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and the Treatment of Shoulder Dislocations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동반된 견관절 탈구의 치료 및 술 전 자기공명영상의 상완골두 탈중심화

  • Lee, Bong-J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Daejeon Sun Hospital) ;
  • Song, In-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Daejeon Sun Hospital) ;
  • Cha, Kih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Daejeon Sun Hospital)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2.18
  • Published : 2019.10.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with a shoulder dislocation in the elderly. Moreover, shoulder instability and treatment were review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February 2017, Group A containing 45 cases (45 patients) over 65 years old accompanied by a large or massive rotator cuff tear with a shoulder dislocation and Group B containing 45 cases (45 patients) without a shoulder dislocation were enrolled. The mean ages in Groups A and B were 73.2 and 72.1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s were 30.7 and 31.3 months, respectively. Twenty-one cases (46.7%) in Group A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and 8 cases (17.8%) underwent concomitant rotator cuff repair with Bankart repair. Sixteen cases (35.6%) underwent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for cuff tear arthropathy. 45 cases (100%) in Group B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The off-the center and head elevation were measured in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Groups A and B.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in Groups A and B were compared. Results: In Groups A and B, the mean off-the centers were posterior 7.41 mm and posterior 2.02 mm (p=0.03), and the mean head elevations were superior 6.66 mm and superior 2.44 mm (p=0.02), respectively. The mean ASES scores of Groups A and B were 32.8 and 33.4 before surgery, and 77.1 (p=0.02) and 78.1 (p=0.02) after surgery (p=0.18), respectively. The mean UCLA scores of Groups A and B were 13.1 and 12.8 before surgery, and 28.9 (p=0.02) and 29.5 (p=0.01) after surgery (p=0.15), respectively. Conclusion: Patients over 65 years old with a shoulder dislocation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had higher off-the center and head elevation on the preoperative MRI than those without a shoulder dislocation. This measurement can help predict preceding shoulder instability. Early rotator cuff repairs should be performed and other treatments, such as Bankart repair and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should also be considered.

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 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 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1예(46.7%)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만을 시행 받았고 8예(17.8%)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을 시행 받았다. 16예(35.6%)에서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으로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다. B군의 45예(100%)에서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저자들은 두 군의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을 측정하였다. 두 군의 시각통증등급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점수가 각각 분석되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상완골두 중심부이탈은 평균 후방 7.41 mm와 평균 후방 2.02 mm (p=0.03)였고, 상완골두 상승은 평균 상방 6.66 mm와 평균 상방 2.44 mm (p=0.02)였다. A군과 B군의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2.8점과 평균 33.4점에서 술 후 평균 77.1점(p=0.02)과 78.1점(p=0.02)이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8).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3.1점과 12.8점에서 술 후 평균 28.9점(p=0.02)과 29.5점(p=0.0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 결론: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견관절 탈구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견관절 불안정성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되도록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며,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 등의 다른 치료도 동시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