
  •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TEE) consists of the basal energy expenditure (BEE),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PAEE) and the thermic effect of food. The PAEE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E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individual effor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of PAEE is large. Even for the same physical activity, there is a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between adults and children. Therefore, a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youth is needed to classify the physical activity recorded in the physical activity diary prepared to evaluate children's energy expendi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alculat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required to set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i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paper reports a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for Korean youth using the 2017 Youth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This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includes 110 specific activities classified into 14 major categories by four age groups (6-9, 10-12, 13-15, and 16-18 years old) and their metabolic equivalent values. Of these, 87 physical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the 2017 Youth Compendium reported in the United States. Nin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shing and going to the bathroom, which are daily activit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ot included among them, were selected from the another list (2008) of physical activities in America. The remaining 15 physical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results, which measured the energy expenditur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tivity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4 areas: daily activity (A), movement (B), school work (C), exercise and sports (D). This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 will help standardize the interpretation and scoring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of youth in related studies and community health surveys.

Cisd2 deficiency impairs neutrophil function by regulating calcium homeostasis via Calnexin and SERCA

  • Un Yung Choi;Youn Jung Choi;Shin-Ae Lee;Ji-Seung Yoo
    • BMB Reports
    • /
    • 제57권5호
    • /
    • pp.256-261
    • /
    • 2024
  • In the context of aging, the suscepti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increases, leading to heightened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phenomenon, termed immunosenescence, is characterized by dysregulation in the aging immune system, including abnormal alterations in lymphocyte composition, elevated basal inflammation, and the accumulation of senescent T cells. Such changes contribute to increased autoimmune diseases, enhanced infection severity, and reduced responsiveness to vaccines. Utilizing aging animal models becomes imperativ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mmunosenescence, given the complexity of aging as a physiological process in living organisms. Our investigation focuses on Cisd2, a causative gene for Wolfram syndrome, to elucidate on immunosenescence. Cisd2 knockout (KO) mice, serving as a model for premature aging, exhibit a shortened lifespan with early onset of aging-related features, such as decreased bone density, hair loss, depigmentation, and optic nerve degeneration. Intriguingly, we found that the Cisd2 KO mice present a higher number of neutrophils in the blood; however, isolated neutrophils from these mice display functional defects. Through mass spectrometry analysis, we identified an interaction between Cisd2 and Calnexin, a protein known for its role in protein quality control. Beyond this function, Calnexin also regulates calcium homeostasis through interaction with sarcoendoplasmic reticulum calcium transport ATPase (SERCA). Our study proposes that Cisd2 modulates calcium homeostasis via its interaction with Calnexin and SERCA, consequently influencing neutrophil functions.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관여하는 Adenosine Receptor의 Post-Receptor 기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Receptor Mechanism of Adenosine Receptor on Acetylcholine Release in the Rat Hippocampus)

  • 최봉규;오재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3-272
    • /
    • 1994
  • 흰쥐 해마(hippocampus)에서 acetylcholine (ACh) 유리에 미치는 $A_{1}-adenosine$ 수용체의 post-receptor 기전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 하여 $^3H-choline$으로 평형시킨 해마 slice를 사용하여 $^3H-ACh$ 유리에 미치는 여러가지 약물들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Adenosine $(0.3{\sim}300\;{\mu}M)$은 전기자극(3Hz, 2 ms, 5 $VCm^{-1}$, 구형파)에 의한 ACh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 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A_1-adenosine$ 수용체의 선택적 차단제인 8-cyclopentyl-1, 3-dipropylxanthine $(2\;{\mu}M)$에 의해 차단됨을 볼 수 있었다. G-단백 억제제인 N-ethylmaleimide (NEM, 10과 $30\;{\mu}M$)는 그 자체에 의하여 자극유발성 ACh 유리를 증가시켰으며, adenosine의 효과는 NEM 전처리에 의하여 완전히 소실되었다. Protein kinase C 활성화제인 $4{\beta}-phorbol$ 12, 13-dibutyrate (PDB, $1{\sim}10\;{\mu}M$)는 ACh 유리 증가를 일으켰으며 억제제인 polymyxin B (PMB, $0.03{\sim}1\;mg$)는 감소를 일으켰으나, adenosine에 의한 ACh 유리 감소효과는 PDB 및 PMB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Ca^{++}$-통로 차단제인 nifedipine $(1\;{\mu}M)$은 adenosine의 효과를 길항함을 볼 수 있었으나 $K{^+}$-통로 차단제인 glibenclamide는 adenosine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8-Bromo-cAMP (100과 $300{\mu}M$) 그 자체로는 ACh 유리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치 못하였으나 $300\;{\mu}M$ 8-bromo-cAMP 전처리에 의하여 $30\;{\mu}M\;adenosine$의 효과가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ACh유리 감소는 G-단백에 의존적이며, 이러한 효과에 nifedipine에 예민한 $Ca^{++}$-통로와 adenylate cyclase계가 일부 관여함은 확실하나 proteinkinase C 및 glibenclamide에 예민한 $K{^+}$통로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Receptor의 Post-Receptor 기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Receptor Mechanism of Adenosine Receptor on Norepinephrine Release in the Rat Hippocampus)

  • 최봉규;김도경;양경무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
    • /
    • 1996
  • 흰쥐 해마(hippocampus)에서 norepinephrine(NE) 유리에 미치는 $A_1-adenosine$ 수용체의 post-receptor 기전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 하여 $^3H-norepinephrine$으로 평형시킨 해마 절편을 사용하여 adenosine의 $^3H-NE$ 유리에 미치는 여러가지 약물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Adenosine($1{\sim}30{\mu}M$)은 전기자극(3 Hz, 2 ms, 5 Vcm-1, 구형파)에 의한 NE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이 효과는 선택적인 $A_1-adenosine$ 수용체 차단제인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2{\mu}M)$에 의해 차단되었다. G-단백 억제제인 N-ethylmaleimide(NEM, 10과 $30{\mu}M$)는 그 자체로써 전기자극으로 유발시킨 NE 유리를 증가시켰으며, adenosine의 NE 유리 억제효과는 NEM 전처리에 의하여 완전히 소실되었다. Protein kinase C 활성화제인 $4{\beta}-phorbol$ 12,13-dibutyrate(PDB, $1{\mu}M$)는 NE 유리 증가를 일으켰고, 이 효소 억제제인 $4{\beta}-polymyxin$ B(PMB, 0.1 mg)는 NE 유리감소를 일으켰으며, adenosine에 의한 NE 유리 감소효과는 PDB에 의해 억제되었고, PMB 전처리하에서는 감소효과가 출현하지 않았다. $Ca^{2+}$-통로 차단제인 $nifedipine(1{\mu}M$)은 adenosine의 NE 유리 억제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ATP에 의존적인 $K^+-$통로 차단제인 glibenclamide역시 adenosine의 NE 유리 억제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delayed rectifier $K^+-$통로 차단제인 tetraethylammonium(TEA, 3 mM)은 그 자체로 NE 유리를 증가 시켰으며, adenosine의 NE 유리 억제효과를 차단함을 볼 수 있었다. 8-bromo-cAMP(100과 $300{\mu}M$) 그 자체로는 NE 유리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8-bromo-cAMP 전처리에 의하여 adenosine의 NE 유리 억제효과가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NE 유리 감소는 G-단백에 의존적이며, 이러한 효과에 protein kinase C, TEA에 예민한 $K^+-$통로 및 adenylate cyclase계가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nifedipine에 예민한 $Ca^{2+}-$통로와 glibenclamide에 예민한 $K^+-$통로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작은땃쥐(Crocidura shantungensis)의 정자 변태 (Spermiogenesis in the Crocidura shantungensis)

  • 정승돈;이정훈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31-41
    • /
    • 2007
  • 작은땃쥐(Crocidura shantungensis)의 정자 변태에 대한 연구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자세포의 핵과 세포질내 소기관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초하여 정자 변태 전 과정을 11기(phase) 15 단계(step)로 각각 구분되었다. 골지 및 두모 단계의 정자세포가 구형인데 반해 첨체 전기에는 타원형으로 변하고, 이 시기부터 꼬리가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성숙기에는 가늘고 긴 정자 두부가 형성되었다. Step 7까지는 정자세포의 두부 방향이 내강쪽을 향하고 있는데 반해 step 8부터 step 15까지는 세정관 상피의 기저막쪽으로 향하였다. Step 12에서 정자세포는 핵과 첨체가 최대로 신장되어 나타났다. Step 13에서부터 정자세포의 핵은 납작해지고, 첨체는 납작하게 확장되면서 전체길이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tep 14에 도달한 정자세포의 첨체는 정자 두부와 더불어 최종적인 모양을 취하게 되고, 핵은 쐐기모양을 하고 있으며, 염색질은 완전히 응축되고 균질화 되어졌다. 이탈기(spermiation phase)의 정자세포는 세르톨리 세포의 세포질로부터 점차적으로 떨어져 나갔으며, 이 시기에 정자세포의 첨체는 짧아지고 납작해져서 완전한 정자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자 변태과정은 정자 형성세포의 분화 단계를 분석하는데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 PDF

잡견을 이용한 실험적 뇌사모델에서 뇌사가 혈역학적 변화와 심근손상에 미치는 영향 -제2보 : 뇌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유발한 뇌사모델의 심전도 및 혈역학적 변화- (Effect of the Brain Death on Hemodynamic Changes and Myocardial Damages in Canine Brain Death Model -Electrocard iographic and Hemodynamic Changes in the Brain Death Model Induced by Gradual Increase of Intracranial Pressure-)

  • 조명찬;이동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1-6
    • /
    • 1996
  • 5마리의 잡견(18~22kg)을 이용하여, 경막외강에 생리식염수를 연속 점적하여 뇌사를 유발시킨다. 뇌사발생시 점의 뇌압은 122.0$\pm$6.25mmHg이며 뇌사후 30분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뇌사를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생리식염수의 양은 4.8$\pm$1.0ml이었고, 143.0$\pm$30.9분이 필요하였다. 뇌사가 올때까지 동맥압은 변하지 않지만 그후 점차 떨어지고, 맥박수는 뇌사 30분 후 안정시 보다 50% 정도 증가한 최고치에 달한다. 체온, 심박출량, 폐동맥압, 좌심실 이완말기압등의 혈역학적 지표는 뇌사진행 중에는큰 변화가 없었고, 심실 기외수축이 일시적으로 나타난 이외에는 부정맥도 관찰되지 않았다. 급작스러운 뇌압 상승 모델에서 보였던 혈역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전산광물학을 이용한 점토광물 내의 수산기 연구 가능성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Mineralogy to Studies of Hydroxyls in Clay Minerals)

  • 채진웅;권기덕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1-281
    • /
    • 2014
  • 점토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자 또는 원자 스케일의 연구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만으로는 광물의 미시적 현상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2:1 점토광물 팔면체에 존재하는 수산기(hydroxyl)가 금속 양이온 흡착과정에 큰 역할을 한다는 가정은 X-ray를 이용하는 실험만으로는 명확하게 테스트하기 어렵다. 이번 논문에서는 점토광물 내의 수산기 연구에 대한 전산광물학(computational mineralogy)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점토광물의 기본구조인 팔면체 층만으로 구성된 광물, 1:1 구조를 갖는 광물, 2:1 구조를 갖는 광물 중 대표적인 이팔면체 및 삼팔면체 층상규산염 광물을 선별하여 구조최적화를 실시하였다. 분자역학적(molecular mechanics) 계산과 양자역학적(quantum mechanical) 계산 모두 실험값의 격자상수(lattice parameters)를 잘 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면체층과 팔면체의 구조적 뒤틀림(structural distortion) 등 광물 내부구조를 기존 실험결과와 비교했을 때, 양자역학적 계산결과가 분자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과 보다 더 낮은 오차를 보였다.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수산기가 (001)면과 이루는 각은, 수산기의 H(proton)과 사면체의 Si 양이온 간의 척력으로 결정되는데, 양자역학적 방법은 약 $25-26^{\circ}$로 예측하였고, 분자역학적 방법은 약 $35^{\circ}$ 정도로 양자역학계산 결과와 무려 $10^{\circ}$의 큰 차이를 보였다. 전산광물학은 점토광물 구조연구에 신뢰성이 매우 높은 연구방법으로 양이온 흡착과정 중 수산기의 역할 규명에 사용될 수 있다.

The Value of X-ray Compar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of Traumatic Vertebral Fractures

  • Lee, Yang Woo;Jang, Jae Ho;Kim, Jin Joo;Lim, Yong Su;Hyun, Sung Youl;Yang, Hyuk Ju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158-16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X-rays in patients with acute traumatic vertebral fracture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to analyze the diagnostic value of X-rays for each spine level.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basal characteristics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of 363 patients with adult traumatic vertebral fractures, admitted to the emergency center from March 1, 2014 to February 28, 2017. We analyzed spine X-ray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to determin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rtebral level, and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X-rays by comparing discrepancies between X-rays and MRI scans. Results: For a total of 363 patients, the mean age was 56.65 (20-93) and 214 (59%) were males. On the basis of X-rays, 67 cases (15.1%) were of the cervical spine, 133 cases (30.0%) were of the thoracic spine, and 243 cases (54.9%) were of the lumbar spine. In particular, the thoracolumbar region (T11-L2) was the most common, with 260 cases (58.7%). In X-rays, fractures were the least in the upper thoracic region (T1-T3), whereas MRI scans revealed fairly uniform distribution across the thoracic spine. Sensitivity of X-rays was lowest in the upper thoracic spine and specificity was almost always greater than 98%, except for 94.7% in L1.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lower in the mid-thoracic region (T4-T9)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slightly lower in C6, T2, and T3 than at other sites. Diagnostic accuracy of X-rays by vertebral body, transverse process, and spinous process according to fractured vertebral structur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vertebral level. Conclusions: Diagnostic accuracy of X-rays was lower in the upper thoracic region than in other par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better methods for diagnosis considering cost and neurological prognosis.

폴리에스테르 중합폐수의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1,4-다이옥산 제거 및 16S rDNA에 의한 미생물 군집특성 평가 (Assessment of 1,4-Dioxane Removal in Polyester Wastewater by Activated Sludge and Its Microbial Property by 16S rDNA)

  • 한지선;소명호;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3-400
    • /
    • 2008
  • 유기용제 안정제로 사용되는 1,4-다이옥산($C_4H_8O_2$)은 높은 용해도와 독성으로 인해 생태계에 유해하며 미국 EPA 의해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환경부에 따르면 2011년부터 수계로의 배출허용기준이 5 mg/L로 추진될 예정에 있다. 따라서 구미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현재 운전 중인 활성슬러지가 1,4-다이옥산을 기준에 적합하도록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일부 회사(K, H 및 T)를 대상으로 1,4-다이옥산의 제거율 및 미생물학적 속성이 평가되었다. 처리효율은 H사에서 98%로 가장 높았으며 K사는 77%로 두 개 사 모두 유출농도가 기준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T사 유출수의 1,4-다이옥산 농도는 23 mg/L로 기준보다 높았다. 한편, 각 업체의 활성슬러지를 100 ppm의 1,4-다이옥산이 포함된 BSM(Basal salt medium)에 식종하여 생물학적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7일간의 운전 후, H사의 슬러지를 이용한 시험에서 1,4-다이옥산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T사는 67%, K사는 52%로 이 처리효율의 차이는 1,4-다이옥산의 양이 아닌 주어진 활성 슬러지의 생분해능이 서로 다른 것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각 산업체의 미생물 다양성이 16s rDNA cloning 방법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Methylibium petroleiphilum PM1이 H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K사에서 적은 양이, 그리고 T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Methylibium petroleiphilum PM1은 methyl tertiary-butyl ether(MTBE)와 같은 에테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산업분야의 관점에서 H사의 활성 슬러지가 1,4-다이옥산의 생분해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분자량에 따라 분획된 유청단백분해물이 Bifidobacterium bifidum Bb-11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y Protein Hydrolyzates Fractionated by Molecular Weight on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bifidum Bb-11)

  • 김완섭;박승용;이범진;김평현;고준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9-65
    • /
    • 2002
  • 이 연구는 Whey배지에 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와 Whey protein isolate(WPI)를 첨가하여 B. bifidum Bb-11의 생장촉진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또 이 단백질들의 구성성분인 $\alpha$-Lactalbumin과 $\beta$-Lactogluburin을 trypsin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물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그 효과를 구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WPC 첨가에 의한 효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근소하였다. WPI는 뚜렷한 생장촉진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첨가량이 많을수록 생장이 억제되었다. 두 종류의 유청단백질을 4$0^{\circ}C$에서 6시간 동안 trypsin처리한 후 UF처리에 의하여 분획하고 각 분획들을 Centricon-30 으로 농축한 후, 얻어진 $\alpha$-lactalbumin 분해물 3분획에 대한 단백질농도는 각각 11.63mg, 7.79mg 및 5.21mg 이었고, $\beta$-Lactoglubulin 분해물 3분획은 각각 4.12mg, 5.30 mg 및 9.35mg 이었다. $\alpha$-Lactalbumin분해물 세 분획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생장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 분자량 10,000~3,000Da(F-II)과 3,000Da 이하(F-III)의 두 분획이 모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분자량 10,000Da 이하의 peptide들이 bifidobacteria의 생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beta$-Lactoglubulin 분해물 세 분획들도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이 좋게 나타났다. 분자량 10,000Da 이하의 peptide를 함유하는 두 분획은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배양 24 시간후에는 분자량 3,000Da 이상의 두 분획(F-I, F-II)이 대조구에 비하여 빠르게 생장이 저하된 반면, 분자량 3,000 Da이하의 분획(F-III)에서는 계속적인 생장촉진효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