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ar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Unrecognized bony Bankart lesion accompanying a dislocated four-part proximal humerus fracture before surgery: a case report

  • Lee, Seungjin;Shin, Daehun;Hyun, Yoonsu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1호
    • /
    • pp.68-72
    • /
    • 2022
  • Proximal humerus fractures are the third most common fractures, totaling 4% to 5% of all fractures.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39-year-old man with a dislocated four-part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with a huge bony Bankart lesion. Preoperatively, the bony Bankart lesion of the glenoid was not visualized on computed tomography scans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because the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was comminuted, displaced, and complex. It was planned for only the humerus fracture to b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a locking plate. However, a fractured fragment remained under the scapula after reduction of the dislocated humeral head. This was mistaken for a dislocated bone fragment of the greater tuberosity and repositioning was attempted. After failure, visual confirmation showed that the bone fragment was a piece of the glenoid. After reduction and fixation of this glenoid part with suture anchors, we acquired a well-reduced fluoroscopic image. Given this case of complex proximal humerus fracture, a glenoid fracture such as a bony Bankart lesion should be considered preoperatively and intraoperatively in such cases.

중장년층에서의 회전근 개 파열과 Bankart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 이광원;양동현;안재훈;김하용;최원식;하권익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86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경우, Bankart복원술이나 소절개 술식(miniopen technique)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후 후향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9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내원하여 수술 받은 40세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25례의 환자 중 최종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범위, 41$\~$67)세, 추시기간은 평균 50.5(범위, 10$\~$4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환자 8례들의 최종 추시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은 평균 122$^{\circ}$에서 154$^{\circ}$, 외전은 평균 115$^{\circ}$ 에서 161$^{\circ}$ 로 향상되어 술전에 비해 견관절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의 동통지수는 술전 11.0에서 술후 5.5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호소하는 동통의 정도는 VAS 평가상 술전 평균 5.4에서 술후 평균 2.5로, UCLA 평가지수는 술전 20.2에서 술후 29.6로, Constant 평가지수는 술전 48.6에서 술후 69.0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CLA 평가지수상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8례 환자들의 최종 추시 결과 우수 2명, 양호 4명 , 보통 2명이었으며, Bankart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14례의 환자군의 최종 추시 시 우수 2명 , 양호 6명, 보통 5명, 불량 1명으로 양 그룹간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40세 이상에서의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은 적고, 회전근 개와 액와신경 손상,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회전근 개 파멸과 함께 전방관절낭와순 복합체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엔 재발성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소절개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Bankart봉합술과 같은 전방 구조물 대한 복원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 PDF

재발성 탈구에서 무엇을 치료할 것인가? (What Should We Treat For Recurrent Dislocation?)

  • 태석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1-4
    • /
    • 2004
  • As the multidirection and posterior instabilities of the shoulder are not only uncommon but responds well to conservative treatment, the shoulder instabilities which requires surgical treatment are traumatic anterior type in most cases, Although various surgical procedures had been used in the past, Bankart procedure is the standard surgical method as a primary procedure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Nevertheless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techniques of Bankart procedure in order to minimize decrease of external rotation and effectively address capsular laxilty, Capsular shift might be needed if there remains excessive capsular laxity of the inferior capsule after repair of the Bankart lesion, Large bony Bankart lesion should be fixed if possible and severe glenoid rim erosion requires extracapsular bone block after repair of the capsule. Although a few surgical procedures are described for the management of Hill-Sachs lesion in special circumstances, Hill-Sachs lesion does not usually need to b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