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tlett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운동선수의 자기관리가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 (A Influence Self Management on Mental Power of Athletics)

  • 김홍설;송강영;이에리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9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자기관리가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체육계열 중고등학생과 대학교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 최종 353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설문지였으며,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결과 각 변인 하위척도의 신뢰도의 경우 .720에서 .898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당도 분석결과 KMO 지수가 자기관리 .925, 정신력 .892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선정이 적절하였음이 밝혀졌으며, Bartlett 구형검정치의 경우 자기관리 및 정신력 등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요인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기법은 상관분석(correlation), 회귀분석(regression)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시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관리는 걱정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관리는 도전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 PDF

한국 보건전문가들의 보건행동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of Selected Health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 Kim, Sung-Hye;Larry K. Olse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62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 보건전문가들의 보건행동을 조사하고, 보건행동간의 상호 관련 요인과 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보건협회 산하의 8개의 보건 관련 학회 중에서 보건교육과 가장 관련이 있는 한국보건교육학회(212명)와 한국보건 간호학회 (124명) 회원 336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미국에서 이미 실시된 여러 보건행동 연구를 기초로 하여 focus group discussion, back-translation, 전문가들의 panel discussion, 그리고 pilot test(사전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보건행동 연구를 위해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1995년 약 두달동안(11월, 12월), 3차에 걸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4.3%의 응답회수율을 보였고,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factor analysis(요인분석)와 ANOVA (변량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응답자의 분포는 남자가 33.8%, 여자가 66.2%였고, 응답자의 80.3%가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유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의 전공분야는 다양하였고, 그들 중에서 36.3%가 간호학, 24.4%가 공중보건학을 전공하였다.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이 학교에 근무하였고, 서울에 거주하였으며, 응답자의 평균 직장 근무연수는 14년 이였다. 2.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에 대한 요인분석 적용의 적합성을 사전검증하기 위하여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630.37, p〈.00)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의 보건행동을 요인분석한 결과, 17개의 보건행동으로 구성된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이 추출되었다. 응답자들의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1) 규칙적인 식사 및 과일 섭취 (2) 음주 및 흡연 (3) 외식,간식 및 카페인 음료 섭취 (4) 운동 및 휴식 3.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요인과 네가지 보건행동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F=69.59, df=1,203, p〈.05), 교육정도(F=3.48, df=3,199, p〈.05) 그리고 직장(F=4.04, df=3,201, p〈.05)에 따라 음주 및 흡연 행동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응답자의 직장 근무연수(F=2.39, df=5,185, p〈.05)에 따라 운동 및 휴식 행동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 PDF

영상에 포함된 특징의 방향성을 적용한 시그마 필터의 잡음제거 (Noise reduction by sigma filter applying orientations of feature in image)

  • 김영화;박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27-1139
    • /
    • 2013
  • 다양한 영상장비로 획득된 영상을 구현할 때, 원영상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잡음이 추가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잡음을 완벽하게 막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추가된 잡음을 탐지하여 제거하거나 가능한 줄이는 것이 영상처리의 중요한 기본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특징에 대한 방향을 탐지하고, 영상을 오염시키고 있는 잡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측정하여 잡음에 대한 분산의 수준을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분산을 영상처리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잡음제거 기법인 시그마 필터에 적용하고, 특징의 방향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잡음제거 방법을 통해 기존의 시그마 필터보다 개선된 잡음제거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정된 잡음의 분산에 민감하지 않은 잡음제거 성능을 확인하였다.

Angiogenesis and Lymphangiogenesi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omparison of Japanese and Indian Cases

  • Chowdhury, Chitta Ranjan;Kirita, Tadaaki;Jose, Maji;Abdullah, Ria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219-3222
    • /
    • 2012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17 Japanese and 19 Indian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SCCs) revealed that the tumour prognostic indicator mean vessel density (MVD) count for angiogenesis was relatively high at 57.1 in Indian as compared to 39.3 in Japanese (P=0.001) cases, whereas the lymph-vessel density (LVD) count for lymphangiogenesis was lower (12.8 vs 48.0, P=0.002). Both male and female Indians had higher MVD counts, but LVD counts were only slightly lower in females. MVD count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cases below 65 years old in both the countries (P=0.4). Japanese cases with Tongue cancer had higher MVD count, but the Indian cases had lower LVD counts. Size-wise, T2 and T3 had higher counts of MVD both in Indian and Japanese cases. MVD and LVD count was higher in grades II and III both in Japanese and Indian cases.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VD counts among smokers, but the tobacco chewers in Indian cases had higher counts of MVD and LVD (P value by Bartlett test 0.35, 0.57 respectively). The hot-spots of tumour sites had variable rates of lymphocyte infiltration showed higher MVD counts in all the cases. Although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variables usually relate to MVD and LVD counts, the tendency of higher values, especially among tobacco chewers, identified as the highest risk group for occurrence of oral cancer needs to be investigated further.

한국어판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 강지영;강혜영;김나년;이미정;김유진;김주현;여수정;서윤예;서은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1-20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Methods: The translated scale was pilot tested and then administered to 360 patients with cance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utilized to assess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coefficient ${\alpha}$. Results: Two of the 40 items were deleted with a principal component metho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ecause they did not meet the factor-loading criterion. The 38 items were again analyzed and, four factors were validated (KMO=.96, Bartlett ${\chi}^2=10809.81$, df=780, p<.001). The four factors accounted for 60.9% of the variance. Factor loadings of the scale on the four subscales ranged from .65 to .91. The scale showed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ith a Cronbach's ${\alpha}$, total 38 items (${\alpha}=.96$) in four subscales: individualization (18 items, ${\alpha}=.96$), proficiency (10, .91), responsiveness (7, .90), and coordination (3, .80).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scale has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quality of cancer nursing car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in Korea.

극한수문사상의 모의를 위한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 김동균;권현한;황석환;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73-78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극한강우와 극한홍수를 모의하기 위한 MBLRP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61개의 기상청 지상기상관측시스템의 강우량 관측지점에 대하여 고립입자 군집화 최적화(ISPSO)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각 강우관측지점에서 100년치의 가상 강우시계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시계열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고 이 값들을 관측치에 근거하여 산정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보다 평균적으로 20~42% 작았으며, 강우의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과소산정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확률홍수량의 경우, 모형에 의한 값이 관측치에 근거한 값보다 31%에서 50% 작았으며, 이 과소산정량은 홍수의 재현기간의 증가 및 유역의 불투수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비선형 형상 견인 어레이를 위한 빔형성 기법 (A Beamforming Method for a Perturbed Linear Towed Array)

  • 김승일;도경철;오원천;윤대희;이충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8-484
    • /
    • 2002
  • 표적 탐지를 위한 선형 견인 어레이는 해수의 움직임이나 견인선의 기동 방향 등에 의해 그 형상이 비선형화 된다. 이러한 비선형성의 존재는 입사신호의 파라미터 추정 오차를 유발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형상의 견인 어레이를 위한 빔형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두 개의 보조센서를 사용하여 수동 견인 어레이의 첫 번째 하이드로폰과 마지막 하이드로폰의 위치를 파악한 후, 두 하이드로폰 사이의 비선형 형상조향 벡터를 선형화 (Linearization)한다. 실제 수중환경에서의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성능 분석을 행한 결과, 비선형 견인 어레이의 형상에 관계없이 빔패턴은 이상적인 형태를 지님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입사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 환경 하에서 위상 성분 추정의 한계를 보임으로써 제안된 기법의 입사각 추정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선형 형상을 가정한 바틀렛 빔형성 기법과의 비교 분석 결과, 현격한 성능 차이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Native Pears Grown in Korea and Several Commercially Developed Cultivars from Two Pyrus Species Based on RAPD Analysis

  • Cho, Dong-Wook;Oh, Jin-Pyo;Chung, Kyu-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3-569
    • /
    • 2007
  • RAPD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OTUs of 'Sandolbae' were the same species because amplified band patterns of all samples generated by each of 5 random primers were identical.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ll the "Chuiangne" trees from three different places were the same species, and also all the "Cheongshilli" trees were the same species too. No genetic var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native Korean pears grown in the habitats and in the research field. Because 212 polymorphic bands were generated by 9 primers selected through primer screening, they were possible to analyze genetic relationship among naturally growing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nine cultivars of Pyrus pyrifolia and P. communis. Based on the RAPD analysis, three main groups were formed. The first group represented the Six P. pyrifoia cultivars, the second group was the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the last group was the three P. communis cultivars. Genetic distance between 'Wonwhang' and 'Chojuro' was closer than other cultivars in group 1 sinc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these two cultivars was 50.82. However, genetic distance between 'Niitaka' and 'Chojuro' was the most distant compared to the others in group 1. In group 2, 'Sandlobae' was genetically closer to 'Chuiangne' than 'Cheongshilli' becaus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uiangne' was smaller, 50.82, than the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eongshilli', 63.636. In group 3, 'Old Home' was genetically closer to 'Bartlett' than 'Kaiser Alexander(or Bosc)'. Group 3 composed of P. communis cultivars was genetically further than other two groups, P. pyrifolia cultivars and native Korean pears.

로버스트 회귀모형에 근거한 영상 잡음 제거 필터 (Image Noise Reduction Filter Based on Robust Regression Model)

  • 김영화;박영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991-1001
    • /
    • 2015
  • 영상은 렌즈를 통하여 형성된 이미지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디지털 기기로 획득한 디지털 영상은 수치화된 자료로 통계분석이 가능하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영상처리 분야에서는 화질의 개선을 위해서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통계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에지의 방향과 크기를 적용한 새로운 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화소들에 대하여 로버스트 회귀모형을 적용하고 해당 화소의 밝기 값을 추정한다. 추정된 화소의 밝기 값은 에지의 크기가 가중값으로 사용되어 평균필터의 성능을 개선한다. 모의실험의 결과, 제안한 방법은 특징을 포함하는 화소를 잘 유지하며, 잡음 제거 성능도 기존의 방법보다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the Influence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 전봉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95
    • /
    • 2019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은 국가 및 지역경제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중소기업 혁신활동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공헌(예를 들면, 일자리 창출 및 국내총생산 기여도) 역시 학계와 정책입안자들에게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받고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인식으로는 중소기업보다 규모가 큰 대기업에서 혁신활동이 더 활발하게 발생할거라는 편견을 갖고 있지만, 몇몇 사례연구를 살펴본 결과 실질적으로는 중소기업이 혁신활동에 더욱 유리한 조직을 갖췄을 뿐 아니라 첨단산업 집적지 형성에도 상당한 기여를 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지난 시간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친 공헌을 살펴보고, 그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