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beta$gluca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Inheritence, linkage and Possible Use of Fractured Starch Mutant in Barley (Hordeum Vulga L.)

  • Chung, Tae-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51-157
    • /
    • 2001
  • In order to breed barley lines with reduced viscosity of wort, a fractured starch mutant of naked barley cultivar, Nubet, was obtained from the M2 seeds mutated by the diethyl sulfate treatment. Seeds of this fractured starch mutant were opaque and the endosperm consists of angular, irregular and fractured starch. The mutant was caused by single recessive mutation and assigned by the symbol fra. The gene was located on chromosome 4, distal in long arm by linkage recombinations using translocation homozygote lethal test set. The linkage value between the fractured starch mutant and 72-4a, 72-4d were 26.0$\pm$4.9, 34.2$\pm$3.1 perc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reduced seed size, fewer kernels per spike and higher tillering ability, lower $\beta$-glucan viscosity and higher lysine content of the grain were associated with this mutant. $\beta$-glucan viscosity of the Nubet grains increased from 3 weeks after anthesis to matury and most of the viscose substances appeared to be stored in the middle of the endosperm tissue. Since the mutant grains showed better milling property as compared to Nubet, it can be used as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e new barley cultivars for maltins and milling purpose.

  • PDF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beta}-Glucan$ Isolated from Non-waxy and Waxy Barley)

  • 최희돈;박용곤;장은희;석호문;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90-597
    • /
    • 2000
  • ${\beta}-Glucan$의 점증제 및 겔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용액의 리을로지 특성을 비교하였다.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용액 모두 의가소생 유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Power law mdel에 잘 적용되었다. Arrhenius 식에 의해 구한 층밀림 속도 $700s^{-1}$에서의 겉보기 점도의 활성화에 너지는 농도가 1%에서 4%로 .증가함에 따라 메성 ${\beta}-glucan$의 경우 20.01에서 16.78kj/mol로, 찰성 ${\beta}-glucan$의 경우 지수의 경우 27.18에서 17.82kj/mol로 감소하였으며, 지수함수식에 의해 구한 농도의존성 상수인 A는 온도가 $20^{circ}C$에서 $6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메성 ${\beta}-glucan$의 경우 $0.37%^{-1}$에서 $0.42%^{-1}$로, 찰성 ${\beta}-glucan$의 경우 $0.49%^{-1}$에서 $0.57%^{-1}$로 증가하였다. 찰성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38dL/g으로 메성보리 ${\beta}-glucan$의 1.60dL/g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점도와 환원농도의 관계에서 구한 critical coil overlap parameter($C^*[{\eta}]$)를 경계로 기울기가 달라져 $C[{\eta}] 영역에서는 메성 및 찰성보리 ${\beta}-glucan$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C[{\eta}]>C^*[{\eta}]$ 영역에서는 각각 2.907과 3.757을 나타내었다. 동적점탄성 측청 결과 진동수 변환중 cross-over가 일어나고 이후의 진동수 영역에서는 저장탄성율이 손실탄성율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경과 후 겔을 형성하여 겔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겉보리 종실 성분 변이가 근적외 분광분석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mical Contents Variation in Covered Barley Seed on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김병주;박의호;정찬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4-361
    • /
    • 1996
  • 신속하고 정확한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으로 품질분석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의 변이분포가 검량식 작성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측정 정확성에 미치는 관계를 구명하여, 근적외선 분광광도계의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리 전분에 대한추정치 표준오차는 변이폭이 증대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관계수도 변이폭이 증대될수록 0.872에서 0.883으로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eta$-glucan과 단백질은 변이폭이 증대될수록 추정치 표준오차는 낮아지고 상관계수는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서는 이들 성분의 함량변이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회분은 첫번째와 두번째 group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세번째 group에서는 상관계수가 0.743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어 회분함량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변이폭이 있어야만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 겉보리 성분 중 전분과 회분은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beta$-glucan과 단백질은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의 적용이 가능하여 분석의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재배환경(栽培環境)이 맥주맥(麥酒麥)의 ${\beta}-Glucan$ 함량(含量)과 ${\beta}-Glucan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ultural Environments on ${\beta}-Glucan$ Contents and ${\beta}-Glucanase$ Activities on Malting Barley Varieties)

  • 김원일;장현세;박노동;김광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66-272
    • /
    • 1986
  • 맥주맥(麥灌麥) 장려품종의 원맥(原麥)과 맥아(麥芽)에서 수용성(水溶性) ${\beta}-glucan$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4{\sim}4.0%$$0.3{\sim}0.6%$범위(範圍)였다. 원맥(原麥)의 ${\beta}-glucan$함량(含豊)은 품종(品種), 재배지역(載培地域) 및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 수준(水準)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맥(原麥)의 ${\beta}-glucan$함량(含量)은 점도(粘度)와 고도(高度)의 정(正)의 관(關)을 보였으며 ,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total gum함량(會量)에 대(對)하여는 각각(各各)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맥아(麥芽)의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점도감소(粘度減少)의 상대시간(相對時間)으로 표시(標示)할 때 $11.0{\sim}20.0$초(秒)였으며, 품종(品種), 재배지역(栽培地域) 및 질소비료(室素肥料) 수준(水準)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았으며, 제맥아중(製麥芽中)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제6일(第6日)째 이후(以後)부터 최고수준(最高水準)을 유지하였다. 맥아(麥芽) ${\beta}-glucanase$활성(活性)은 맥아(麥芽)의 잔존(殘存) ${\beta}-glucan$함량(含量)과 부상관(負相關)을 추출수량(抽出收量)과는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맥아(麥芽)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豊)은 추출수량(抽出收量)과 부상관(負相關)을, 효소력가(酵素力價)와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 PDF

보리 Isogenic Lines의 이화학적 품질과 취반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ies of Barley Isogenic Lines)

  • 이민재;권경순;장학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01-306
    • /
    • 1997
  • 찰성, 부정형, plump endosperm 등의 유전자를 결합시킨 보리 isogenic lines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취반특성에 대한 제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실의 천립중은 입도가 2.5 mm 이상의 것이 가장 많은 Betzes가 가장 높았으며, 정맥율은 Franubet과 Wafranubet이 높았고, 보리쌀의 백도는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배유가 부정형 전분 유전자로 구성된 Franubet이 전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제분율도 높았다. 보리전분의 팽윤력과 물결합능력은 찰성 및 부정형 유전자를 갖는 품종이 높았다. Amylogram 특성에서 찰성의 보리는 메성에 비하여 호화 온도는 낮았고 최고점도는 높았다. ${\beta}-Glucan\;viscosity$는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찰보리의 ${\beta}-glucan\;viscosity$가 가장 높았다. 취반특성중 흡수율, 용출고형물 및 퍼짐성은 찰성과 부정형 전분을 포함한 보리 품종이 Wafranubet이 가장 높았으며, 밥의 백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국내산 맥류의 식이섬유 조성 및 이들 추출물의 점성 비교 (Dietary Fiber Composit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 이영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3-238
    • /
    • 2001
  • 국내산 품종별, 보리, 귀리, 밀, 호미의 식이섬유 함량과 추출물의 점성을 분석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높은 식물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모색하였다. 평균 총 식이섬유함량은 보리 19.9%, 호밀 18.0%, 밀 15.9%귀리 groat 15.5%,보리쌀 9.7%의 순이었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보리 6.6%, 호밀, 6.4%, 보리쌀 5.4%, 구리 .groat 4.9%밀 3.8%의순이었으며 ,밀과 호밀의 제분부산물인 bran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식이섬유 소재인거승로 확인되었다. $\beta$-glucan 함량은 보리와 귀리에서 4.4.~4.5%로 유사하게 높았으며 호밀과 밀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총 $\beta$-glucan 에대한 수용성 $\beta$-glucan 의 비율로 나타낸 용해성은 귀리와 보리순으로 높았으며 밀과 호밀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 추출물의 점도는 호밀, 보리쌀 귀리, groat. 밀의 순으로 높았으며, 맥류 품종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을경향을 보여주었다. 국내산 맥류의 고점도 식이섬유는 생이기능성이 높은 건강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클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옥테닐 호박산 베타글루칸의 유화 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Octenyl Succinic Anhydride Modified β-Glucan from Barley)

  • 길나영;김산성;박은정;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7-2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OSA-${\beta}$-glucan 유화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유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H 변화, NaCl 첨가에 따른 유화액의 지방구 크기, 제타전위의 변화 등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OSA-${\beta}$-glucan에 대한 co-surfactant 선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OSA-${\beta}$-glucan 유화액은 pH가 낮을수록, NaCl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응집으로 인해 안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유화액의 제타전위 측정 및 현미경 관찰 결과와 일치하였다. OSA-${\beta}$-glucan 유화제에 적합한 co-surfactant는 유화 지방구 크기 및 크리밍 안정도 측면에서 Tween 20으로 확인되었으며 적절한 농도는 0.2%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Tween 20 첨가에 대한 OSA-${\beta}$-glucan 유화액의 안정도 향상은 유화지방구 표면에서 OSA-${\beta}$-glucan과 Tween 20의 co-adsorption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aste by Using Germinated Barley with Increased γ-Amino Butyric Acid

  • Shin, Myung-Gon;Lee, Gyu-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50-156
    • /
    • 2011
  • Germinated barley, instead of glutinous rice, was used to make health-enhancing fermented red pepper paste. The proximate components of commercial glutinous rice red pepper paste (CGRPP) and germinated barley red pepper paste (GBRPP) were analyzed during fermenta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contents of CGRPP and GBRPP were evaluated. The contents of ${\beta}$-glucan and GABA showed the highest value after 48 hrs of germin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GABA in GBRPP increased up to 28 days and then decreased. During sensory evaluation, the consumer liked the GBRPP more than CGRPP. The GABA contents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GABA contents of GBRPP were twice as much as that of CGRP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BRPP can have consumer acceptance for its health benefits and taste and can therefore become commercialized.

보리(Hordeum vulgare)추출물의 항보체 및 면역증강 효과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Immune-Stimulat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Barley (Hordeum Vulgare))

  • 김유영;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61-668
    • /
    • 1997
  • By using several solvents, barley extracts containing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in classical pathway were prepared (250 $\mu\textrm{g}$/ml): methanol (83.1%), ethanol (71.9%), water extract (25.4%), M-1 (250 $\mu\textrm{g}$/ml), and the soluble part of methanol extract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83.4%) and the yield.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s well as protease digestion in classical pathway showed 82.4% and 78.4% in the concentration of 250 $\mu\textrm{g}$/ml,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protein was not involved in anticomplementary activity in the classical pathway and the methanol extract made an impact on classical pathway, but not on alternative pathway. For the immune-stimulating effect, the T cell proliferation effect of the protease digestion displayed little effect irrespective of the dose. In addition, the T cell proliferation effect of methanol extract showed 13-fold higher proliferation effect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It was revealed that the substance containing protein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mmune proliferation. Therefore,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beta}$-glucan in classical pathway and alternative pathway displayed the lowest activity, showing 2.2%, 22.3% respectively. However, the immune-stimulating effect of ${\beta}$-glucan showed the T cell stimulating effect 13 times higher than positive control.

  • PDF

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항변이원성 (Studies on the Antimutagenicity of extract from Barley (Hordeum vulgare))

  • 이은주;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68-474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imutagenicity from Barley (Hordeum vulgare). In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In vitro test), the extract of Barley (Hordeum vulgare) inhibited mutagenic activity of 4-NQO and Trp-p-1 with 59 mix.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In Micronucleus test (In vivo test), the methanol extract of Barley (Hordeum vulgare) inhibited micronucleus formation in bone marrow by cyclophosphamide. The $\beta$-glucan of Barley (Hordeum vulgare)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59-77% in mutagenic activity of 4-NQO by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he mutagenicity of Trp-p-1 with S9 mix. by Salmonella typhimurium TA98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24-56%. The methanl extract (M) was fractionated with ether (MI), ethylacetate (M2), buthanol (M3) and water (M4). The Antimutagenicity of Trp-p-1 with 59 mix. by Salmonella typhimurium TA98 in Barley fraction showed the following: methanol extract (99.58%)>ether fraction (98.05%)>buthanol fraction (56.90%)>water fraction (56.72%)>ethyl acetate fraction (28.72%). Among them, ether fraction in TA 98 showed strong antimutagenicity effects (85.56%, 98.05%) against mutation induced by 4-NQO and Trp-p-1. As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increased (1.25~5 g/kg/10 cc), micronucleus formation in bone marrow by chemical mutagen (CP)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50% (p< 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