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row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Changes in expression of insulin signaling pathway genes by dietary fat source in growing-finishing pigs

  • Kim, Seung-Chang;Jang, Hong-Chul;Lee, Sung-Dae;Jung, Hyun-Jung;Park, Jun-Cheol;Lee, Seung-Hwan;Kim, Tae-Hun;Choi, Bong-Hw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4호
    • /
    • pp.12.1-12.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gene expression by dietary fat source, i.e., beef tallow, soybean oil, olive oil, and coconut oil (each 3% in feed), in both male and female growing-finishing pigs. Real-time PCR was conducted on seven genes (insulin receptor; INSR,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phosphatidylinositol (3,4,5)-triphosphate; PIP3, 3-phosphoinositide-dependent protein kinase-1; PDK1, protein kinase B; Akt, forkhead box protein O1; FOXO1 and cGMP-inhibited 3', 5'-cyclic phosphodiesterase; PDE3) located upstream of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LM) of pigs. The INSR, IRS, PIP3, and PDE3 gen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ial expression in barrow pigs. Expression of the PIP3 and FOXO1 gen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dietary groups in gilt pigs. In particular, the PIP3 gene showed the opposite expression pattern between barrow and gilt pigs. These results show that dietary fat source affected patterns of gene expression according to animal gender. Fur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ype of dietary fat affects insulin signaling-related gene expression in the LM of pigs.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livestock production by promoting the use of discriminatory feed supplies.

Comparison of pork belly characteristics and weights of primal cuts between gilt and barrow of Landrace × Yorkshire × Duroc pigs measured by AutoFomIII

  • Eunyoung Ko;Yunhwan Park;Kwangwook Park;Changhyun Woo;Jaeyoung Kim;Kwansuk Kim;Jungseok Cho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2호
    • /
    • pp.412-426
    • /
    • 2023
  • Currently, pigs breed in Korea are LYD (Landrace × Yorkshire × Duroc) crossbred pigs. Pigs used as fresh meat are gilts and barrows. However, the current supply of pork is not satisfying Korean consumers.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carcasses between gilts and barrows only studies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or meat quality,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comparing carcas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7 primal cuts of gilts and barrows as measured by AutoFom III. A total of 350,179 pigs were used, including 176,461 gilts and 173,718 barrows. Characteristics of seven primal cuts were measured using AutoFom III. In the case of carcass we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1+. For all other survey items except for grade 2, gilts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s. For all grades except for pork belly, amounts of the remaining six primal cuts were higher in gilts (all p < 0.05,). In addition, the ratio of intermuscular fat in the pork belly of barrows showed a higher value than that in the pork belly of gilts (p < 0.05). The amount of pork belly, which is the most popular among consumers in Korea, not only produced more production than gilts in barrows, but also showed a higher value than gilts in barrows for the ratio of intermuscular fat affecting taste. In summary, gilts produced higher yields than barrows in all parts except pork belly. For the production of only pork belly, barrows showed higher production than gilts.

Correlati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lor with water loss and shear force of pork loin

  • Hayeon Jeon;Seul-Ki-Chan Jeong;Seonmin Lee;Dongjun Kim;Hyeun Bum Kim;In-Seon Bae;Yunseok Kim;Pil Nam Seong;Samooel Jung;Kyung Jo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3호
    • /
    • pp.307-314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lor to water loss and shear force of pork loi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quality properties with the sex and carcass grade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rip loss, cooking loss, and total loss of pork loin between barrow and gilt (p > 0.05). The shear force of pork loin was lower in barrow than in gilt (p < 0.05).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loin did not differ among the carcass grades (1+, 1, and 2).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d at 45 min, 3 h, and 12 h had no noticeabl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loin. The L*, a*, and b* valu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cooking loss and total loss.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45 between L* and total loss.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lor values are not suitable variables for predicting pork loin quality. Therefore, further study to develop ways for predicting the pork quality during the grading of pork carcasses is required.

Surgical Management of Intracranial Aneurysms in the Endovascular Era : Review Article

  • Mason, Alexander M.;Cawley, C. Michael III;Barrow, Daniel 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3호
    • /
    • pp.133-142
    • /
    • 2009
  • The advent of endovascular therapy for intracranial aneurysms and the rapid advances in that field have supplanted microsurgical treatment for many intracranial aneurysms. Applying current outcome data and other parameters, nuances of selecting the modality of treatment for intracranial aneurysms are reviewed. Patient factors, such a age, co-morbidities, vasospasm and other medical conditions, are addressed. A custom-tailored multimodality treatment paradigm for the management of ruptured and unruptured aneurysms will maximize the favorable results seen in this difficult patient population.

'고체중' 출하돈의 성장효율, 도체 품질 특성 및 수익성 (Growth Efficiency, Carcas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fitability of 'High'-Market Weight Pigs)

  • 박만종;하덕민;신호원;이상훈;김원기;하승호;양한술;정진연;주선태;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59-470
    • /
    • 2007
  •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육질은 물론 양돈업의 수익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이 등, 2006). 출하체중은 품종 및 사양프로그램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소비자 집단의 문화, 전통 및 기호 성향은 물론 도축․가공업자의 요구 등 다양한 외적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Kim 등, 2005). 세계적으로 지난 20~30년 동안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5~20kg 증가하였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종돈 자체가 적육 생산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육종되어 재래의 돼지에 비해 현대의 비육돈은 체중 증가에 따른 지방침적의 증가 정도가 저하되어 일정 한도까지는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돈육의 생산원가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주로 국가에 따라 90~140kg 범위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미국의 경우는 주에 따라 92~137kg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NASS, 2006).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종돈은 구미 지역에서 도입된 적육형일 뿐만 아니라 국내 돈육 소비자는 구미의 소비자에 비해 삼겹살과 같이 지방 함량이 높은 부위를 선호하는 등 돼지지방에 대해 관대하여 출하체중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그러나 국내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2003년 이후 110kg 수준에 정체되어 구미 지역보다 5~20kg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앞으로 국내 비육돈의 출하체중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이 등, 2006)에서 경남지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계통의 비육돈을 110kg 대비 130kg까지 비육․도축하여 도체특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본 지역의 대표적인 비육돈은 적육형이기 때문에 생체중 110kg 대비 130kg 출하돈은 사료섭취량과 등지방두께는 다소 증가하고 사료효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일당증체량은 저하되지 않았고,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등지방두께는 각각 다소 얇게 & 다소 두껍게 평가되었으며, 도체품질의 척도가 되는 근육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익성 면에 있어서는 110kg 출하돈 대비 130kg 출하돈은 두당 약 20,000원의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는 도체품질과는 관계없이 거의 전적으로 A & B 등급의 한계도체중 초과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 때문에 발생한 손실로서 만일 이들 등급의 도체중 상한선이 철폐되기만 한다면 130kg 출하돈이 110kg 출하돈보다 훨씬 더 경제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진은 현행 도체등급 판정 기준을 무시한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적정 출하체중은 각각 135 & 125kg 수준이고 이때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등지방두께 예측치는 각각 22.5 & 24.0mm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론과 같이 암퇘지와 거세돼지를 각각 135 & 125kg까지 비육․도축했을 때 성장효율, 도체의 품질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수용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여 기 발표된 결론의 타당성을 확인․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생균제의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관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ork)

  • 하경희;이창우;진상근;김일석;송영민;허선진;김회윤;류현지;하지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5-303
    • /
    • 2005
  • 120두의 3원교잡종($LY{\times}D$) 돼지를 이용하여, 60일 동안 생균제($KBC1121^{(R)},\;YC2000^(R)$)가 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후 출하하여 시험에 공시하였다. 대조구는 생균제를 급여하지 않은 암퇘지를 C1, 거세돼지를 C2, 생균제 YC2000을 $0.5\%$ 급여한 암퇘지를 T1, YC2000을 $0.5\%$ 급여한 거세돼지를 T2, YC2000 $0.1\%$ + KBC1121 $0.3\%$를 급여한 암퇘지를 T3 및 YC2000 $0.1\%$ + KBC1121 $0.3\%$를 급여한 거세돼지를 T4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조지방과 조회분은 생균제의 급여에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분함량은 T1, T2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는 대조구가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간의 비교에서는 T1과 T2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낮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L^{*}$값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T1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a^{*}$값은 T1구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지방색에서 $L^{*}$값은 대조구가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b^{*}$값은 T2구가 낮게 나타났다. 가열육 조직감의 부착성은 T4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생균제의 급여에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열육 관능검사는 대조구가 향,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 모두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3와 T4구는 연도와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그리고 oleic acid는 T3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rachidonic acid는 대조구가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T3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대조구에 비해 생균제 급여구들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고 육색은 붉고 지방색은 희며 연도와 다즙성이 높은 장점을 지닌 반면 pH가 낮아 드립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쑥 급여가 성별에 따른 육성-비육기 돈육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gwort Powder on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lt and Barrow in Growing-Finishing Period)

  • 김일석;진상근;송영민;김철욱;조광근;정기화;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39-8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의 건조 분말을 육성기-비육기의 거세돈 및 암퇘지(LY×D)의 평균체중이 50.37kg일 때부터 출하시까지 90일간 처리하였을 때 도체특성,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함량,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일반사료에 인진쑥 분말을 급여사료 기준으로 C(0%), T1(0.5%), T2(1.0%), T3(1.5%) 처리하였다. 도체중의 경우 T2 및 T3의 증체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등지방 두께 및 도체 등급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 지방, 회분,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T2 및 T3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pH, WHC, 가열감량신선육 및 지방의 전단가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육색 및 지방의 백색도(CIE L*)는 T2 및 T3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1), 육색 및 지방의 적색도(CIE a*) 및 황색도(CIE b*)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전단가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돈육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산삼 배양액 급여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정현정;김동훈;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7-342
    • /
    • 2006
  • 본시험은 돼지에 대한 산삼 배양액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60{\pm}3kg(126{\pm}3$일령)의 Berkshire 종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60두씩 총 120두를 선발하여 2(성; 암 vs. 거세)${\times}2$(대조구 vs. 산삼 배양액 첨가구) 'factorial' 실험설계 하에 돈방당 30두씩 4 돈방에 임의로 배치한 다음 약 110 kg($193{\pm}4$일령)까지 70일간 비육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산삼 배양액을 첨가하지 않은 구로 하였고, 시험구는 산삼 배양액을 1일 1L씩 첨가 음수시켰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 간에 암퇘지의 경우 수분 함량, 경도 및 씹힘성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력과 지방의 $L^*$값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p<0.05). 처리 간에 거세돼지의 경우 전단가와 육색 $a^*$값이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p<0.05) 산삼 배양액 급여에 따라 조직이 단단해지고 육의 $a^*$값은 향상되나 보수력과 지방의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성별 간에 처리구의 경우 조지방 함량, 지방의 $a^*$$b^*$값,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낮게 나타났으나, pH는 반대로 높게 나타나(p<0.05) 암퇘지에 비하여 거세돼지가 조지방 함량은 적고, 조직이 무르나 지방의 $b^*$값은 낮고 pH가 높은 장점을 나타내었다.

비육돈의 도체성적 변화 추세와 환경적인 요인 분석 (Phenotypic Trend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Carcass Traits in Commercial Pigs)

  • 김병우;박종원;김희열;서종태;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09
  •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부산경남축산물공판장에서 도축된 비육돈 1,251,572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돼지의 주요 도체형질인 도축체중, 등지방두께와 도체등급에 대한 년도별 도체등급 변화 추세와 환경적인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축체중의 경우 암퇘지, 수퇘지 및 거세돼지가 각각 $82.97{\pm}0.008$, $82.00{\pm}0.090$$82.79{\pm}0.008kg$으로 조사되었다. 등지방두께는 암퇘지, 수퇘지 및 거세돼지가 각각 $19.27{\pm}0.006$, $15.99{\pm}0.072$$22.49{\pm}0.006mm$로 수퇘지가 유의적으로 얇았다. 도축체중의 경우 1999년에 $80.38{\pm}0.033kg$을 가장 가볍게 나타났고, 2005년에 84.26${\pm}0.033k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으며,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축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년도별 도체등급 변화 추세를 보면 A등급 출현율이 2000년부터 2003년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2003년 이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