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d Shar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주파수 공동사용 정책 및 표준화 동향 (Spectrum Polic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n Frequency Sharing)

  • 강규민;박재철;최수나;유성진;황성현;변우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3호
    • /
    • pp.1-10
    • /
    • 2018
  • This article presents spectrum sharing policy trends both overseas and domestically.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recently adopted rules for the commercial use of a 150 MHz bandwidth at 3.55 to 3.7 GHz, which has been utilized for defense and satellite services. This frequency band for spectrum sharing is called the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CBRS) band. In Europe, the related regimes for licensed shared access application at 2.3 to 2.4 GHz has been organized, and interface standardization for sharing frequency information has been completed. In Korea,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spectrum-sharing polic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requency utilization.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both the IEEE 802 local area network/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3GPP standardization activities with regard to frequency sharing technologies. To effectively solve the spectrum-sharing problem in IEEE 802,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the CBRS and the mid-band (3.7-24 GHz) are underway. 3GPP is currently developing the standardization of a licensed assisted access technology, which exten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d in the licensed band to unlicensed bands.

언더레이 주파수 공유를 이용한 인지무선 통신장치의 점대점 통신방법 (Point-to-Point Communication of Cognitive Radios via Underlay Spectrum Sharing)

  • 이혜원;한광훈;황영우;최성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A호
    • /
    • pp.697-703
    • /
    • 2009
  • 인지무선 통신장치(cognitive radio)는 일반적으로 일차 사용자(primary user)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일차 사용자도 점유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 자원을 활용한다. 그러나 비어있는 주파수 자원을 발견할 수 없을 경우, 인지무선 통신장치는 언더레이(underlay) 형태로 일차 사용자들과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때 스스로의 통신이 일차 사용자들에게 간섭을 미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을 조절해야 한다. 본 논문은 셀룰라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언더레이 주파수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셀룰라 네트워크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 한쌍의 인지무선 통신장치들이 단방향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링크를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송 전력의 재한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상향 링크 공유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상향 링크 공유 방안이 하향 링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것에 비해 인지무선 통신장치의 부담(overhead)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점대점 통신 링크의 수율(throughput)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A Spectrum Sharing Model for Compatibility between IMT-Advanced and Digital Broadcasting

  • Hassan, Walid A.;Rahman, Tharek Ab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9호
    • /
    • pp.2073-2085
    • /
    • 2012
  • Recentl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allocated the 470-862 MHz band to the digital broadcasting (DB) service. Moreover, the 790-862 MHz sub-band will be allocated to the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known as the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Advanced (IMT-A), and to the DB on a co-primary basis in the year 2015. Currently, two candidate technologies are available to represent the IMT-A system; the Mobile WiMAX and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LTE-A). One of the main criteria of the IMT-A candidate is to not cause additional interference to the primary service (i.e., DB).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spectrum sharing issue between the IMT-A candidates and the DB service. More precisely, we investigate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DB service and the mobile network, which could be either LTE-A or WiMAX. Our study proposes a spectrum sharing model to take into account the impact of interference and evaluates the spectrum sharing requirements such as frequency separation and separation distance. This model considers three spectrum sharing scenarios: co-channel, zero guard band, and adjacent channel. A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interferer spectrum emission mask and victim receiver blocking techniques. The interference-to-noise ratio is used as an essential spectrum sharing criterion between the systems. The model considers the random distribution of the users, antenna heights, and the bandwidth effect as well as the deployment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spectrum sharing. The results show that LTE-A is preferable to WiMAX in terms of having less interference impact on DB; this can eventually allow the operation of both services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thus will lead to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radio spectrum.

Spectrum Sharing Method for Cognitive Radio in TV White Spaces: Enhancing Spectrum Sensing and Geolocation Database

  • Hassan, Walid A.;Jo, Han-Shin;Nekovee, Maziar;Leow, Chee Yen;Rahman, Tharek Ab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8호
    • /
    • pp.1894-1912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called Wireless Link based on Global Communication Channel (WLGCC) to enhance the spectrum sharing between digital broadcasting (DB) services and the cognitive radio (CR) system in the licensed band of 470-790 MHz. The WLGCC aims to enhance the spectrum sensing and geolocation database (GLD) spectrum sharing methods in the CR system. Spectrum sensing can be enhanced by receiving the status of the used frequencies from the WLGCC,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low detection threshold (i.e., avoiding the hidden node problem). In addition, the GLD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a reliabl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database and the CR device in the form of an unused TV white space that is reserved as the proposed Global Communication Channel (GCC). This paper analyzes the coexistence of the new WLGCC system and the DB service in terms of avoiding additional interference. Specifically, we mathematically determine the WLGCC parameters, such as the in-band and out-of-band power levels, and operation coverage, and verify them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WLGCC does not degrade the existing DB service and reliably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vacant (or used) frequency bands to the CR.

5G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DSS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DSS for enhancing 5G Coverage)

  • 박성균;노승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693-704
    • /
    • 2022
  • 5G 서비스는 기존 이동통신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대역(n78)을 사용하고 있어서 2GHz 이하의 저대역 주파수를 활용하여 5G 커버리지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대역 주파수의 대부분을 사용하는 LTE와 5G-NR 시스템의 동적 스펙트럼 공유(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DSS 적용을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 요소와 단말기 구현 RF 이슈들을 도출하고, 저대역 주파수 중 광대역 주파수 활용이 가능한 1.8GHz 대역(50MHz 폭)에 대해 5G-NR과 LTE 각각의 관점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 비율과 단말기 RF 이슈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들을 통해 저대역을 활용한 DSS 기술을 적용한다면 LTE 트래픽이 5G-NR로 빠르게 이전할 경우, 5G 커버리지 개선으로 인해 우수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BRS 서비스를 위한 FSS 지구국 주파수 공동사용 (Frequency Sharing with FSS Earth Stations for CBRS Services)

  • 강영흥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07-514
    • /
    • 2019
  •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해군 레이더 및 고정지구국 제1 업무로 사용하고 있는 3.5 GHz (3,550 - 3,700 MHz) 대역을 공동사용으로 CBRS (citizen broadband radio service) 시스템이라는 스몰셀의 저전력망 구축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제정하였다. CBRS를 위한 공동사용 기술은 3-tiered SAS (spectrum access system)에 기반하여 하위계층 유저로부터 상위계층 유저를 보호하고 가용 스펙트럼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CBRS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3.5 GHz 대역은 국내에서 이미 5G용으로 할당되어 있어, 본 논문에서는 3,700 - 5,000 MHz 대역에서 주파수 공동사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3.8 GHz 대역(3,800 - 3,900 MHz)이 FSS(fixed satellite service)용으로 한정되어 있어, 주파수 공동사용이 가능한 대역으로 검토되었으며 FSS 지구국에 미치는 간섭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의 CBRS 도입을 모색하고자 한다.

Ka대역 위성지구국과 지상무선국간의 공유 기준 (Sharing Criteria between Satellite network and Earth Station in Ka-and)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27-331
    • /
    • 2010
  • 세계주파수분배 지역1과 지역3에서 주파수대역 21.4-22.0 GHz가 방송위성서비스로 사용되고 있다. 이 주파수대역의 사용은 WRC-03의 결의 525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 이 주파수대역에 대한 방송위성서비스 시스템은 광대역 무선주파수신호를 전송한다. 전세계적으로 이 주파수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위성발사계획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주파수대역은 강우감쇠가 매우 심한 대역으로 Ku대역에 비하여 상당히 큰 송신전력이 요구된다. 이 주파수대역에서 방송서비스가 운용되기 위하여, 이에 적합한 공유기준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국제전기통신연합의 권고를 토대로 위성지구국과 지상무선국 신호간의 공유기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대역에서 IMT 기지국과 FSS 지구국간의 주파수 공유 연구 (Sharing Studies between IMT Base Stations and FSS Earth Station in C-band)

  • 강영흥;박종민;오대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6-374
    • /
    • 2009
  • ITU에서는 고정 위성 업무(이하 FSS: Fixed Satellite Service) 하향 회선(space-to-earth)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 되어온 3,400$\sim$4,200 MHz 대역을 IMT 대역으로 검토한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대역에서 다수의 IMT 기지국들이 FSS 위성지구국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지국 안테나의 틸트(tilt) 각도 및 3 섹터(sector) 등에 의한 간섭 경감 기법을 고려하여, IMT 기지국과 FSS 지구국간의 주파수 공유 연구 결과를 고찰한다. 또한, 장기간(long-term) 및 단기간(short-term) 간섭 기준치를 이용, 두 무선국간의 주파수 공유를 위 한 FSS 지구국 조정 영 역(coordination area)을 도출하여 향후 3,400$\sim$4,200 MHz 대역에서 IMT 서비스와 기존 FSS 서비스간의 주파수 공유 기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멀티빔 위성 시스템에서 대역 분할 기법을 이용한 지상망과의 주파수 간섭 경감 연구 (A band Segmentation Scheme for Frequency Sharing with Terrestrial Service in Multi-beam Satellite Systems)

  • 오대섭;김수영;안도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1A호
    • /
    • pp.891-897
    • /
    • 2009
  • 위성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넓은 서비스 영역이 타 무선망, 특히 지상망의 서비스 영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위성시스템에서 타 무선망과의 주파수 공유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망과의 간섭을 경감하기 위한 대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에서 멀티빔을 이용하는 위성시스템에서 각 위성 빔은 주파수 재사용 기법을 사용하며, 지상 무선국은 무선국이 속한 위성빔의 인접 위성빔 주파수 대역을 활용함으로써 간섭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존 방식에서 링크 가용도가 90%일 때 지상 무선국이 수신하는 간섭량이 -117 dBW이나, 제안된 방법을 적용할 때 주파수 재사용률에 따라 간섭량을 -168 dBW 또는 -163 dBW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C 대역에서 MIMO SDMA 간섭경감기법을 고려한 IMT와 FSS 시스템간 주파수 공유 연구 (Study on the Spectrum Sharing between IMT and FSS Systems Considering MIMO SDMA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 in C Band)

  • 강영흥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87-595
    • /
    • 2010
  • 새로운 서비스의 출현 및 스펙트럼 부족으로 인하여 기존 무선통신 서비스와의 주파수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향후 IMT 서비스에 할당된 후보대역 중 C 대역(3400-4200MHz)은 기존에 FSS 서비스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어 유해한 간섭이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IMT 서비스와 기존 FSS 서비스간의 주파수 공유를 평가하기 위해, 다수의 IMT 기지국들로부터 FSS 지구국에 수신되는 간섭 대 잡음전력비(I/N)을 구하여 I/N=-10dB 간섭보호 기준치에 의한 IMT 서비스 커버리지와 FSS 지구국간의 최소 분리거리를 파라미터로 두시스템간의 주파수 공유기준을 제시한다. 특히 IMT 기지국에 MIMO SDMA 간섭경감기법을 적용함으로써 I/N 값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적절한 분리거리로 두 시스템의 주파수 공유가 가능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