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su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Bansu at Sunggyungwan in Joseon Dynasty)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238-261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균관을 끼고 도는 물인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에서 학교 조경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 반수는 반궁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묘학의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의 개념은 학교 동서로 물이 흐르고 남쪽에서 합류되는 물길을 말하며, 성균관은 국초에 개성 성균관의 공간구성을 답습하여 이러한 지세가 있는 곳에 입지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의 반수제도는 송대의 반수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것은 묘학 내부에 반원형의 반지를 조성하는 명 청시대 이후 정형화된 중국의 전범과는 달리, 조선시대 성균관이 묘학 외부의 수계를 반수로 이용하게 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의 반수 조영관은 몇몇 향교와 서원의 택지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건으로 고려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선시대 창건된 향교와 서원에서 학교 둘레를 흐르는 물길은 반수 조영관에 입각하여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Historical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and Developing Process of Bansu at the Temple-School in China)

  • 정우진;염소지;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2-197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의 독특한 묘학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반수(泮水)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는 반수가 반궁(泮宮)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학교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학궁 조영에 있어서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묘학제도가 시작된 북송시대의 반수는 일정한 형식 없이 주로 자연수계를 이용하였으나, 명대에는 왕기(王圻)가 편찬한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 제시된 "제후반궁도(諸侯泮宮圖)"가 표준이 되어 반원형의 지당이 반지로 여겨지게 되었으며, 현재 남아 있는 반지는 이러한 전형에 의해 명대 이후에 새롭게 조성된 것이다. 민간에 나타난 반월지도 이러한 삼재도회식 표준이 근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묘학 반지가 갖는 신성성과 형식적 공간질서가 차용된 결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사당, 사찰, 주택과 마을조경에 독특하게 조성된 반월지의 변천과정을 분석 고찰하였다.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 :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 김서현;임혜림;명소연;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183-21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반수(半修)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7명의 후기 청소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가 생생하게 드러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Giorgi의 방식으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한 결과,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은 19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체계화되었고, "적성보다는 성적이 중요했던 고교시절", "떠밀리듯 진학하여 꿈과 멀어진 발걸음", "득이 되기도 독이 되기도 했던 반수생활", "반수 성공에도 도달하지 못한 장래희망"의 4개의 상위 구성요소로 구조화되었다. 중심주제는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반수로 한 번 더 입시를 치렀고 다시 대학에 진학하는 좁은 길을 돌아왔지만, 여전히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기준에 타협하며 진로발달을 하는 모습이었다. 본 연구는 반수로 대학에 다시 진학한 이들의 진로발달 경험이 후기 청소년기 복지와 행복에 어떤 심층적 의미가 있는지 탐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끝으로, 반수생 증가 상황에 대한 각성, 청소년기 진로발달 및 삶의 질 증진 도모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누란(樓蘭) 복식 연구 - 고대 한국복식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of Loulan - Centered Around Interrelationship with Ancient Korean Costume -)

  • 채금석;김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11
    • /
    • 2016
  • Loulan was an ancient kingdom located on the northeast of the Taklamakan Desert, a diverging poin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of Silk Road, on the east of the current Turpan, from the 2nd century BC and the 7th century A.D, absorbing and propagating culture of both sides through active trade. Meanwhile, as many previous research investigations suggest the early trade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characteristics of Loulan costume have been found to have similarity to those of ancient Korean costume. Also, it can be compared to costume in other surrounding regions. Therefore, it is a highly valuable region in researching ancient costum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oulan and its relationship with ancient Korea, analyzed the clothes found in historic sites of Louland and Niya, and compared costume elements of Loulan and those of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first, the Loulan Jeogori was based on the Jikryeonggyoim, with Chaksu, narrow sleeves and the length coming between below the chest and above the bottom, and the line decoration and waist belt were very similar to Korean costumes, as well as the Banryeong, curved collar and Bansu, short sleeves. Second, the types of pants included Gunggo, characterized by closed bottom and many creases, and Daegugo, wide-leg trousers, which are very similar in shape to the Korean Shilla lay sculpture, Stele To Martyr Yi Ch'a-don, Yangjikgongdo and Wangheedo. Third, in accessories as well, the Jowu stuck on the Gwanmo is similar in the shapes to Korean costume.

  • PDF

우리 나라 복식(服飾)과 서역복식간(西域服飾間)의 공통성(共通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삼국시대(三國時代),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mmon Features of Western Clothing Style and the Style of Korean clothing - Focusing on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hilla era -)

  • 전지은;심화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4호
    • /
    • pp.127-143
    • /
    • 2001
  • This thesis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ompares the clothing styles between the Three Kingdom to the Unified Shilla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what common themes exists between the foundation of Korean clothing and how it has evolved and through see to what extent the Chinese influence has been to Korean clothing culture. Also by explaining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Korean clothing, we will be able to make clear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Thes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1. The Korean strait line Gik-ryong Kyo-im can also be found at the Gochang region in the west. 2. The Ban-ryong-ui, worn by the aristocrat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hilla era, began to appear from the nobles from the Nam-Buk cho(South-north era). This combined with a Bokdu(headwear) became a part of casual dress wear. 3. Go(pants) became a traditional part of clothing for Unified Shilla and the west. 4. Ban-bi and Bae-dang, all forms of Bansu-ui ( short sleeve), came from Chinas Kucha and Hotan and came to Korea. 5. Chinas Pae-baek and Pae-za (Shawl) which is the same as Unified Shillas Peo was also to be found to have come from the west. 6. The way a different color line was added to clothing both can be found in Korean and western clothing. Similarities to material used are; First, expensive wool was used and mostly originated from the west. From far away Rome came the O-saek-gae (Five-color wool). Secondly, Kong-gak me (peacock feather) and Bi-chi mo were all originated from the west. Third, Sil-sil is stated in the Sam-kuk Sa-ki (Three Kingdom records) as being prohibited to be worn by Jin-gol women (Highest nobility during Shilla era) as headwear or comb (pin) or as a comb(pin) for yuk-doo poom ( 6th class nobility) women. Suggesting that it existed and other sources tell us that it came from Tashkent region of Russia and was a jewelry of some sort. From what we have seen above, we can see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clothing cultures and that these interactions not only occurred with China but with many other nations. We can see that our ancestors were creative and original that when importing foreign cultures that they transformed them into a Korean style. That these foreign cultures were transformed into our own style is good evidence to these facts.

  • PDF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5보(第五報)) 삽시의 Polyethylene Film 저장(貯藏)에 따른 최적(最適) Film 두께의 조사(調査)-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ersimmons -(Part 5) Investigation of the Optimum Thickness of Film Bag for Poly Ethylene Film Storage of Astringent Variety-)

  • 손태화;최종욱;조래광;석호문;성종환;서온수;하영선;강주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3-77
    • /
    • 1978
  • 청도반시와 사곡시 두 품종(品種)을 polyethylene film의 두께와 포장(包裝) bag내(內)의 과실개체수(果實個體數)에 따라 구분저장(區分貯藏)하였을 저장시일(貯藏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른 성분변화(成分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중량감소(重量減少)에 있어서, 청도반시는 50개(個) 포장(包裝)의 0.04mm구(區)가,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의 0.08mm구(區)와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2. 경도(硬度)의 변화(變化)에 있어서 청도반시, 사곡시 모두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3. 유리산(遊離酸)의 감소(減少)에서 청도반시는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의 0.06mm구(區) 및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감소율(減少率)이 낮았다. 4. 당도(糖度)의 변화(變化)에서, 10개포장(個包裝)의 0.06mm구(區) 및 0.08mm구(區)와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감소(減少)가 적었다.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 및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5.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에 있어서 청도반시와 사곡시 두 품종(品種) 모두 3개(個) 포장(包裝)과 1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타구(他區)에 비(比)해 잔존량(殘存量)이 많았다. 한편 두 품종(品種) 공(共)히 50개포장(個包裝)의 전구(全區)가 저장말기(貯藏末期)에 tannin함량(含量)이 적어서 삽미(澁味)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 할 때 청도반시와 사곡시의 P.E film저장(貯藏)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두 품종(品種) 모두 0.04mm film bag에 50개(個) 포장(包裝)하는 것임을 알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