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extract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4초

적미병 보리의 유독성분에 관한 연구 (제 III 보) 유독성분과 Choline 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Studies on the Toxic Substances in Korean Barley Infected with Gibberella Zeae(III) Relation of Choline and the Toxic Substnace in the Infected Grain)

  • 김태봉;한보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2-84
    • /
    • 1964
  •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various substances such as "toxoalbumin", glycoside, choline or readily hydrolysable choline derivatives, alkaloid, lysolecithine etc. are associated with the toxicity of the infected grain. But animal tests and analysis of paper chromatography by author's indicated that a basic substance present in the concentrated extracts from the grain may neither be acetylcholine, betaine, nor choline. This problem still have to be examine further.

  • PDF

몇가지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y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llelopathic Effects of the Several Weeds)

  • 심상인;손정규;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1-218
    • /
    • 1991
  • 본(本) 실험(實驗)은 농경지(農耕地)에서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해서 잡초(雜草)들의 수용성(水溶性) 물질(物質)과 건조(乾燥)시킨 잡초(雜草)의 조직(組織)을 여러 농도(濃度)로 처리하여 지표식물(地表植物)의 발아(發芽)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조사(調査)하였다. 실험(實驗)에 쓰인 여러가지 잡초종중(雜草種中)에 에서 쇠비름과 명아주의 allelopathic effect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명아주의 증유수(蒸溜水) 추출액(抽出液)은 지표(指標)가되는 식물(植物)의 발아속도(發芽速度)를 대조구(對照區)와 비교할때 감소(減少)시켰으나 쇠비름의 경우는 4.7% 증가(增加)시켰다. 온실(溫室) 실험(實驗)에서 쇠비름은 대맥(大麥), 대두(大豆), 무우, 옥수수 유묘(幼苗)의 출현속도(出現速度)를 대조구(對照區)의 30, 49, 36, 68%로 감소시켰다. 쇠비름과 명아주의 토양내(土壤內) 첨가물(添加物)은 지표식물(地表植物)의 초장(草長)과 건물중(乾物重)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TLC법에 의한 장류 및 공류중의 Aflatoxin검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ction of Aflatoxins in the Fermentation Products and Cereals)

  • 한양일;김광호;오영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0
    • /
    • 1978
  • Aflatoxin, a mixture of the at least four toxic and carcinogenic metabolites, is known to be produced by only a few fungi. The toxins were designated aflatoxins because they were produced by the mold Aspergillus flavus(A. flavus). However, at least four other toxins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A. niger, A. parasiticus A. ruber and wentii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And also the identical compounds may also be produced by molds, the Pencillium. At least four different species of Penicilliurn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P. citrinurn, P. frequentans, P. puberulurn. and P. variable). So it is now known that the problem of Aflatoxin is not restricted to the single species A. flavus, even though that is a very common mold. Also additional aflatoxins have been discorvered. For sereral years, only four aflatoxins were known: $B_1, B_2, G_1$ and $G_2$, so designated by reason of their fluorescence and chromatographic charateristics. It is now known that there are really two new toxic materials in the milk. During the past year(1966) they were christened aflatoxin $M_1$ and $M_2$, since they were first found in milk. The two other and most recently discorvered aflatoxins were isolated late in 1966 from cultures of A. flavus, and were designated aflatoxin $B_2a$ and aflatoxin $G_2a$. In order to obtain a breaf information about extent of contamination of foodstuffs by aflatoxin which is known to produce eight different mold, aflatoxin detection of cereals and fermented foods on sale, such as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soy bean, noodle, kochuj ang and Dwenjang (fermented soy bean paste) and chong Kuk,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xane:$CHCl_3$ extracts of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noodle and kochujang yielded fluorescent spots on thin layer plates. However their Rfvalu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aflatoxins. The fluorescent substances of the extract from soy bean, Dwenjang and chong kuk showed very similar Rf values to those of the standard aflatoxins. By two dimensional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comparison of ultra violet absorption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se fluorescent substances were not aflatoxins. To conclude, aflatoxins themselves were not detected directly in those samples tested.

  • PDF

하늘타리 추출물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Extracts)

  • 윤영범;변리나;장세지;현규환;신동영;김상수;김도익;권오도;국용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42-247
    • /
    • 2013
  • 현재 유기재배에서 잡초 방제를 위한 방법은 관행방법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는 하늘타리의 잎, 줄기, 열매, 뿌리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재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는 추출방법 중 물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식물체 부위별로는 열매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 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물 층 추출물 발아전 처리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의 생장량은 80~100% 억제되었으나, 이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뿐만 아니라 잡초종(바랭이, 까마중 등) 경엽처리에 의한 생육저해 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하늘타리 추출물을 친환경 또는 유기농 재배에 잡초방제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보리 흰가루병 곰팡이 Fusarium graminearum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Zanthoxylium schinifolium Against Fusarium graminearum, a Barley Powdery Mildew Fungus.)

  • 김범수;장한수;최충식;김종식;권기석;권인숙;손건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74-979
    • /
    • 2008
  • 흰가루병은 거의 모든 식물재배에서 나타나며, 다양한 곰팡이에 의해 발병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병원성 곰팡이 제어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보리 흰가루병에서 분리된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900여종의 천연물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포자 발아억제 활성평가 결과 산초, 당귀, 미국가막사리, 까마중, 오수유, 윤판나물, 미치광이풀, 때죽나무, 백선, 방기, 정향, 멍석딸기, 호장근, 천황련, 작약, 대황, 모란, 달맞이꽃, 대극, 개박하 추출물을 1차 선별하였으며, 균사 생육억제 활성 원재료 확보 용이성 및 실제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산초 추출물을 최종 선정하였다. 산초 추출물 조제 시 methanol 추출이 효율적이며,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경우 물 잔류물에서 항진균 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methanol 추출물에 비해 분획물의 활성이 다소 감소하여 다양한 물질이 보완적으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냄을 추측할 수 있으며, 미약하지만 m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항진균 활성도 확인하였다. 토마토 묘목을 이용한 산초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의 약해평가 결과 $1,000\;{\mu}g/ml$ 농도 처리 시에도 특이한 약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F. graminearum에 의해 나타나는 흰가루병 제어에 산초 추출물이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당귀와 백지로부터 분리한 Coumarin계 물질들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and Angelica dahurica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유시용;김영섭;김흥태;김성기;최경자;김정섭;이선우;허정희;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35
    • /
    • 2001
  • 식물자원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물질을 탐색하고자 국내에서 재배한 40종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우선, 각 식물을 methanol (MeOH)로 추출, 농축한 MeOH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2000{\mu}g/mL$ 농도수준에서 6가지 식물병에 대한 in vivo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40종의 시료 중 14종의 시료가 적어도 한가지이상의 식물병에 대하여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벼 도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에 대해서는 각각 8개, 7개 및 3개의 시료가 9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서는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이는 시료는 없었다. 벼 도열병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보이는 당귀(Angelica gigas, 당귀(當歸))와 백지 (Angelica dahurica, 백지(白芷))의 MeOH추출물로부터 solvent partitioning과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각각 1개 및 2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물질은 질량분석 및 핵자기공명분석에 의하여 모두 coumarin계 물질인 decursin, imperatorin 및 isoimperatorin으로 동정되었다. 구조와 항균활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리한 3개의 물질을 7번 위치에 free hydroxyl기를 가지고 있는 umbelliferone (7-hydroxycoumarin)과 scopoletin (6-methoxy-7-hydroxycoumarin)과 비교하여 in vitro 및 in vivo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In vitro에서 균사생육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물질들은 대상식물병원 곰팡이에 대하여 50% 균사생육억제농도 ($IC_{50}$)가 대부분 $200{\mu}g/mL$ 이상으로 나타나 항균활성이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번 위치에 hydroxyl기가 노출되어 있는 umbelliferone과 scopoletin보다는 7번 위치의 free hydroxyl기 대신에 cyclic alkoxy기로 존재하는 decursin과 imperatorin이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decursin과 imperatorin은 각각 Pythium ultimum과 Magnaporthe grisea에 대하여 $25{\mu}g/mL$ 이하의 $IC_{50}$를 보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In vivo 실험에서는 decursin과 imperatorin은 여섯 가지 식물병 중 벼 도열병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세 개의 물질은 식물병 방제활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7-hydroxycoumarin계 물질들의 항진균활성과 관련하여 7번 위치에 free hydroxyl기가 있는 것보다는 이 hydroxyl기가 보다 안정한 cyclic alkoxy기로 치환되는 것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일반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rley Soybean Paste (Doenjang) Containing Kelp Extracts)

  • 오세인;성정민;이근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43-1851
    • /
    • 2014
  • 다시마에는 항산화성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알긴산 등 증점 다당류가 풍부한 해조류이다. 다시마 추출물 함량을 달리한 재래식 보리된장을 제조하여 2개월간 발효시키면서 항산화능 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된장의 pH는 5.80~6.86, 산도는 0.57~1.87%, 수분 함량은 65.30~40.90% 범위로 저장기간 동안 pH는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점도는 보리된장 대조군이 4,913 cps이었고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4,793~9,333.3 cps까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비례하였다(P<0.05). 다시마를 첨가한 보리된장의 색도는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각각 L 값과 b 값은 증가하였으나 a 값은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12.72 mg TAE/g, 처리군이 13.40~16.37 mg TAE/g이었으며(P<0.05), flavonoid 함량은 대조군이 $0.98{\mu}gRE/g$, 처리군이 $1.25{\sim}1.56{\mu}gRE/g$으로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과 비례하여 항산화능에 영향을 주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HA를 (+)대조군으로 하여 $IC_{50}$ 함량을 각각 구하였으며 보리된장 대조군 23.23 mg/mL, 다시마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24.83 mg/mL, 10.28 mg/mL 수준으로 다시마 추출물이 된장의 항산화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총균수는 초기에 7.20~7.57 log CFU/g으로 나타났고 초기 젖산균수는 4.20~4.71 log CFU/g 범위로 나타나 다시마 처리군의 총균수는 대조군보다 적고 젖산균 수는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감칠맛은 대조군에 비해서 20% 다시마 처리군이 6.1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질감 또한 대조군(5.7점)보다 20%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군이 6.4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군이 5.6점이었고 20% 첨가 처리군에서 6.5점으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보리된장에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하면 항산화능도 뛰어나므로 보리된장의 제품화 가능성도 더욱 크다고 사료된다.

영남지방 농상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2보) ELISA 법에 의한 Aflatoxin B1 검색 (Hygienic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 Determination of Aflatoxin B1 by ELISA Method)

  • 정덕화;하기수;정혜경;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1-176
    • /
    • 1989
  • 영남지방 곡류에 오염되어 있는 Aflatoxin B1을 측정하기 위해 식속하고 정확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법을 응용하였다. 생산된 Antibody 는 aflatoxin B2와 강한 corss reaction을 보였고, 정량적으로 표준곡선을 보인 aflatoxin B1 범위는 1-100ppb이었으며, methanol-PBS-dimethylformamide로 spike시킨 쌀 추출물이 ELISA 반응에 약간의 간섭반응을 보였다. ELISA법에 의한 쌀 65종, 보리 116종의 aflatoxin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쌀시료 65개 중 3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보였으며, 그중 R-18이 $7.5\;\mu\textrm{g}/kg$, R-30이 $3.6\;\mu\textrm{g}/kg$, R-59가 $3.3\;\mu\textrm{g}/kg$ 순으로 aflatoxin B1 함량을 나타내었고 시료의 4.6%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보리 116종 중 겉보리에서 4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겉보리 UB-37이 $9.6\;\mu\textrm{g}/kg$의 함량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의 UB-35, UB-54순이었으며 전체 시료의 3.4%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 PDF

수종 곡류추출물의 효소적갈변 억제효과 (Effect of Several Cereal Extracts on Enzymatic Browning)

  • 이귀주;안선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0-395
    • /
    • 1997
  • 보리가루, 엿기름, 찹쌀가루의 수용성 추출물과 농축액이 효소적 갈변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PPO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PPO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엿기름 농축액의 갈변 정도와 환원성을 측정하고 이들 성질과 PPO활성에 대한 저해효과와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나아가 사과 슬라이스를 엿기름 농축액에 침지한 후 냉장하고 냉장 중 사과 슬라이스의 조직감과 갈변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PO에 대한 억제 효과는 엿기름 농축액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엿기름 농축액은 가열 시간에 따라 당도, 갈변정도와 환원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PO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가열 60분까지는 서서히 변화하였으나 70분 이후에는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열시간에 따라 엿기름 농축액의 pH는 감소하였다. 한편 엿기름 농축액에 침지한 사과 슬라이스의 냉장 저장중의 갈변정도는 6.9%로, 조직감의 변화는 14.3%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엿기름 농축액이 사과 슬라이스의 갈변 억제와 조직감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polyphenol 강화 맥주의 발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Polyphenol-Enriched Beers)

  • 염행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9-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GTE) on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polyphenol-enriched beers. As such, the formation patterns of tannoid in beer with GTE were investigated at 3 different infusion times, while the ale and the lager beers fortified with GTE were analyze to ascertain effects on gravity, pH, yeast viability, total polyphenol, and tannoid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tannoid in beer with GTE in the tannometer; In reaction of GTE with polyvinylpyrrolidon (PVP), control lager beer peaked in the formation of tannoid at $70\;{\sim}\;80\;mg$ of PVP, the 1st extract exceeded the detection limit, the 2nd extract at $170\;{\sim}\;180\;mg$, while the third extract at $150\;{\sim}\;160\;mg$ of PVP. The GTE were slow in reacting with PVP, and their formation pattern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olyphenols from barley and hop. 2) Ale fermentation; The final alcohol content was 9.25% (ABV). The addition of GTE increased the yeast viability after 2 days and finally reached 52.3% from 30.9%. Total polyphenol in GTE beer increased by 1.5 times (p < .05). However, its tannoid contents increased by 6.4 times. 3) Lager fermentation; The final alcohol content was 5.93% (ABV). The effect of GTE on lager beer was minimal for all variables. However, total polyphenol of GTE beer increased by 1.4 times (p < .05). Its tannoid increased by 3.3 times (p <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