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 :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

  • 김서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임혜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명소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정익중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10.30
  • Accepted : 2016.12.1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as known as Bansu in Korean), in depth, apply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seven adolesc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their experience, vividly. The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method to draw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of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was systematized into 19 sub-categories and structured into four main categories: "high school years in which academic record was more important than aptitude", "the step away from the dream, being forced to proceed to college", "the time of study to take the exam again, which was an advantage and disadvantage at the same time" and "the wish unfulfilled even with the success of entering a different university." It turned out that the main topic was "the repeated way even after passing the repeat sign." They took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once again and came back to the narrow way to enter a prestigious university, but they still compromised the standard made by the older gener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late adolescents' welfare and happiness in that it explored the in-depth meanings of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by taking the CSAT again after taking a semester off. Lastly, based upon the situati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take the CSAT again, this study suggested better measures for career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and the promotion of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반수(半修)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7명의 후기 청소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가 생생하게 드러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Giorgi의 방식으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한 결과,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은 19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체계화되었고, "적성보다는 성적이 중요했던 고교시절", "떠밀리듯 진학하여 꿈과 멀어진 발걸음", "득이 되기도 독이 되기도 했던 반수생활", "반수 성공에도 도달하지 못한 장래희망"의 4개의 상위 구성요소로 구조화되었다. 중심주제는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반수로 한 번 더 입시를 치렀고 다시 대학에 진학하는 좁은 길을 돌아왔지만, 여전히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기준에 타협하며 진로발달을 하는 모습이었다. 본 연구는 반수로 대학에 다시 진학한 이들의 진로발달 경험이 후기 청소년기 복지와 행복에 어떤 심층적 의미가 있는지 탐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끝으로, 반수생 증가 상황에 대한 각성, 청소년기 진로발달 및 삶의 질 증진 도모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