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loon dilat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A Novel Technique of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by Double Ligation Method (DLM) for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 Takayama, Yuichi;Kaneoka, Yuji;Maeda, Atsuyuki;Fukami, Yasuyuki;Takahashi, Takamasa;Uji, Masahit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290-300
    • /
    • 2019
  • Purpose: The optimal method for intracorporeal esophagojejunostomy remains unclear because a purse-string suture for fixing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is difficult to perform with a laparoscopic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ur novel technique to fix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02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with an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in a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a Roux-en-Y reconstruction (166 cases) or a laparoscopy-assisted proxim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36 cases). After incising 3/4 of the esophageal wall, a hand-sewn purse-string suture was placed on the esophagus. Next, the anvil head of a circular stapler wa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Finally, the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was performed laparoscopical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ethods. Results: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200.3 minutes. The average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time was 6.4 minutes.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lavien-Dindo classification grade ${\geq}II$) was 26%.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n anastomotic leakage and stenosis at the esophagojejunostomy site were 4 (2.0%) and 12 (6.0%), respectively. All patients with stenosi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There was no mortality. Regarding the materials and devices for anvil fixation, only 1 absorbable thread was needed. Conclusions: Our procedure for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with the double ligation method is simple and safe.

Percutaneous Enteral Stent Placement Using a Transhepatic Access for Palliation of Malignant Bowel Obstruction after Surgery

  • Won Seok Choi;Chang Jin Yoon;Jae Hwa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5호
    • /
    • pp.742-750
    • /
    • 2021
  • Objective: To assess the safety and clinical efficacy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enteral stent placement for recurrent malignant obstruction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bowel anatom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09 and May 2019, 36 patients (27 men and 9 women; mean age, 62.7 ± 12.0 years) underw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stent placement for recurrent malignant bowel obstruction after surgery. In all patients, conventional endoscopic peroral stent placement failed due to altered bowel anatomy. The stent was placed with a transhepatic approach for an afferent loop obstruction (n = 27) with a combined transhepatic and peroral approach for simultaneous stent placement in afferent and efferent loop obstruction (n = 9).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complications, stent patency, and patient survival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in all patients. Cli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30 patients (83.3%). Three patients required re-intervention (balloon dilatation [n = 1] and additional stent placement [n = 2] for insufficient stent expansion). Major complications included transhepatic access-related perihepatic biloma (n = 2), hepatic artery bleeding (n = 2), bowel perforation (n = 1), and sepsis (n = 1). The 3- and 12-months stent patency and patient survival rates were 91.2%, 66.5% and 78.9%, 47.9%, respectively. Conclusion: Percutaneous enteral stent placement using transhepatic access for recurrent malignant obstruction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bowel anatomy is safe and clinically efficacious. Transhepatic access is a good alternative route for afferent loop obstruction and can be combined with a peroral approach for simultaneous afferent and efferent loop obstruction.

Feasibility of Percutaneous Pancreatic Stent Placement in Postoperative Pancreaticojejunostomy Stenosis

  • Juil Park;Kichang Han;Joon Ho Kwon;Man-Deuk Kim;Jong Yun Won;Sungmo Moon;Gyoung Mi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2호
    • /
    • pp.1241-1248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role of percutaneous pancreatic stent placement in postoperative pancreaticojejunostomy stenosis (PJ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included seven procedures in five patients (four males and one female; median age, 63 years) who underwent percutaneous pancreatic stent placement for postoperative PJS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21. The patients were referred to interventional radiology because of unfavorable anatomy or bowel abnormalities. The pancreatic duct was accessed under ultrasound and/or computed tomography guidance. A stent was placed after balloon dilatation of the PJS. Moreover, plastic stents were placed for the first two procedures, whereas bare-metal stents were used for the remaining five procedures. Technical success was defined as the successful placement of stents for the PJS, meanwhile, clinical success was defined as the normalization of pancreatic enzymes without recurrence of pancreatitis. Results: Pancreatic duct access and stent placement were successfully performed in all patients (technical success rate: 100%). All the procedures initially yielded clinical success. However, recurrence of pancreatitis was observed after two procedures that used plastic stents because of stent migration at 0.3 and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In contrast, no instances of recurrent pancreatitis were noted after metal stent placement for a follow-up duration of 1-36 months. No serious procedure-related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Conclusion: Percutaneous pancreatic stent placement may be a viable option for patients with postoperative PJS in whom an endoscopic approach is not feasible. Metal stents may be considered over plastic stents for the management of PJS, considering the possible lower stent migration and infeasibility of frequent endoscopic stent exchange due to the altered anatomy.

만성 소화성 궤양에 합병된 위출구 폐색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Chronic Peptic Ulcer with Gastric Outlet Obstruction)

  • 이제희;양시준;전영웅;박세혁;김종흥;박종민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60-165
    • /
    • 2008
  • 목적: 소화성 궤양의 급만성 합병증으로 대표되는 천공, 출혈, 협착의 수술적 치료에서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제균요법과 proton pump inhibitor의 도입, 중재적 내시경 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의 발달로 천공, 출혈 등의 급성기 합병증의 수술은 점차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내과적 소화성 궤양의 협착, 폐색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로 수술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위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국립의료원 외과에서 소화성 궤양 폐색으로 수술한 3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전의 궤양 수술로 인한 유착성 폐색 및 천공이나 출혈로 인한 응급수술시 발견된 폐색동반의 예는 제외하였다. 각 임상병리학적 결과를 수술방법에 따라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으로 분류하였고, 수술결과의 평가는 Visick score를 이용하였다. 수술 후 재발의 기준은 소화성 궤양의 임상증상이 나타나 내시경으로 확진된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우회수술군이 6명(19.4%), 절제수술군이 25명(80.6%)이었다. 평균 연령은 57.5세(25~81세)이었고, 남자 29명(93.5%), 여자 2명(6.5%)이었다. 평균 증상 지속기간 29.6개월이었고, 흡연자가 19명(61.3%), NSAID 복용자가 6명(19.4%), H. pylori 양성환자가 7명(22.6%) 있었다. 수술 전 내시경적 확장술은 2명에서 시도되었으며, 주병변의 위치는 위, 십이지장이 각각 9명, 20명, 양쪽이 2명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3명 (41.9%)에서, 궤양의 재발은 2명(6.5%)에서 있었고, 재수술이 4명(12.9%)에서 필요하였다. 평균 Visick score는 1.8 (1~4)이었다.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의 비교에서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에서 각각 1명이 재발되었고 합병증은 각각 5명(83.3%), 8명(32%)으로 우회수술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75). 평균 Visick score는 각각 3.0점, 1.6점으로 절제수술군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결론: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배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내시경적 확장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술은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궤양 폐색의 수술적 치료시 악성 궤양과의 감별이 용이하지 않고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고려한다면 우회수술보다는 절제수술이 바람직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위전절제술 후 식도 공장 문합부 양성협착에 대한 고찰 (Benign Stricture of Esophagojejunostomy after Radical Total Gastrectomy)

  • 오승종;백용해;홍성권;최민규;허진석;노재형;손태성;김용일;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46-251
    • /
    • 2005
  • 목적: 위악성 종양으로 위전절제술 및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합부 양성협착의 빈도와, 위험인자 및 이에 대한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자동문합기를 사용하여 루앙와이 식도공장 문합술을 시행 받은 658명에서 추적관찰 기간 중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43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협착은 직경 9mm 내시경의 통과여부로 정의하였다. 결과: 남자는 292명, 여자는 144명이었고, 평균(mean) 나이는 53.7세$(23{\sim}81)$세였다. 436명 중 33명에서 문합부 협착이 진단되었으며 이 중 재발에 의해 협착이 발생한 9명을 제외한 2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나이, 자동문합기의 직경,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역류성 식도염 여부, 당뇨 및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들과 양성협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문합부 양성협착이 발견된 모든 환자에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시행 후 모든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위험인자들과 문합부 양성협착의 발생빈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없었으나 문합부 혈류와 관계된 인자들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내시경 풍선 확장 시술을 시행하고 1회의 시술로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내시경 추적검사가 요구된다.

  • PDF

인터벤션에서 Calibration Mode에 대한 오차율 비교 (Comparison on the Error Rates of Calibration Modes in Intervention)

  • 공창기;류영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19-62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경피적 혈관내 풍선 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에서 Balloon이나 Stent의 직경 및 길이를 예측 할 때 사용되는 정량적인 평가 도구인 Calibration Mode중 Catheter Calibration Mode, Auto Calibration Mode 그리고 Segment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alibration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직경 × 길이(2 mm × 80 mm) Copper Wire와 5, 10, 15, 30, 40 mm의 Metal Ball을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아크릴 팬텀은 25 mm, 50 mm, 75mm, 100 mm, 125 mm, 150mm, 175 mm, 200 mm로 하여 각각의 높이에서 혈관조영 촬영장치로 Subtraction 영상을 획득하여 장비 회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Stenosis Analysis Tool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atheter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Copper Wire를 각각의 아크릴 팬텀위에 올려놓고 촬영하였으며, Copper Wire 직경 2 mm를 Catheter의 직경으로 Setting하였고, 길이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Multi-segments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1.13 ~ 5.63%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Auto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의 아크릴 팬텀을 높이에서 아크릴 높이에 대한 수치를 입력하고,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Multi-segments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0 ~ 0.26%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Segment Calibration Mode에서의 오차율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테이블 바닥에 있는 각각의 Metal Ball을 각각 Calibration하고, 각각의 아크릴 팬텀 위에 올려 있는 8 mm Copper Wire의 길이를 측정하여 아크릴 팬텀 높이 변화에 대한 8 mm Copper Wire 길이를 Mutli-segments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1.05 ~ 19.04%의 오차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Auto Calibration Mode에서 OID 변화에 대한 실험은 아크릴 팬텀의 높이는 100mm로 고정하고 OID만 450 mm ~ 600 mm로 변화를 하였을때 오차율은 0.13 ~ 0.38%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정량적인 혈관의 치수평가를 하기 위한 이들 Calibration Mode 중 Auto Calibration Mode에서 높이 값을 입력하는 것이 오차율이 가장 적은 Calibration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Metal ball이나 기타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Calibration을 하기 위해서는 시술부위와 동등한 높이에 놓고 Calibration을 하는 방법이 오차율을 가장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Clinical Experience of Rigid Bronchoscopy in Single Center

  • Kim, Hyun-Jin;Kim, Sei-Won;Lee, Hye-Yeon;Kang, Hyeon-Hui;Kang, Ji-Young;Kim, Ju-Sang;Kim, Myung-Sook;Kim, Seung-Soo;Kim, Jin-Woo;Yun, Hyeong-Gyu;Kim, Chi-Hong;Kim, Kwan-Hyoung;Moon, Hwa-Sik;Cho, Kwang-Jae;Moon, Seok-Hwan;Lee, Sang-Haa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6호
    • /
    • pp.486-492
    • /
    • 2012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inical situations requiring rigid bronchoscopy and evaluate usefulness of rigid bronchoscopic intervention in benign or malignant airway disord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9 patients who underwent rigid bronchoscopy from November 2007 to February 2011 at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Results: Of the 29 patients, the most frequent underlying etiology was benign stenosis of trachea (n=20). Of those 20 patients, 16 had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PITS), 2 had tracheal stenosis due to inhalation burn (IBTS) and other 2 had obstructive fibrinous tracheal pseudomembrane (OFTP). Other etiologies were airway malignancy (n=6), endobronchial stenosis due to tuberculosis (n=2), and foreign body (n=1). For treatment, silicone stent insertion was done in 16 cases of PITS and IBTS and mechanical removal was performed in 2 cases of OFTP. In 6 cases of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mechanical debulking was performed and silicone stents were inserted additionally in 2 cases. Balloon dilatation and electrocautery were used in 2 cases of endobronchial stenosis due to tuberculosis. In all cases of stent, airway obstructive symptom improved immediately.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Conclusion: Tracheal stenosis was most common indication and silicone stenting was most common procedure of rigid bronchoscopy in our center. Rigid bronchoscopic procedures, at least tracheal silicone stenting, should be included in pulmonary medicine fellowship programs because it is a very effective and indispensable method to relieve critical airway obstruction which needs training to learn.

Ivor Lewis 수술 후 발생되는 문합 부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술식 평가 (Experience with a Safe Anastomotic Method for Ivor Lewis Operation)

  • 김정원;이용직;장용진;박창률;정종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25-629
    • /
    • 2008
  • 배경: 식도암 수술에서 문합 부위 합병증은 수술 방법, 문합 위치 등과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에도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에 대한 고전적인 Ivor Lewis수술 중 stapling후 문합부의 조직 긴장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식도-위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줄이도록 고안된 술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식도암으로 Ivor Lewis 수술을 시행 받은 22명 중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세$(46{\sim}73)$이었고 남자가 17명(94.4%)이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술 후 추적 관찰 중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여 식도내 풍선화장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7.2개월$(1{\sim}45)$이었다. 수술 후 문합 부위 누출은 없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1명(5.6%1에서 수술 후 4개월째 발생하였으며 수술 당시 식도 내경이 작아서 25 mm Stapler로 문합했었다. 식도내 풍선확장술을 2차례 시행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현재까지 38개월째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Ivor Lewis 수술 후 발생하는 양성 문합 협착 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본원의 문합 술식은, 다른 저자들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후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18-year experience of tracheoesophageal fistula and esophageal atresia

  • Seo, Ju-Hee;Kim, Do-Yeon;Kim, Ai-Rhan;Kim, Dae-Yeon;Kim, Seong-Chul;Kim, In-Koo;Kim, Ki-Soo;Yoon, Chong-Hyun;Pi, Soo-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6호
    • /
    • pp.705-710
    • /
    • 2010
  •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 and esophageal atresia (EA) born at a sing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97 patients with confirmed TEF and EA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between 1990 and 2007. Results: The rate of prenatal diagnosis was 12%.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37^{+2}$ weeks and $2.5{\pm}0.7kg$, respectively. Thirty-one infants were born prematurely (32%). Type C was the most common. The mean gap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sophagus was 2 cm. Esophago-esophagostomy was performed in 72 patients at a mean age of 4 days after birth; gastrostomy or duodenostomy were performed in 8 patients. Forty patients exhibited vertebral, anorectal, cardiac, tracheoesophageal, renal, limb (VACTERL) association with at least 2 combined anomalies, and cardiac anomaly was the most common.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sophageal stricture followed by gastroesophageal reflux. Balloon dilatation was performed for 1.3 times in 26 patients at a mean age of 3 months. The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were 24% and 67%, respectively,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sepsis. The weight of approximately 40% patients was below the 10th percentile at 2 years of age. Conclusion: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of patients with TEF and EA are high as compared to those of infants with other neonatal surgical diseases. Further efforts must be taken to reduce mortality and morbidity and improve growth retardation.

기관 및 기관지결핵에 의한 반흔성 기도협착에 대한 기관지경적 Nd-YAG 레이저 치료의 효과 (Effects of Bronchoscopic Nd-YAG Laser Therapy in Tuberclous Tracheobronchial Fibrostenosis)

  • 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94-503
    • /
    • 1994
  • 연구배경: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인한 반흔성 기도협착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Nd-YAG 레이저치료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기도내경이 1~4mm로 심한 반흔성 기도협착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도협착을 내시경소견에 따라 횡경막형, 허탈형 및 복합형으로 분류하고 허탈형의 기도협착은 치료대상에서 제외하고 횡경막형과 복합형의 기도협착이 있는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굴곡성기관지경을 통해 Nd- YAG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효과는 치료 후 1개월에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과 객관적인 검사성적의 호전 유무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1) 기도협착의 형태는 횡경막형 1예, 복합형이 9예로 대부분 복합형이었다. 2) 기도협착 부위는 기관 2예, 좌주기관지 6예 등이었고 증상발현 기간은 12.7개월이었다. 3) 레이저치료 횟수는 평균 3.3회였고 총조사량은 평균 865 joule이었다. 4) 기도내경은 치료전 평균 1.8mm에서 치료 후 5.5mm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5) 10예 가운데 8예에서 측정한 노력성폐활량(FVC)은 치료 전 평균 2.62L에서 치료 후 3.04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노력성폐활량 1초치도 평균 1.81L에서 치료 후 2.22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6) 10예 가운데 8예는 치료 후 호전되었으나 성대 직하방에서 용골까지 심한 기도협착이 광범위하게 있었던 1예와 기관지의 굴곡변형이 심했던 1예는 호전이 없었다. 7) 출혈 및 천공과 같은 레이저치료에 따르는 합병증은 없었으며 치료 후 호전되었던 8예는 평균 31.9개월 간의 추적기간 동안 이러한 호전이 지속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인한 반흔성 기도협착이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경적적 Nd-YAG 레이저치료는 기도협착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