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rier free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3초

박물관실내공간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디자인의 적용 현황의 고찰 (A Study on the application present conditions of barrier free design for the interior space of the museum)

  • 정아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59
    • /
    • 2001
  • This study for enquete an exact the present conditions museum plan for analyzing barrier free theory. The research is base on the side of consciousness, space and activity the present condition for person of an advanced age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Through the research for purpose of confirm that baker free theory. And also, using for the result i]f this research that for all user. And then, it will be turn out that direct data linked to solve of the realistic subject, so therefore basic course and guide line what was due to point out

  • PDF

M-IPA를 이용한 해수욕장 Barrier Free 환경조성 요소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 (Determining Improvement Priorities of Barrier Free Components for Beaches through M-IPA)

  • 최서연;이석환;신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43-5150
    • /
    • 2010
  •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시설을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BF)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장애인만을 주 분석대상으로 BF 환경 조성요소들을 도출한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와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고려한 BF 환경조성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수욕장을 이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환경 조성요소들에 대한 만족도를 변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적용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인 "위생시설"의 개선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애인을 대상으로는 "매개시설"의 개선이, 비장애인을 대상으로는 "편의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대상 해수욕장시설 이용 시 장애가 되는 요소들이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생활환경 조성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통개선요소와 각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제시함으로서 BF 관련 정책수립과 예산책정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rrier Free 인증 모의평가를 통한 보행자도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인덕원역, 석수역 주변 왕복 6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A Barrier-free Design Assessment of Sidewalks for Improving Pedestrian Infrastructure)

  • 강준모;이건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01-110
    • /
    • 2009
  • 우리나라의 도시공간에는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어렵게하는 많은 장애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6년 1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이하 이동편의증진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동성확보를 위한 각종 시설정비가 법적근거 하에 추진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강제적 규제를 위한 기준을 수립하는 법률의 속성상 이동편의증진법에 설정되어 있는 각종 기준들은 교통약자들을 위한 최소 기준을 제시하고 있을 따름이며, 교통약자들의 쾌적하고 편안한 이동을 보장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통약자들의 실제적 편의에 근거한 보다 엄격한 시설 설치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관련 법제도상에서 제시되고 있는 교통약자를 위한 각종 기준 및 이러한 기준에 의해 건설된 보행로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재 시행 초기단계에 있는 BF 인증제도의 기준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개선된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보행로를 평가하여 BF 디자인 측면에서의 보행로 설계상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관련 법제도들을 선진국 사례와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보행로 설계 기준에 근거하여 건설된 보행로들의 BF 설계 수준을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Reducing the wind pressure at the leading edge of a noise barrier

  • Han, Seong-Wook;Kim, Ho-Kyung;Park, Jun-Yong;Ahn, Sang Sup
    • Wind and Structures
    • /
    • 제31권3호
    • /
    • pp.185-196
    • /
    • 2020
  • A method to reduce the wind pressure at the leading edge of a noise barrier was investigated by gradually lowering the height of a member added to the end of the noise barrier. The shape of the lowered height of the added member was defined by its length and slope, and the optimal variable was determined in wind tunnel testing via the boundary-layer wind profile. The goal of the optimal shape was to reduce the wind pressure at the leading edge of the noise barrier to the level suggested in the Eurocode and to maintain the base-bending moment of the added member at the same level as the noise-barrier section. Using parametric wind tunnel investigation, an added member with a slope of 1:2 that protruded 1.2 times the height of the noise barrier was proposed. This added member is expected to simplify, or at least minimize, the types of column members required to equidistantly support both added members and noise barriers, which should thereby improve the safety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of noise-barrier structure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APTMOS)을 코팅한 PET 필름의 산소차단성 연구 (The Oxygen Barrier Properties of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TMOS) Coatings on PET Film)

  • 이성구;김현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9-53
    • /
    • 2009
  • The oxygen barrier films were form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by a sol-gel process using 3-aminoproprytrimethoxysilane (APTMOS). The effects of solvent type, coating times and incorporation of fumed silica on oxygen permeability coefficient were investigated. The APTMOS coating film prepared from methanol as a solvent exhibited higher oxygen barrier properties than that using THF. The oxygen permeability coefficient of coated film with APTMOS/methanol by coating 7 times was measured to be $2.28{\times}10^{-6}$, while that of PET film was $1.16{\times}10^{-4}$ GPU. The addition of fumed silica does not affect the oxygen barrier properties. It may be explained that silica particles disrupt chain packing,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free volume for permeation.

  • PDF

Cu 미세 배선을 위한 무전해 Ni-B 확산 방지막의 Cu 확산에 따른 상변태 거동 (Phase Transformation by Cu Diffusion of Electrolessly Deposited Ni-B Diffusion Barrier for Cu Interconnect)

  • 최재웅;황길호;송준혜;강성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735-740
    • /
    • 2005
  • The phase transformation of Ni-B diffusion barrier by Cu diffusion was studied. The Ni-B diffusion barrier, thickness of 10(Inn, was electrolessly deposited on the electroplated Cu interconnect. The specimens were annealed either in Ar atmosphere or in $H_2$ atmosphere from $300^{\circ}C\;to\;800^{\circ}C$ for 30min, respectively. Although the Ni-B coated specimens showed the decomposition of $Ni_3B$ above $400^{\circ}C$ in both Ar atmosphere and $H_2$ atmosphere, Ni-B powders did not show the decomposition of $Ni_3B$. The $Ni_3B$ was decomposed to Ni and B in hi atmospherr: and the metallic Ni formed the solid solution with Cu and the free B was oxidized to $B_2O_3$. However, both the boron hydride and free B were not observed in the diffusion barrier after the annealing in $H_2$ atmos There.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composition of $Ni_3B$ by Cu made the Cu diffusion continued toward the Ni-B diffusion barrier.

무장애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s of Urban Policies for the Realization of a Barrier-Free City)

  • 윤재봉;김지현;오세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4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무장애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개선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택, 판매·업무시설 등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시민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 약자가 일반인보다 더 높은 비율로 도시생활에서 불편·장벽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약자의 불편·장벽 경험 정도와 도시생활의 행복감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시민의 생활·복지·여가환경부문별 이용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환경부문에서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 간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 약자의 경우 생활환경부문의 만족도가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들의 장애물 없는 도시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인 BF 인증시설 인증현황을 살펴본 결과 복지환경부문의 시설이 주로 공급되고 있었다. 또한 BF 인증시설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ArcGI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약자(고령인구, 어린이, 유아)의 공간적 분포와 BF 인증시설의 분포는 다소 일치하나 도심지역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