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 ligni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Bark Content and Densification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Oil Palm Trunk-Based Pellets

  • Wistara, Nyoman J;Rohmatullah, Moh Arif;Febrianto, Fauzi;Pari, Gustan;Lee, Seung-Hwan;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671-681
    • /
    • 2017
  • Oil palm trunk (OPT) is a potential source of biomass for the production of biopellet. In the present research, biopellet were prepared from the meristem part of 25 years old OPT with various percentages of its bark (0, 10, and 30%). The highest biopellet durability was found for biopellet produced at $130^{\circ}C$ of pelletizing temperature with 30% bark conten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f biopellet showed the weak of particle bonding due to the low pelletizing pressure. The moisture content, unit density, ash content, and caloric value of OPT-based pellets were 3.55-5.35%, $525.56-855.23kg/m^3$, 2.76-3.44%, and 17.89-19.14 MJ/kg, respectively. The combustion profiles obtain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seemed to be unaffected by the bark content on.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f TGA curve indicated different pyrolysis characteristic o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침엽수재(針葉樹材) 수피(樹皮)의 물성(物性)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iferous Barks)

  • 정대성;민두식;김병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59-65
    • /
    • 1985
  • 충청지역(忠淸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림(針葉樹林) 수피이용(樹皮利用)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 수피(樹皮)의 일반적(一般的) 조성분(組成分)과 수피율(樹皮率) 및 발숙량(發熟量)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피(樹皮)는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추출물(抽出物)과 lignin 함유량(含有量)이 많다. 그리고 잣나무수피(樹皮)는 낙엽송,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보다 alcohol-benzene 추출물량(抽出物量)이 가장 많았다. 또한 pentosan 함유량(含有量)은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수피(樹皮)가 일반적(一般的)으로 적지만 낙엽송수피(樹皮)에서는 도리어 많았다. 2) 수피(樹皮)의 pH는 3.5~4.1의 범위를 보이고 일반적(一般的)으로 목재(木材)보다 더 산성(酸性)이었다. 그리고 수피(樹皮)의 회분(灰分) 함유량(含有量)은 1.98~2.78%로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월등히 많았다. 3) 수피율(樹皮率)은 원목체적(原木體積)의 13.9~19.8%를 점(占)하고 있으며 수피(樹皮)의 발숙량(發熟量)은 목재(木材)보다 높았다. 그리고 수종별(樹種別) 수피(樹皮)의 발숙량(發熟量)이 높은 순(順)으로는 잣나무(5,504 kcal/kg),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및 소나무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Nalita Wood (Trema orientalis) as a Source of Fiber for Papermaking (Part I):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M. Sarwar Jahan;Mun, Sung-Phil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5호
    • /
    • pp.72-79
    • /
    • 2003
  • Nalita wood (Trema oriental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woods in the world, is characterized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t annual growth ring level in order to investigate as papermaking raw material. The proportion of fibers and vessel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growth ring (from pith to bark). The fiber length of Nalita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growth ring, and an average fiber length was about 817 um. The average basic density of Nalita was about 0.38 g/cc. The total lignin & holocellulose in Nalita were increased and ash & alcohol-benzene extract decreased from pith to bark. These values were about 23.5 - 24.4 %, 78.1 - 80.1 %, 1.04 - 0.92 % and 2.1 - 1.8 %, respectively. The xylan was the predominant sugar in the hemicellulose of Nalita.

저속열분해를 통한 바이오매스 부산물의 바이오촤 특성 비교 분석 (Comparision of Biochar Properties From Biomass produced by Slow Pyrolysis)

  • 박진제;이용운;류창국;강기섭;양원;정진호;현승훈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3년도 제46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69-7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iochar by slow pyrolysis at $500^{\circ}C$ for various biomass residues. Six biomass materials were tested: Tree bark, Tree stem, bagasse, cocopeat, paddy straw and palm kernel shell. In the biochar yield, the effect of ash in the raw biomass was significant for paddy straw. Excluding the ash content, the timber bark, bagasse and paddy straw had a similar biochar yield of 26-29 wt.%. Tree stem and bagasse had well developed pores in a wide size range and large surface area over $200m^2/g$. Cocopeat and PKS has significantly higher biochar yield due to the increased content of lignin, but the development of intra-particle pores and microscopic surface area was very poor. The elemental composition, pH and other properties of the biochar samples were also compared.

  • PDF

상백피 추출물 중의 항알러지 활성 성분의 분리 (Purification of Anti-allergic Compound from Mori Cortex Radicis Extract)

  • 이은주;채옥희;이무삼;이헌구;허훈
    • 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95-402
    • /
    • 1998
  • Mori Cortex Radicis,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and other lung diseases in traditional medicine. There was a recent repor t that the water soluble part with molecular weight of above 10,000 has anti-allergic activity. Therefore, we intended to isolate and purify the anti-allergic compound from hot water extract of the Mori Cortex Radicis. Crude extract of Mori Cortex Radicis was prepared by hot-water extraction, and anti-allergic compound was further purified by alcohol precipitation, successive ultrafilt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is compound had homogeneity which was shown by the sharp single peak in HPLC chromatogram (TSK-GEL G400OPW column, RI detecto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und was estimated as 23Kda on the basis of calibration curve plotted against protein standards. This compound was identified as complex of sugar, protein and lignin (19.2: 5.9: 72.7), and proteolysis could not decrease the anti-allergic activity but mild delignification decreased the activity remarkabl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anti-allergic compound of Mori Cortex Radicis was a lignin-carbohydrate complex.

  • PDF

수피${\cdot}$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Bark and Piggery Manure By-Product Fertilizers During the Composting)

  • 양재의;박창진;용석호;김정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2-377
    • /
    • 1999
  • 본 연구는 부산물 비료의 부숙도 판정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피 부산물 비료와 돈분 부산물 비료를 대상으로 원재료로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부숙단계별 시료의 물리적${\cdot}$화학적${\cdot}$생물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완료됨에 따라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유색(black)으로, 돈분 부산물의 경우 암갈색으로 변화되었으며, 수피 부산물의 경우는 43일경과 후에, 돈분 부산물의 경우는 40일경과 후에 원 시료의 냄새가 사라지고 퇴비취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숙된 수피 부산물 비료의 pH와 EC는 각각 pH6.5와 $1dS{\cdot}m^{-1}$에서 안정화되었으며,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는 pH7.2와 $6dS{\cdot}m^{-1}$에서 안정화되었다.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유기물함량은 점차 감소하여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120일 경과후 62%,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40일경과 후 59%로 안정화되었다. 부숙 기간 중 총 질소의 함량은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1.1{\sim}1.5%$, 돈분 부산물의 경우 $1.5{\sim}2.2%$를 유지하였다. 두 가지 비료 모두에서 암모니아태 질소는 초기에 증가하다 중기 이후 감소하였고, 질산태 질소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무기태 질소의 전체 함량은 증가하였다. 부숙이 완료된 퇴비의 유기물/질소비는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25에서,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27에서 안정화되었다.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CEC는 증가하였는데, 완숙단계에서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87cmol(+)\;{\cdot}\;kg^{-1}$으로,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70cmol(+)\;{\cdot}\;kg^{-1}$으로 증가하였다. 조섬유 중 Cellulose와 Hemicellulose는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ignin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부산물비료의 부숙단계별 시료의 특성변화는 부산물 비료의 부숙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바인더의 첨가가 목재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Binders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 안병준;장희선;조성택;한규성;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475-489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과 백합나무 톱밥을 이용한 펠릿의 제조 과정에서 바인더로 일정량의 유채박, 커피부산물, 수피, 솔방울, 리그닌 분말을 첨가하여 바인더의 종류 및 첨가량이 내구성을 포함한 펠릿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바인더와 함께 제조한 펠릿의 품질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고시한 목재 펠릿 품질 규격 1등급 기준을 대부분 상회하였으며, 일부 과다한 양의 바인더를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에서만 높은 회분 함량으로 2~3등급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인더 종류 및 첨가량에 따른 펠릿의 내구성은 리그닌, 유채박 그리고 커피부산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에서 우수하였으며, 백합나무 펠릿은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내구성도 향상되었다. 한편 낙엽송 펠릿의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내구성 향상 효과는 크지 않았으며, 수피와 솔방울을 바인더로 사용하였을 때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내구성이 감소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광학/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으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바인더의 첨가는 목재 펠릿의 품질 향상에 대부분의 항목에서 기여하였으며, 특히 커피부산물을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한 펠릿의 경우 모든 품질에서 뚜렷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저렴한 바인더의 안정적인 확보가 이루어진다면 바인더의 첨가로 인하여 연료적 품질이 향상된 목재 펠릿의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

느릅나무 근피의 화학조성분 및 항균성 물질(I) : 화학조성분 및 추출성분의 항균성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 김창순;이중명;최장옥;박성배;엄태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66-73
    • /
    • 2002
  • 느릅나무 근피와 점액질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고, 근피의 MeOH추출물을 각종 유기용제 및 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원소조성은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목부의 질소 및 리그닌 함량은 사부보다 높았으며 회분 및 추출물양은 목부보다 사부가 높게 나타났다. 근피의 점액질은 냉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용출 되었으며, 높은 산성당 함량을 갖는 pectin 유사 물질이었다. 느릅나무 근피로부터 약 7% 정도의 메탄올 추출물이 얻어졌고 이 중 78%가 수용성 물질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첨가제로서 낙엽송의 수피 및 건조폐액이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k and Drying Waste Liquor of Larix kaempferi Used as An Additiv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Rigida Pine and Quercus mongolica Sawdust)

  • 양인;채현규;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58-267
    • /
    • 2017
  • 리기다소나무와 신갈나무 목분에 낙엽송 수피 또는/그리고 인공건조시 발생하는 폐액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연료적 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고등급 목재펠릿 제조를 위한 원료 및 제조조건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첨가제에 대한 화학적 조성을 조사한 결과, 수피는 90% 이상의 전섬유소와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폐액은 대부분 당 성분이라 추정되는 0.1%의 고형분을 가지고 있었다. 신갈나무 목분은 수피의 포함으로 회분 함량(2.2%)이 높았으며, 수피와 건조폐액도 4% 이상의 회분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분 및 첨가제의 발열량은 모두 국립산림과학원(NIFOS)에서 고시한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의 목재펠릿 1급 기준(18.0 MJ/kg) 보다 높았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은 첨가제의 양이 2 wt%인 관계로 회분함량과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내구성의 경우, 대부분의 제조 조건에서 첨가제의 사용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한편 첨가제로 수피 그리고 목분의 함수율 조절을 위하여 건조폐액을 함께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첨가제없이 제조한 펠릿과 차이가 없었으며, 수피 또는 건조폐액을 각각 첨가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펠릿보다 낮았다. 그러나 펠릿 제조비용 측면에서 건조폐액은 폐수처리에 따른 수익이 가능한 관계로 수피와 건조폐액을 공동으로 펠릿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의 연료적 특성 측정 결과를 토대로 파일럿 규모의 평다이펠릿성형기로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은 목분 및 첨가제의 사용과 상관없이 NIFOS 1급 기준($${\leq_-}$$10%)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에 대한 겉보기밀도와 내구성 측정결과를 종합하면, 첨가제의 사용은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목분 함수율을 10%로 조절하고 수피나 건조폐액을 사용하는 것이 그리고 신갈나무의 경우 12%의 목분 함수율에 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각각의 최적 목재펠릿 제조 조건이라 생각한다. 신갈나무 펠릿의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 이 조건에서 제조한 목재펠릿의 품질은 NIFOS 목재펠릿 1급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섬유를 이용한 특수기능지 개발 (제 1보) - 소다펄프화 삼 섬유의 수초지 특성 - (Manufacture of Specialty Paper with Hemp Bast Fiber Cultivated in Korea (Part 1) - Characteristics of Hemp-Wood Paper by Soda Pulping -)

  • 이다희;이명구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6호
    • /
    • pp.30-35
    • /
    • 2013
  • To conserve wood resources for papermaking,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emp (Cannabis sativa L.) bast fiber cultivated in Korea such as holocellulose, ${\alpha}$-cellulose, lignin, alcohol-benzene extractives, hot and cold water extractives, and ash contents were investigated to manufacture the specialty packaging paper effectively. Significantly very low klason lignin content of 3.3% was accomplished by removing of the outer shell of bark. Laboratory soda pulping method which is very useful for the nonwood fiber was adapt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kappa number and H-factor between 25% and 30% NaOH charge. Hemp pulp cooked with the laboratory digester in 25% NaOH at $170^{\circ}C$ were mixed together with the wood pulp(NBKP:LBKP=1:1)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mixture ratio which exhibited acceptable paper strength properties such as tensile index, burst index, and tear strength. When 10% of hemp soda pulps was mixed with 90% of wood pulps comprised of SwBKP and HwBKP (1:1), all physical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hysical strength decreased as the amount of hemp pulp increased because the cell wall of bast fiber is very thick which causes low conformability and low fiber-fiber bond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paper made of hemp-wood pulp can be used for the specialty packaging paper which requires both the characteristic surface properties and the high physical strength of hemp fi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