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ar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a patient older than 40 years

  • Kim, Jung-Han;Park, Jin-Woo;Heo, Si-Young;Noh, Young-M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3호
    • /
    • pp.144-151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characters of the rotator cuff tear (RCT) recognized after primary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lder than 40. Methods: From 2008 to 2019, patients who visited two hospitals after disloca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over 40 who had dislocation,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undergone. Ex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ho lost to follow-up, combined with any proximal humerus fracture, brachial plexus injury, and previous operation or dislocation history in the ipsilateral shoulder. Also patients who had only bankart or bony bakart lesion in MRI were excluded. We evaluated RCTs that were recognized by MRI after the primary shoulder dislocation with regard to tear size, degree, involved tendons, fatty degeneration, the age when the first dislocation occurred, and the duration until the MRI was evaluated after the dislocation. Results: Fifty-five RCTs were included. According to age groups, the tear size was increased in coronal and sagittal direction, the number of involved tendons wa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fatty degeneration was advanced in infraspinatus muscle. Thirty-two cases (58.2%) conducted MRI after 3 weeks from the first shoulder dislocation event. This group showed that the retraction size of the coronal plan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fatty accumulation of the supraspinatus muscle had progres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Age is also a strong factor to affect the feature of RCT after the shoulder dislocation in patients over 40. And the delay of the MRI may deteriorate the degree of tear size and fatty degeneration.

Interobserver agreement for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lkaduhimi, Hassanin;Saarig, Aimane;Amajjar, Ihsan;van der Linde, Just A.;van Wier, Marieke F.;Willigenburg, Nienke W.;van den Bekerom, Michel P.J.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2호
    • /
    • pp.98-105
    • /
    • 2021
  • Background: Our aim is to determine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surgeons to detect Hill-Sachs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certainty of judgement, and the effects of surgeon characteristics on agreement.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ith Hill-Sachs lesions or other lesions with a similar appearance on MRIs were presented to 20 surgeons without any patient characteristics. The surgeons answered questions on the presence of Hill-Sachs lesions and the certainty of diagnosis. Interobserver agreement was assessed using the Fleiss' kappa (κ) and percentage of agreement. Agreement between surgeons was compared using a technique similar to the pairwise t-test for means, based on large-sample linear approximation of Fleiss' kappa,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The agreement between surgeons in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RI was fair (69% agreement; κ, 0.304; p<0.001). In 84% of the cases, surgeons were certain or highly certain about the presence of a Hill-Sachs lesion. Conclusions: Although surgeons reported high levels of certainty for their ability to detect Hill-Sachs lesions, there was only a fair amount of agreement between surgeons in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RI. This indicates that clear criteria for defining Hill-Sachs lesions are lacking, which hampers accurate diagnosis and can compromise treatment.

Risk factors for unexpected readmission and reoperation following open procedures for shoulder instability: a national database study of 1,942 cases

  • John M. Tarazi;Matthew J. Partan;Alton Daley;Brandon Klein;Luke Bartlett;Randy M. Coh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52-259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mographic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planned 30-day readmission and reoperation following open procedures for shoulder instability and examine recent trends in open shoulder instability procedures. Methods: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ACS-NSQIP) database was queried using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PT) codes 23455, 23460, and 23462 to find patients who underwent shoulder instability surgery from 2015 to 2019. Independent sample Student t-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in univariate analyses to identify demographic, lifestyle, and perioperative variables related to 30-day readmission following repair for shoulder instabilit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subsequently performed. Results: In total, 1,942 cases of open surgical procedures for shoulder instability were identified. Within our study sample, 1.27% of patients were readmitted within 30 days of surgery, and 0.85% required reoperat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confirmed that the following patient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dds of readmission: open anterior bone block/Latarjet-Bristow procedure, being a current smoker, and a long hospital stay (all P<0.05).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odds of reoperation with an open anterior bone block or Latarjet-Bristow procedure (P<0.05). Conclusions: Unplanned 30-day readmission and reoperation after open shoulder instability surgery is infrequent. Patients who are current smokers, have an open anterior bone block or Latarjet-Bristow procedure, or a longer than average hospital stay have higher odds of readmission than others. Patients who undergo an open anterior bone block or Latarjet-Bristow procedure have higher odds of reoperation than those who undergo an open soft-tissue procedure. Level of evidence: III.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의 임상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V SLAP lesion with Bio-knotless Anchor)

  • 염재광;이상림;라호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38
    • /
    • 2007
  • 목적: 견관절의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봉합을 시행한 후 추시한 결과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지속적인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례에 대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2.7세($20{\sim}49$)였고 모두 남자였다. 손상의 원인은 7례에서 스포츠 손상이었으며 1례가 산업 재해, 2례가 교통 사고였다. 처음 수상한 날로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7.2개월이었으며 수술 전 Rowe 점수는 평균 37.5점($30{\sim}55$)이었다. 모든 예에서 SLAP 병변을 먼저 관절경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bio-knotless 나사못을 사용하여 봉합한 다음 Bankart 병변을 봉합하였는데 3개의 bio-knotless 나사못을 삽입한 경우가 7례, 2개를 삽입한 경우가 3례였다. 수술 후 3주간 상지 외전 보조기를 착용시키고 매일 간헐적인 수동적 견관절 굴곡-외회전-내회전 운동을 시행하였고, 관절의 운동 범위가 정상이 되면 회전근 개의 근력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를 시행하였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삼각근 및 견갑골 주위 근육 강화를 위한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5.7개월($6{\sim}27$)이었으며 최종 추시시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8례에서 완전한 회복을 보였으나 산업 재해에 의한 손상의 환자에서는 굴곡 170도, 상지 내전 상태에서의 외회전 60도, 내회전은 제 12 흉추 범위를 보였으며 교통사고로 수상한 1례에서 견관절의 능동적 운동 범위가 굴곡 160도, 상지 내전 상태에서의 외회전 45도, 내회전은 제 12 흉추 범위를 보였으나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었다. 최종 추시시 Rowe 점수는 평균 93점($75{\sim}100$)으로 모두 우수한 결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이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의 소견을 보여 매우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동반된 견관절 탈구의 치료 및 술 전 자기공명영상의 상완골두 탈중심화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and the Treatment of Shoulder Dislocations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 이봉주;송인수;차기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8-426
    • /
    • 2019
  • 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 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 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1예(46.7%)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만을 시행 받았고 8예(17.8%)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을 시행 받았다. 16예(35.6%)에서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으로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다. B군의 45예(100%)에서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저자들은 두 군의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을 측정하였다. 두 군의 시각통증등급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점수가 각각 분석되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상완골두 중심부이탈은 평균 후방 7.41 mm와 평균 후방 2.02 mm (p=0.03)였고, 상완골두 상승은 평균 상방 6.66 mm와 평균 상방 2.44 mm (p=0.02)였다. A군과 B군의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2.8점과 평균 33.4점에서 술 후 평균 77.1점(p=0.02)과 78.1점(p=0.02)이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8).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3.1점과 12.8점에서 술 후 평균 28.9점(p=0.02)과 29.5점(p=0.0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 결론: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견관절 탈구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견관절 불안정성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되도록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며,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 등의 다른 치료도 동시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Latarjet 술식 (Latarjet Operation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 조승현;조남수;이진웅;최일헌;곽윤호;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89-198
    • /
    • 2009
  • 목적: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해 시행한 Latarjet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관절와의 현저한 골 결손을 동반한 재발성 전방 불안정증으로 Latarjet 술식을 시행 받은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5개월 (12~19개월), 평균 연령은 29.9세 (19~44세)였고, 남자가 13예였다. 우측이 8예, 좌측이 6예였으며, 우세수가 8예, 비우세수가 6예였다. 6예는 이전에 관절경적 뱅카르트 봉합술을 받은 후 재발하여 Latarjet 술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2예는 간질로 치료받는 환자였다. 결과: Rowe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1.8점에서 수술 후 평균 80.2점으로 향상되었고, 최우수 9예, 우수 4예, 양호 1예였다. Korean shoulder score for instability도 수술 전 평균 61.6점에서 수술 후 평균 82.1점으로 향상되었다. 능동적 전방 거상과 중립위 외회전 운동 범위는 수술후 건측과 비교하여 각각 8도와 16도 감소되었다. 전방 거상력과 중립위 외회전력은 수술 후 건측의 근력에 대해 각각 78.7%와 82.5%였다. 1예에서 간질 발작으로 재탈구가 발생하였고, 1예에서 일시적으로 한차례 아탈구가 있었다. 섬유성 골 유합이 2예, 전이된 오구 돌기의 흡수가 1예, 수술 중 나사에 의한 골 파괴가 1예, 수술 후 일시적 근피 신경 손상이 1예, 수술 후 견관절 강직이 1예 있었다. 결론: Latarjet 술식은 현저한 전방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수술 후 외회전 운동 범위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나 관절 호의 길이를 연장시켜 견관절의 기능과 안정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오구 돌기 전이와 관련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