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beta$gluca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Relationship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Yield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 Lee, Mi-Ja;Kim, Yang-Kil;Park, Jong Chul;Kim, Young-Jin;Kim, Kyeong-Hoon;Choi, Induck;Choi, Jae-Seong;Kim, Kee-Jong;Kim, Hyung-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01-408
    • /
    • 2012
  • The grain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barley cultivar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ethanol yield. Test weight, grain yield, and starch yield showed noticeable variation among the cultivars. Grain yields were higher in covered barley and non-waxy barley. Starch yield was higher in non-waxy barley than waxy barley. Protein, ${\beta}$-glucan, and starch content of tested cultivars ranged in 10.0-12.9%, 4.4-7.5% and 49.7-65.3%, respectively. Nak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starch content than covered barley cultivar. However, covered barley had high starch yield because it has higher grain yield than naked barley. Cover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husk content, ranging 7.6-14.0%, than that of naked barley cultivar, ranging 5.3-8.0%. Starch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test weight, ethanol yiel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husk, ${\beta}$-glucan content. Ethanol yield per t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conten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husk content. Ethanol yield per hect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yield, grain yield, grain weigh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test weight. From this researc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arley cultivar as a bioethanol producing material were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Optimum barley genotype was non-waxy naked barley that had low protein, ${\beta}$-glucan, husk content, and high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beta$-Glucanase를 이용한 보리전분 분리공정의 개발 (Development of Isolation Process of Barley Starch Using $\beta$-glucanase)

  • 서호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8-243
    • /
    • 1999
  • 보리로부터 전분을 분리하는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blending 처리, ${eta}$-glucanase 처리 및 alkali 처리를 병행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Blending 처리에 의한 전처리 효과를 조사한 결과 blending 처리를 6회 했을 경우에 전분수율이 29.7%로 나타냈으며 단백질 3.2%, 지방0.7%, 섬유소 0.4%, 회분 0.4%, ${eta}$-glucan 2.8%를 함유한 전분을 분리하였다 단백질과 ${eta}$-glucan의 용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eta$-glucanase 처리의 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eta}$-glucanase 첨가량 60,000 unit, 맥분과 물의 양1/2, 반응온도 $45^{\circ}C$, pH6.5, 침지 6시간 때에 효과적인 용출을 보였다. 전분의 수율증대와 순도를 높이기 위해 0.2% NaOH 용액을 사용한 alkali 처리조건을 조사한 결과 침지 2시간 때에 전분함량은 ${eta}$-glucanase 처리 후의 전분함량과 비교하여 볼 때 25%가 증가한 76.7%(w/w)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0.2%, ${eta}$-glucan 0.1%의 최종 전분을 분리하였다.

  • PDF

국내 시판 메성 및 찰성 보리쌀의 취반 및 호화특성 (Cooking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Non-Waxy and Waxy Pearled Barley Products from Korea)

  • 이미자;김양길;서재환;김정곤;김형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1-668
    • /
    • 2009
  • 국내 시판 보리쌀 107개 제품을 수집하여 단백질, $\beta$-glucan 함량, 백도, 찰성비율, 취반특성 및 호화특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유통 메성보리 쌀의 단백질 함량은 6.62~11.38%였고, $\beta$-glucan 함량은 2.44~6.95%, 백도는 29.0~44.4이었으며 흡수성은 135~284%, 퍼짐성은 227~457%이었다. 찰성보리쌀의 경우 단백질은 7.17~12.57%, 백도는 27.1~49.6, $\beta$-glucan 함량은 2.81~7.38%로 메성보리쌀보다 높았으며 흡수성과 퍼짐성도 218~593%와 366~593%로 메성보리쌀보다 높았다. 즉, 찰성보리쌀 제품이 메성보리쌀 제품보다 취반특성이나 백도, $\beta$-glucan 함량 등에서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호화특성은 지역별 생산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호화개시온도는 메성보리쌀 제품이 찰성보리쌀 제품보다 높았고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들도 메성보리쌀 제품이 찰성보리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메성과 찰성에 관계없이 단백질 함량과 $\beta$-glucan 함량은 정의 상관관계($r=0.632^{***}$, $r=0.453^{**}$)를 나타내었으며, 백도와는 부의 상관관계($r=-0.433^{***}$, $r=-0.343^{**}$)를 나타내었다. 찰성보리쌀 제품의 찰성비율을 분석한 결과 84~100% 범위였으며, 평균 찰성비율은 97%이었고 이중 16개 제품이 98%이상의 찰성비율을 나타내는 등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의 찰성비율이 지역별, 제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beta$-Glucan Suppresses LPS-stimulated NO Product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iNOS Expression and $NF{\kappa}B$ Trans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 Yang, Jeong-Lye;Jang, Ji-Hyun;Radhakrishnan, Vinodhkumar;Kim, Yang-Ha;Song, Young-S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06-113
    • /
    • 2008
  •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tective effects of $\beta$-glucan from barley on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were examined. The RAW 264.7 murine macrophages were pre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200\;{\mu}g/mL$) of $\beta$-glucan and stimulated with LPS to indu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The $\beta$-glucan treatments were found to reduce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TBARS) accumulation, and enhance glutathione levels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as compared to the LPS-only treated cells.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with an $IC_{50}$ of $104\;{\mu}g/mL$. Further treatment with $\beta$-glucan at $200\;{\mu}g/mL$ suppressed NO production to 2% of the LPS-control, and suppressed the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and mRNA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specific DNA binding activity of nuclear factor ${\kappa}B\;(NF{\kappa}B)$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beta$-glucan treatment with an $IC_{50}$ of $220\;{\mu}g/mL$ in a dose-dependent manner. Finally, barley $\beta$-glucan ameliorates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ctivity, which may be mediated by attenuate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macrophages.

보리 ${\beta}-Glucan$ [mixed-linked $(1-3),(1-4)-{\beta}-D-Glucan$의 리올로지 특성 (Studies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beta}-Glucan$ [mixed-linked $(1-3),(1-4)-{\beta}-D-Glucan$])

  • 김미옥;차희숙;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1
    • /
    • 1993
  • 보리를 thermostable ${\alpha}-amylase$와 amyloglucosidase로 처리하여 ${\beta}-glucan$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정제한 후, 보리 ${\beta}-glucan$의 여러가지 리올로지 특성치들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beta}-glucan$의 함량은 64%이었다. crude한 시료를 정제과정을 통해 순수한 ${\beta}-glucan$을 얻었으며 순수한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290 dl/g 이었다. pH 의존성은 pH 7일 때, 고유점도가 2.290 dl/g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산성과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이 pH 의존성이 크게 나타났다. 염농도의존성에서는 염을 가하지 않았을 때 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290 dl/g이었으나, 염존재하에서는 고유점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염농도의존성을 나타냈다. 10% glycerol 용액에서 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1,360 dl/g이었으며 8 M urea 용액에서 고유점도는 4.114 dl/g로 나타났고, urea 제거후의 고유점도는 1.686 dl/g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Chain stiffness는 0.05이었으며 온도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하였다. Zero shear specific viscosity에서는 $C{\cdot}[{\eta}]=0.573$이었으며, specific viscosity는 0.327로서 0.573 g/dl농도 이상에서 entanglement가 시작되며, 보리 ${\beta}-glucan$의 농도의존성은 1.0 g/dl, 2.0 g/dl 농도용액에서 newtonian fluid 성질을 나타냈고, 3.0 g/dl 농도 이상일 때는 pseudoplastic behavior를 보여주는 동시에 thixotropic hysteresis가 일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Dynamic 성질로서는 4.0 g/dl 용액에서 damping이 0.5 frequency에서 나타나며, 0.5 frequency 이하일 때는 viscous behavior 성질이 있고 0.5 frequency 이상일 때는 elastic behavior 성질을 나타냈다.

  • PDF

열처리 온도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β-Glucan with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 이상훈;장귀영;김현영;우관식;황인국;김기종;이미자;김태집;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64-1770
    • /
    • 2012
  • 열처리에 따른 보리 ${\beta}$-glucan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및 흰찰쌀보리를 $110^{\circ}C{\sim}1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하였으며, 총 및 수용성 ${\beta}$-glucan 함량, 순도, 분자량, 점도 및 재용해율을 살펴보았다. 3품종 보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7.77~8.40% 범위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1.59~14.65% 범위로 증가하였으나, $140^{\circ}C$$150^{\circ}C$에서는 6.30~8.33%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함량은 무처리의 4.14~4.79%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6.11~10.29%까지 증가하였으며, $150^{\circ}C$에서는 3.01~5.60%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순도는 3품종 모두 $130^{\circ}C$까지는 31~37%범위이었으나 $140^{\circ}C$ 이상에서는 91%까지 증가하였다. 분자량은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더 컸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새쌀보리는 606,463 Da에서 1,404 Da으로, 새찰쌀보리는 698,541 Da에서 1,617 Da으로, 그리고 흰찰쌀보리는 669,539 Da에서 1,550 Da으로 감소하였다.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높았고 흰찰쌀보리보다 새찰쌀보리가 높았다. 재용해율은 무처리의 50~55%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50^{\circ}C$에서는 96.75~97.99% 범위로 증가하였다.

도정 및 가열조리중 보리의 식이섬유 함량변화 (Changes In Dietary Fiber Content of Barley during Pearling and Cooking)

  • 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0-182
    • /
    • 1992
  • 한국산 쌀보리 3품종을 도정수율 70%, 겉보리 3품종을 도정수율 60%, 로 도정한 후 수용성, 불용성, 총식이섬유 및 ${\beta}-glucan$의 함량을 측정하여 도정전과 비교하였다. 도정전 쌀보리는 평균 17.1%, 겉보리는 23.9%의 총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도정후 쌀보리는 9.2% 총식이섬유와 4.8%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하였고, 겉보리는 각각 11.9%와 6.0%를 함유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품종에 따라 도정 전에는 $3.2{\sim}3.9%$, 도정 후에는 $3.5{\sim}5.4%$를 함유하였다. 도정된 쌀보리와 쌀보리가루의 수용성 식이섬유와 $3.2{\sim}3.9%$ 함량은 가열조리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았으나, 불용성 식이섬유는 1% 증가하였다.

  • PDF

β-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β-1,3-glucan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박광월;이아름;이인영;김미경;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실험은 Beta-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실험은 40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6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일조+조명: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BetaPolo^{(R)}$ (미생물 발효 ${\beta}-glucan$, 수용성)구, $HiGlu^{(R)}$(미생물 발효 ${\beta}-glucan$)구, $OGlu^{(R)}$(Oat ${\beta}-glucan$)구 그리고 $BGlu^{(R)}$(Barley ${\beta}-glucan$)구 등 5처리구로 두었다. 생산성에 있어서 일계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en-housed egg production에 있어서 OGlu구가 HiGlu 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모든 ${\beta}-glucan$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계란 품질에 있어서 난각 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beta}-glucan$ 처리구들이 유의하게 높았고 그 중에서 BGlu구가 가장 높았다. 난각색과 Haugh unit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특히 OGlu구가 가장 낮았다. 혈액성상에 있어 leucocytes는 전반적으로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Erythrocytes 중 적혈구 용적율(HCT)과 평균적혈구용적(MCV)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MCV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beta}-glucan$ 처리구중에서 OGlu구가 leucocytes와 erythrocytes 수준이 가장 높았다. 소장내 미생물 균총도 처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Cl. perfringens 의 경우 모든 ${\beta}-gluca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황내 IgY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시험 마지막 5기에 ${\beta}-glucan$ 처리구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내 IgG, IgA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란계에 ${\beta}-glucan$ 제제들의 급여가 사료 요구율과 난각 강도를 유의하게 개선시켰는데 혈액성상, 장내 미생물 균총, 면역 기능 등에 순기능적 개선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쌀과 보리의 식이 섬유가 흰쥐의 지방 및 Cadmium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s in Rice and Barley on Lipid and Cadmium Metabolism in the Rat)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252-265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 of dietary fibers in rice and barley on glucose, lipid and cadmium (Cd) metabolism in the rat. Fifty-six male Spague-Dawley rats weighing 244.6$\pm$2.7g were blocked into eight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0 or 0.04%(w/w) CdCl2 and four different carbohydrate sources, starch, rice flour, barley flour and mixture of rice and barley flour(7 : 3, w/w). Total dietary fibers and $\beta$-glucan contents of barley were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ce (10.75% vs. 3.94%, 3.11% vs. 1.06%, respectively). Food intake,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liver and kidney weights were lower in Cd exposed groups, and barley group among Cd exposed animals showed highest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organ weights.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Serum cholesterol level was lowest in Cd exposed barley group. Serum HDL-cholesterol level was higher in none-Cd exposed starch and barley groups, and HDL-cholesterol : total cholesterol ratios were higher in none-Cd rice and mixed flour groups than other groups. Liver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lowest in barley groups regardless of Cd administration. Fecal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xcretions were high in barley and mixed flour groups. Liver Cd concentrations were low in Cd exposed barley and mixed flour groups. In Cd exposed barley group, fecal weight and Cd excretion were highest and Cd retention ratio was lowest among groups. Small intestine metallothionein(MT)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Cd exposed rice group, and kidney MT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Cd exposed barley group. In conclusion, cereals showed different effects on lipid and Cd metabolism that might be mediated by dietary fibers in cereals. Especially $\beta$-glucan-rich barley group showed greatest lipid and Cd lowering effects by increasing fecal lipids and Cd excretions.

  • PDF

근적외선분광분석법에 의한 등숙시기별 보리종실의 성분측정 (Determination of Barley Grain Components at Different Maturing Stages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ic Analysis)

  • 김병주;박의호;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19
    • /
    • 1996
  • 많은 보리계통의 주요 종실성분을 등숙초기단계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근적외분광분석법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겉보리 34계통을 재료로 출수후 25, 30, 35일에 각각 수확하였다. 이들 시료들을 대상으로 양질의 보리품종을 선발하는데 있어 품질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전분, $\beta$-glucan, 단백질 및 회분성분을 일반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뒤, 이 성적과 근적외분광광도계(NIRS)를 이용한 검량식(calibration equation)작성으로, 간접측정방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각 등숙시기별 성분별로 우수 검량식을 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분석치와의 상관정도를 검토함으로써 실행정확성을 판단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후 25일의 보리종실성분 중 전분은 2,163nm의 파장으로 구성된 검량식에서, $\beta$-glucan은 2,006nm 파장의 검량식에서 측정정확도가 높아 NIRS의 이용가능성이 있었으나 단백질 및 회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출수후 30일의 보리종실성분 중 전분은 2,053/2,082/2,235nm, $\beta$-glucan은 2,064/2,110nm, 단백질은 2,139/2,167/2,006/1,931nm로 구성된 검량식에서 각각 측정정확도가 높았으나 회분은 실분석치와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출수후 35일 수확 종실의 경우 NIRS에 의한 전분과 단백질의 측정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eta$-glucan및 회분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출수후 35일 종실의 $\beta$-glucan은 흡광도 peak가 2,090nm에서 이루어져 분석이 되지 않았으며, 또한 회분은 세 시기 모두 계통간 성분변이 폭이 좁아 NIRS에 의한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