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code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9초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 전산화 활용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Nurses' Utilization of Computerization in Nursing Practice)

  • 박경숙;최인순;강현욱;김나영;김미진;김소희;손진하;윤인자;주애라;홍미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7-378
    • /
    • 2003
  • Purpose: The research studied to survey the degree of utilization, satisfactions and problems of the computerization in nursing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were 176 nurses who are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research was operated by 75 questionaries which were developed and modified from precedence study of Kim(1998), No(1996) and Pang(1996).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for window 11.0 and the results analyzed with number, percentile, average, t-test and ANOVA. Results: As the way of using computer system in nursing, the most nurses used that to Dr's order check, treatment activity, laboratory, barcode sticker, medication in order that were connected with order system mutually to other parts. The average degree of contentment from the computerization in nursing practice was presented as 3.855 in the full mark 5. The facility of stock management got the highest points(4.98). The problem was marked 3.12 and the biggest problem is interruption of work from the computer system error(4.03). The contentment of computerization in nursing practice by duty year was refl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F=5,457 P=0.005) and was not related with computerization and computer education(F=0.028 P=0.867, F=2.178 P=0.142).

  • PDF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준점 설계 연구 (Design of Ubiquitous Reference Point for Location Service)

  • 박재민;오윤석;강진아;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301-310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약 21,000점의 측량용 국가기준점이 표석 형태로 매설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시통을 위해 산 정상에 매설되어 있어 일반인들의 사용과 접근이 어렵다.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어 감에 따라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 기반의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ID 태그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준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인텔리전트 기준점을 실용화하여 실제로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고려하여 보았으며, 실제 테스트를 통해 사용 가능성을 검증해보았다.

  • PDF

IoT 시대 기업 내부 네트워크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단말 식별 시스템 설계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Corporate Internal Network Visibility in IoT Era)

  • 이대효;김용권;이동범;김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1-5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기업 네트워크의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더 이상 데스크톱과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업무용 패드, 바코드스캐너, AP, Video Surveillance, 디지털 도어, 방범장치, 기타 IoT 장비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시대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모듈별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다양한 단말의 정보 및 취약점 등을 제공하여 사내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위협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DA 및 바코드 기술을 이용한 건설 노무정보의 수집 및 활용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nstruction Labor Information Using PDA and Barcode)

  • 오세욱;김영석;이준복;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5호
    • /
    • pp.65-75
    • /
    • 2004
  • 건설 프로젝트에 있어 노무관리는 주요 공사관리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주체의 참여, 작업공정의 복잡성 및 일회성 채용 방식 등으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현장에서 수집되고 있는 노무정보들은 해당 현장의 기간별 노무자 투입정보 및 노무비 지급을 위한 공수 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뿐, 단위작업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공사관리 정보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단위작업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노무자의 작업정보는 해당 프로젝트의 생산성, 공정 및 원가정보와 연계되는 원천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노무관련 정보의 수집과 가공을 위한 관리체계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단위작업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노무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생산성 데이터로 가공하여 공정 및 노무비용과 연계하는 정보기술 기반의 노무정보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원 순환 촉진을 위한 빈병 재활용 정보 관리 시스템 (A Bottle Recycl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Due)

  • 정필성;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55-2161
    • /
    • 2016
  •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에너지순환자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빈병 재활용에 대한 일환으로 수도권 대형 마트에 빈병 무인회수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내 무인회수기에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빈병 재활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아직 서비스 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순환촉진을 위한 빈병 재활용 정보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 관리자가 빈병 정보 및 무인회수기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가진 많은 사람들이 빈병 재활용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이용한 바코드 검색 및 라벨 검색을 통해 빈병 정보 및 무인회수기 위치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해쉬 기반의 안전한 RFID 인증 프로토콜 (Hash based Secure RFID Authentication Protocol for User Privacy Protection)

  • 이한권;조태경;유현중;박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3-40
    • /
    • 2007
  • RFID는 비접촉식 무선 인식 기술로서 유통, 물류 분야 및 산업전반에서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RFID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실용화되기까지는 극복해야할 문제들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 정보 보호 문제 해결이다. 보안 기능이 없는 RFID 시스템은 개인의 신상정보가 노출이 되는 등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유출되는 위험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RFID 시스템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안전한 인증 프로토콜을 통하여 태그에게 동적 ID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엔드, 리더, 태그 사이의 전송되는 정보는 태그의 ID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고, 일방향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송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공격자가 테그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한다.

  • PDF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Iranian Allium species using the matK (cpDNA gene) region

  • Zarei, Hemadollah;Fakheri, Barat Ali;Naghavi, Mohammad Reza;Mahdinezhad, Nafise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5-25
    • /
    • 2020
  • Allium L.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of the Amaryllidaceae family, with more than 920 species including many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used as vegetables, spices, medicines, or ornamental plants. Currently, DNA barcoding tools are being successfully used for the molecular taxonomy of Allium. A total of 46 Allium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ir native areas, and DNA was extracted using the IBRC DNA extraction kit. We used specific primers to PCR amplify matK. DNA sequences were edited and aligned for homology, and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results show thymine (38.5%) was the most frequent and guanine (13.9%) the least frequent nucleotide. The matK regions of the populations were quite highly conserved, and the amount of C and CT was calculated at 0.162 and 0.26,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nucleotide substitution showed C-T (26.22%) and A-G (8.08%) to have the highest and lowest percent, respectively. The natural selection process dN/dS was 1.16, and the naturality test results were -1.5 for Tajima's D and -1.19 for Fu's Fs. The NJ dendrogram generated three distinct clades: the first contained Allium austroiranicum and A. ampeloprasum; the second contained A. iranshahrii, A. bisotunense, and A. cf assadi; and the third contained A. rubellum and other speci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utility of the matK region as a DNA barcode for discriminating Allium. species.

RFID 시스템에서 Hash-Chain기반 Tag-Grouping을 이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Secure and Efficient Database Searching in RFID Systems using Tag-Grouping Based on Hash-Chain)

  • 이병주;송창우;정경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17
    • /
    • 2009
  • RFID(Radion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이다. RFID는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RFID 태그 내부에 있는 ID를 읽어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하지만 RFID 태그는 어떤 리더의 요청에도 자신의 고유 ID를 무선 통신으로 응답하기 때문에 도청이나 불법 리더로부터 보안이나 프라이버시에 대한 공격에 취약하다. RFID 인증 프로토콜은 보안과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태그 검색에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RFID 시스템에서 태그의 수가 증가하고 데이터 수집 비용도 늘어나면서 효과적인 태그 검색에 대한 비중이 더 많아졌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필요조건을 보장하는 Miyako Ohkubo의 hash-chain 메커니즘에서 데이터베이스 연산량이 많은 문제점을 Tag-Grouping을 통해 보완한 효율적인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데이터베이스에서 10만개의 레코드 수를 기준으로 접근비율이 5이상인 태그 그룹의 우선 검색시 약 30%의 검색시간이 감소 하였다.

DNA바코드를 활용한 사삼(沙蔘)의 종 감별 (Genetic Analysis of Medicinal Plants in Adenophorae Radix Using DNA Barcode)

  • 김민경;이우규;김재림;이기호;최유래;김종환;강일현;강주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97
    • /
    • 2019
  • 사삼(沙蔘, Adenophorae Radix)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또는 사삼(당잔대, A. stricta Miq.)의 뿌리로 수재되어 있으나,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제니(모시대, A. remotiflorus Miquel), 층층잔대(윤엽사삼, A. tetraphylla (Thunb.) Fisch),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 et Zucc.)과 오 혼용 우려가 있어 이들을 구별하기 위한 종 감별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삼'과 오 혼용 우려가 있는 종들을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하여 DNA 바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유전자 부위를 분석하여 ITS (25%), atpB-rbcL (15%), atpF-atpH (14%), rpl16 (13%), trnL-F (10%), matK (9%), rpoC1 (7%)에서 변이율(percent of variable sites)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한 유전자 부위 중 종간 차이를 확인하기 용이한 matK 구간을 활용해 기원종인 잔대, 당잔대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오 혼용될 우려가 있는 층층잔대, 모시대 및 더덕을 감별 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염기서열과 분자 마커는 '사삼'의 품질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eographic Genetic Contour of a Ground Beetl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on the Ba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 Wang, Ah-Rha;Kim, Min-Jee;Cho, Young-Bok;Wan, Xinlong;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2권2호
    • /
    • pp.65-74
    • /
    • 2011
  • Th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is one of the carabid beetles dwelling exclusively on coastal sandy dunes. Habitat deterioration and equivalent activity have greatly concerned population declines in several species dwelling on the coastal sandy dunes. As a first step to establish long-term conservation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nation-wide magnitude and nature of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As a first step, we sequenced a port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corresponding to "DNA Barcode" region (658 bp) from a total of 24 S. aterrimus individuals collected over nine sandy dunes belonging to four Korean provinces. The sequence analysis evidenced moderate to low magnitude of sequence diversity compared with other insect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peninsula (0.152% to 0.912%). The presence of closely related haplotypes and relatively high gene flow estimate collectively suggest that there had been no historical barriers that bolster genetic subdivision. Population decline was postulated on the basis of several missing haplotypes that are well found in the species with a large population size. This interpretation is consistent with field observation of small population size in the coastal sandy dune habitats.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estimates were found in the coastal sand dune population of Seogwipo, Jeju Island, justifying a prior attention to the population, in order to sustain overall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Further scrutinized study might be required for further robust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