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extract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6초

결명자(決明子)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타감성(他感性) 저해(沮害)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기작(機作) (Physiochemical Mechanism of Allelopathic Inhibition by Water Soluble Extracts from Sicklepod(Cassia tora L.) Seeds)

  • 임선욱;문경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196
    • /
    • 1993
  •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타(他) 식물(植物)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確認)되었으며, 이 현상(現象)을 이용(利用)하여 자연(自然) 생태계(生態系) 또는 농업(農業) 생태계(生態系)에서 널리 일어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의 일반적(一般的)인 작용(作用) 기작(機作)을 이해(理解)하고자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을 처리(處理)하여 발아(發芽) 시간별(時間別)로 수분(水分) 함량(含量), ${\alpha}$-amylase의 활성(活性), protease의 활성, abscisin산(酸)의 함량(含量),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함량(含量)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이를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무우, 벼, 상치, 보리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실험(實驗)으로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발아율(發芽率)을 저하(低下)시키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이며, 상치와 무우에서 특(特)히 뚜렷하였다. 2.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한 무우의 발아저해(發芽沮害)는 단백질(蛋白質) 합성기(合成期)에 protease 활성(活性)(합성(合成))의 증가(增加) 이후에 수분함량(水分含量)의 감소(減少)와 더불어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축적(蓄積)(분해저해(分解沮害))의 순서(順序)로 진행(進行)되었다. 3. 반면, 벼에서는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해서 abscisin산(酸)의 축적(蓄積)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活性)(합성(合成))감소(減少)에 의해 발아(發芽)가 저해(沮害)되어 Einhelling의 가설(假說)과 부분적(部分的)으로 일치(一致)하였다.

  • PDF

보리 잔여물(殘餘物)속에 함유(含有)된 주요(主要) Phenolic Acids가 논 잡초(雜草)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ajor Phenolic Acids Identified from Barley Residues on the Germination of Paddy Weeds)

  • 곽상수;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1
    • /
    • 1984
  • 보리잔여물(殘餘物)속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분리(分離) 동정(同定)과 잔여물(殘餘物)의 분해과정중(分解過程中) total phenol 함량(含量) 측정(測定) 그리고 주요표준(主要標準) phenol물질(物質) 및 잔여물(殘餘物)의 수도추출액(水稻抽出液)이 벼와 주요(主要) 논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식물체내(植物體內)에 존재(存在)하는 천연제초제(天然除草劑) 개발(開發)에 관한 기준자료(基準資料)를 얻고져 본시험(本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리잔여물(殘餘物)속의 생요(生要) phenolic compounds는 보릿짚과 뿌리 모두 p-coumaric, ph-hydroxybenzoic, ferulic, vanillic 및 salicylic산(酸) 등(等)이 분리(分離) 동정(同定)되었다. 2. 보리 수획시(收獲時) 잔여물(殘餘物)의 건물중(乾物重)에 대(對)한 total pheonl함량(含量)은 유묘기(幼苗期)보다 증가(增加)되어 보릿짚이 0.168%, 뿌리가 0.127%있으며 분리초기(分離初期) 약간(若干) 증가(增加)되다가 분해(分解)가 진전(進前)되면서 보릿짚 및 뿌리 모두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어떤 시기(時期)에서도 보릿짚이 뿌리보다 total phenol 함량(含量)이 높았다. 3. 주요(主要) phenolic acids는 피와 너도방도산의 발아(發芽)에는 다소(多少) 억제(抑制)를 보였다. 반면(反面) 가래는 처리초기(處理初期)에 고농도(高濃度)일수록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다가 組織(조직)이 갈변(褐變) 고사(枯死)되어 높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여, 신초생육(新鞘生育)으로 본 억제효과(抑制效果)는 가래, 피, 너도방동산이의 순(順)으로 높았다. 4. 잔여물(殘餘物) 수도추출액(水稻抽出液)의 억제력(抑制力)은 추출부위(抽出部位)와 공시잡초(供試雜草)에 따라 약간 상이(相異)하였으나 보릿짚과 뿌리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높았는데, 피와 너도방동산이에는 고농도(高濃度)일수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으나 저농도(低濃度)에서 신초생육을 약간 촉진(促進)시켰다. 가래에는 처리초기(處理初期)에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으나 조직(組織)이 고사(枯死)되어 높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젖소 사료로서의 맥콜박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of Macol Meal as Feedstuffs for Cattle)

  • 성재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3-560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 value of Macol meal, which is one of the byproducts from the extraction of liquid syrup from barley grain, on lactating dairy cows. All of the lactating dairy cows feeding in eight dairy farms were used in feeding experiment and fed concentrates plus Macol meal 5Kg as wet basis. The milk yields and milk fit during the periods of 10 months were investigated and blood picture, blood chemistry and diseases occuring frequency before and after feeding Macol meal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crude as and nitrogen free extracts was 68.8%, 7.43%, 1.04%, 7.08%, 1.56% and 14.09%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NDF, ADF and cellulose was 36.68%, 35.71% and 10.85%, as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2. The daily milk yield per head was 22.84kg during two months before feeding Macol meal and 23.89 kg during the periods of ten months after feeding Macol meal. 3. The blood picture and blood chemistry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Macol meal. 4. The diseases occuring frequenc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Macol meal.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Macol meal can be used in lactating dairy cows ration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 PDF

보리 코오지 제조중(製造中)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Barley Koji Preparation)

  • 이상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38-147
    • /
    • 1986
  • 삶은 보리쌀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接種) 제국(製麴)하여 제국중(製麴中)의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과 85%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을 추출(抽出)하고 정제(精製)한 후 지질조성(脂質組成)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을 분리정량(分離定量)한 결과(結果) 보리코오지 제조중총지질함량(製造中總脂質含量),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 및 85% methanol 추출물함량(抽出物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 당지질함량(糖脂質含量) 및 인지질함량(燐脂質含量)도 다같이 증가(增加)하였으나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 당지질함량(糖糖脂質含量) 및 인지질함량(燐脂質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그리고 diethyl ether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TG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DG, FS, FFA 및 ES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85% methanol 추출물(抽出物)에서는 DG, FS, TG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FA, ES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의 인지질(燐脂質)에서는 LPC, PI, (PC+PS), PG, PE함량(含量)은 다같이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는 LPC,(PC+PS), PE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PI, PG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diethyl ether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이루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의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보리코오지 제국중(製麴中) diethyl ether추출무(抽出物)의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linolenic acid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는 palmitic, stear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diethyl ethe추출물(抽出物)의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의 palmitic, ole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stear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새싹보리로부터 항산화기능성을 갖는 천연색소의 추출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Nature Pigment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rom Sprout Barley - Optimization Using CCD-RSM)

  • 김동환;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5권3호
    • /
    • pp.222-229
    • /
    • 2024
  • 독성이 없고 자극이 적은 환경친화적인 천연색소 사용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함유한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새싹보리로부터 천연 색소를 추출하고 추출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CCD-RSM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독립변수는 추출온도, 주정/초순수 부피비, 추출시간으로 설정하고 반응치는 목표하는 색 좌표(L = 45, a = -35, b = 45)와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최대치로 설정하였다. RSM 최적화를 통해 산출된 회귀방정식 변수들에 대한 F value와 P value을 통해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의 통계적 유의미 여부와 반응치에 대한 영향성을 평가 및 분석하였으며, 각 회귀방정식과 확률도 그래프의 P value를 통해 실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반응치 4개를 최적화시키는 추출 조건은 추출온도 52.9 ℃, 주정/초순수 부피비 76.1 vol.%과 추출시간 49.6 min이며 이 때, 반응치의 이론값은 L = 45.4, a = -36.8, b = 45.0 항산화능 = 30.9%이다. 최적의 추출 조건으로 실제 실험을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색 좌표 L = 46.2, a = -36.1, b = 48.3, 그리고 항산화능 = 31.1%로 평균 오차율 2.9%로 측정되었다.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Fungi of Curcuminoids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Curcuma longa

  • Cho, Jun-Young;Choi, Gyung-Ja;Lee, Seon-Woo;Lim, He-Kyoung;Jang, Kyung-Soo;Lim, Chi-Hwan;Cho, Kwang-Yun;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94-96
    • /
    • 2006
  • In a search for plant extracts with potent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fungi, the methanol extract of the Curcuma longa rhizomes effectively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rice blast catised by Magnaporthe grisea and tom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Three curcuminoids such as curcumin, demethoxycurcumin, and bisdemethoxycurcumin were purifi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C. longa rhizomes as antifungal principles. Among the three curcuminoids, demethoxycurcumin was the most active to both rice blast and tomato late blight, followed in order by curcumin and bisdemethoxycurcumin. However, they all exhibited no or little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other fungal pathogens causing rice sheath blight (Corticium sasaki), tomato gray mold (Botrytis cinerea), wheat leaf rust (Puccinia recondita), or barley powdery mildew (Blumeria graminis f. sp. hordel).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채소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Growth and the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 정덕화;김찬조
    • 환경위생공학
    • /
    • 제1권1호
    • /
    • pp.109-117
    • /
    • 1986
  • 15종의 채소를 Chloroform으로 추출물을 조제하여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강, 무우 및 양배추의 순으로 공시균의생육을 저해하였으나, 가지, 상치 등은 오히려 생육을 촉진하였다. 또한 균체생성시 공시균의 aftlatoxin기 생성은 무우, 생강, 쑥갓, 양배추의 순으로 저해하였으나, 우엉, 고추는 오히려 증가시켰다. 특히 무우는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을 감소시켜 가장 효과적인 채소로 나타났으며, 고체배지에서도 무우 30g에 해당되는 추출물의 첨가로 약 $80\%$의 aflatoxin생성이 저해되어 쌀, 보리배지에서 각각 484 및 $191{\mu}g$의 aflatoxin만이 생성되었다.

  • PDF

Screening for Antifungal Endophytic Fungi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Park, Joong-Hyeop;Park, Ji-Hyun;Choi, Gyung-Ja;Lee, Seon-Woo;Jang, Kyoung-Soo;Choi, Yong-Ho;Cho, Kwang-Yun;Kim, Jin-Cheol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79-182
    • /
    • 2003
  • A total of 187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11 plant species, which were collected from 11 locations in Korea. Their antifungal activities were screened in vivo by antifungal bioassays after they were cultured in potato dextrose broth and rice solid media.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Magnaporthe grisea(rice blast), Corticium sasaki(rice sheath blight), Botrytis cinerea(tomato gray mold), Phytophthora infestans(tomato late blight), Puccinia recondita(wheat leaf rust),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barley powdery mildew) was determined in vivo by observing the inhibition of plant disease development. Twenty(11.7%) endophytic fungi fermentation broths were able to control, by more than 90%, at least one of the six plant diseases tested. Among 187 liquid broths, the F0010 strain isolated from Abies holophylla had the most potent disease control activity; it show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five plant diseases, except for tomato late blight. On the other hand, fourteen(7.5%) solid culture extracts exhibited potent disease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one of six plant diseases. The screening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metabolites of plant endophytic fungi could be good potential sources for screening programs of bioactive natural products.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Inhibits the Apoptosis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 Kim, Han-Bok;Lee, Hye-Sung;Kim, Sook-Jin;Yoo, Hyung-Jae;Hwang, Jae-Sung;Chen, Gang;Youn, Hyun-J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56-261
    • /
    • 2007
  • Apoptosis is a step of the cell cycle which is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immune cell populations. Chungkookjang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and bioactive compounds which was used in the treatment of mouse spleen as well as thymus cells (CH1-fermented soybean containing barley, wormwood, and sea tangle; CH2-fermented soybean) and was found to exhibit substantially reduced small DNA fragmentation. An MTT assay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CH1 and CH2 into the mouse splenocytes and thymocytes sharply increased their survival. Moreover, a FACS analysis also showed that CH1 and CH2 are effective at suppressing the apoptosis of splenocytes and thymocytes. The fermented soybean isoflavone concentrations, which are implicated in lowering breast and prostate cancers, lower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improving bone health, were determined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Electrochemical Detection (CE-ED). The amount of Daidzein in fermented soybean significantly increased by 44-fold dramatically, compared with those in unfermented soybea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ethanol extracts of Chungkookjang promote the survival of the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culture by suppressing their apoptotic death.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which genes are related to apoptosis of the immune cells.

막걸리 중 ochratoxin A 분석의 개선 (Revision of the Analysis of Makgeolli for Ochratoxin A)

  • 박제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0-142
    • /
    • 2006
  • 이전의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 있는 막걸리 중 ochratoxin A의 낮은 회수율(<50%)은 시료 내 본 곰팡이독소의 추출 혹은 전처리 과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 막걸리 시료의 균질화에 이용되던 추출 용액을 PBS 용액 대신 3% sodium bicarbonate 용액으로 채택할 경우, 80% 이상의 첨가된 ochratoxin A가 회수되어 그 검출이 용이해졌다. 한편 개선된 해당 분석법의 막걸리 시료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시판 중인 살균막걸리 30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밀 막걸리 2점에서 ochratoxin A가 검출되었고(0.8, 2.1 ppb), 그 결과를 다시 HPLC-ESI-MS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개선된 시료 전처리 방법(3% sodium bicarbonate)과 병행된 IAC 및 HPLC-FD 분석법은 막걸리를 대상으로 한 ochratoxin A의 오염 조사에 유효한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