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 test

검색결과 2,008건 처리시간 0.03초

농경지 토양수분 추정 기술 개발을 위한 테스트 베드 데이터 세트 (A Dataset from a Test-bed to Develop Soil Moisture Estimation Technology for Upland Fields)

  • 강민석;조성식;김종호;손승원;최성원;박주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7-116
    • /
    • 2020
  • 본 데이터 논문에서는 관측기반 농경지 토양수분 추정 기술 개발을 위해 서산과 태안에 2019년 5월에 구축한 테스트 베드에서 2019년 한해동안 얻어진 자료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본 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자동농업기상관측망 중에 하나인 서산 관측소 주변 밭과 인근 태안의 밭에 구축한 테스트 베드에서 얻어진 다양한 생태수문기상학적인 변수들(토양수분, 증발산, 강수, 복사, 기온, 습도, 식생지수 등)을 포함한다. 해당 데이터의 주목할 만한 사항은 (1) 토양수분관측을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및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이용한 지점관측 뿐만 아니라 COSMIC-ray 중성자 센서로 넓은 공간대표성을 지닌 면적관측을 동시에 수행하여 토양수분의 공간 스케일링 기술 개발 및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 (2) Smart Surface Sensing System을 이용해 작물생육을 함께 감시함으로써 어떻게 토양수분과 작물생육이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 (3) 에디 공분산 시스템을 이용해 증발산을 함께 실측함으로써 지면 물수지 전반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의 활동 및 전도발생 풍속 평가를 위한 풍동실험 (Wind Tunnel Tests for Evaluation of Sliding and Overturning Velocities on Shipping Containers)

  • 김원술;이진학;요시다 아키히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260-26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풍동실험을 이용하여 선박 운송용 컨테이너의 풍력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컨테이너의 크기 및 중량에 따른 피해발생 풍속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컨테이너 폭의 직각방향에 작용하는 평균 풍력계수는 12ft, 20ft, 40ft, 40ft high cube 순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달리 깊이의 직각방향에 작용하는 평균 풍력계수는 40ft high cube, 40ft, 20ft, 12ft 순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컨테이너의 풍상면(windward surface)의 모서리에서 박리된 난류의 전단층(shear layer)이 다시 컨테이너의 측면에 재부착(reattachment)되면서 깊이의 직각 방향에 작용하는 평균 풍력계수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전 풍향에서 컨테이너의 중량에 따른 피해발생 풍속을 평가한 결과, 컨테이너의 전도보다는 활동이 낮은 풍속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가장 불리한 컨테이너는 40ft high cube이며, 활동발생 및 전도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풍속은 각각 20.4 m/s와 26.8 m/s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컨테이너의 중량과 피해발생 풍속과의 상관을 토대로 컨테이너의 중량에 따른 활동발생 및 전도발생 풍속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컨테이너의 고박 설치하중평가 및 적재방법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 정립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강제진동 기법을 이용한 무미익 비행체의 동안정 미계수 측정 (Measurement of Dynamic Stability Derivatives of Tailless Lamda-shape UAV using Forced Oscillation Method)

  • 양광진;정형석;조동현;안은혜;고준수;홍진성;김용덕;이명섭;허기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552-5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강제진동 기법을 이용하여 람다형상을 갖는 무미익 무인기의 동안정 미계수를 측정하였다. 강제진동 기법은 시험모델을 일정한 크기의 각 변위로 진동시키면서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력의 시간이력(time history) 데이터를 측정하고, 입력진동 대비 공력데이터의 위상차와 진폭을 추출함으로써 비행체의 동안정 미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롤, 피치, 요 방향으로 각각 진동시킬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국내 최초로 무미익 항공기의 동안정 미계수 측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롤 댐핑 동안정 미계수 측정 결과, 진동 주파수와 진동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동안정 미계수의 경향성은 동일하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측정 받음각 구간에서 안정한 특성을 보였다. 피치 댐핑 동안정 미계수의 경우 작은 진동 주파수에서 동적으로 더 안정해지며, 받음각 $15^{\circ}$ 이상에서는 동적으로 불안정해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각 시험데이터들은 반복성 시험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에 적용된 강제진동 기법이 무미익 항공기의 동안정 미계수를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pper and Lower Limb Coordinated Exercise in One Leg Support or non Support on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국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81-288
    • /
    • 2013
  • 본 연구는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 발을 지지하여 상하지 협응운동(주 3회, 4주간)을 적용한 군(n=7)과 한 발 지지없이 상하지 협응운동을 적용한 군(n=7)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보행능력검사는 10MWT,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동적균형능력검사는 FS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규분포를 한 10MW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하지 않은 F8WT, FSS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Friedman 검정을 하였고, 두 군간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측정에서 두군 모두 측정시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상하지 협응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부분 유입 노즐을 적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초고속 터보발전기 개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Turbo-generator with Partial Admission Nozzle for Supercritical CO2 Power Generation)

  • 조준현;신형기;강영석;김병휘;이길봉;백영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4호
    • /
    • pp.293-301
    • /
    • 2017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사이클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ub-kWe급의 소형 실험장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터보발전기를 개발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터빈에서는 팽창비가 작고, 유량이 작기 때문에 터보발전기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부품의 선정, 터빈 공력설계, 축력 및 회전체 동역학 설계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터보발전기의 회전수를 줄이기 위하여 노즐의 여러 채널 중 1개의 노즐만 사용하는 부분유입 방법을 세계 최초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터보발전기에 적용하였으며, 회전체의 진동을 측정하여 부분유입 노즐을 적용함에도 회전체 안정성은 허용 범위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개천골요법이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on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이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4-484
    • /
    • 2016
  • 최근 CST 효과에 대한 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활발히 제시되고 있으며, CST를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ST가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2015년 1월 3일~2015년 2월 28일까지 장기요양시설노인 12명(실험군 6명, 대조군 6명)을 대상으로 Upledger가 개발한 10단계(10-Step Protocol) CST를 1회 50분, 주 1회, 8주간, 총 8회 적용하였다. 뇌기능 측정은 2 Channel neuro-feedback system 이동식 뇌파 측정기를 이용하여, CST 시술 시작 전과 마지막 시술 후에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뇌기능 분석 프로그램인 BQ test로 뇌기능지수를 분석하였다. 집단 간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Version 18.0)프로그램의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뇌기능지수 중 주의지수(좌)(우), 주의지수의 하위지수인 긴장도(좌)(우), 항스트레스지수(좌)(우), 정서지수, 브레인지수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주의지수의 하위 지수인 주의비율에서만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CST가 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를 증가시켜 뇌기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ST를 노인요양시설에서 건강과 뇌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노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Frailty of Rural Elderly Women Implemented at Primary Health Care Posts)

  • 김민경;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3호
    • /
    • pp.115-123
    • /
    • 2019
  • 이 연구는 J시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 노쇠정도 확인을 위한 건강상태(지각된 건강상태, 노쇠 점수, 상 하체 유연성, 최대악력, 동적평형검사 Timed Up and Go)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으로 대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해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노인들의 노쇠수준을 파악하고, 농촌 여성노인들의 노쇠수준에 맞는 12주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건강증진프로그램(프로그램명: ${\bigcirc}{\bigcirc}$보건진료소와 주민이 함께 만드는 하하호호 백세건강마을 만들기)은 J시 보건진료소 특성화 사업의 한 부분으로 연구자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농촌여성 노인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한 노쇠점수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8개 항목 중 주관적인 현재 건강상태와 우울한 감정의 개선이 노쇠점수가 향상에 특히 도움이 되었다. 건강상태 변화로 왼쪽 상체유연성은 실험군이 약 2배(+17cm), 오른쪽 상체유연성은 +11cm, 하체유연성은 실험군이 +6cm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근력평가로 최대악력은 실험군이 약+4kg 증가하였고, 동적 균형 검사(Timed Up and Go test)는 실험군이 3초 빨라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상 하체 유연성 및 근력, 민첩성 등 운동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취약지역 보건 진료소 관할 인구의 평균수명 연장과 고령화로 노쇠한 농촌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근력강화 및 유연성 운동과 인지개선 활동 등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통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범이론적모형에 근거한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Men who Work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이혜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충북에 거주하며 직장을 다니고 있는 40~59세 중년남성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170명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운동자기효능감(𝛽=.965, p=.003)과 지각된 건강상태가(𝛽=.805, p=.025)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행위가 있는 직장 중년남성이 운동행위가 없는 직장 중년남성에 비해 운동자기효능감이 2.6배 높고, 지각된 건강상태는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실천을 위한 전략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직장과 지역사회 차원의 운동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척추 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하지 강직감을 동반한 보행 장애에 대한 한의학 치료의 효과: 증례보고 (Korean Medicine for Gait Disturbance Accompanying Lower Limb Rigidity Caused by Bleeding of Spinal Cavernous Hemangioma: A Case Report)

  • 최현진;유승호;안상준;김세윤;신우철;조재흥;정원석;송미연;김형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3-249
    • /
    • 2023
  • 해면상 혈관종(cavernous hemangioma)은 인체 내 다양한 장기나 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기형으로, 순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pure epidural cavernous hemangioma)은 해면상 혈관종의 드문 경우에 속한다. 해면상 혈관종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증상에 한의학 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드물게 보고되었으나, 순수 해면상 혈관종의 출혈로 인한 증상에 대한 것은 없었기에 관련 임상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척추의 순수 해면상 혈관종으로 진단받은 51세 남성이 2022년도에 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에 대해 치료를 받기 위해 한방병원을 방문하였다. 척추의 순수해면상 혈관종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 환자는 침 치료, 전기 침 치료, 온침 치료, 한약, 추나, 뜸, 부항 치료를 시행 받았다. 평가지표는 25 foot walk test (25FW), timed up and go test (TUG), comfortable gait speed tests (CGS), 요통과 하지 통증에 대한 numeral rating scale (NRS), Berg balance score (BBS), Tinneti-score, manual muscle test (MMT), EuroQol-five dimension (EQ-5D), EQ-5D visual analog scale (EQ-5D VAS)이었으며, 25FW, TUG, CGS, NRS, BBS, EQ-5D (VAS)에서는 치료 후 호전을 보인 반면, Tinetti Score, MMT, EQ-5D의 지표는 치료 후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한의학은 척추 해면상 혈관종의 출혈로 인해 발생한 보행장애나 하지 강직감에 대한 치료의 한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20대 연령에서 다양한 감각 조건에 따른 안정성 한계의 비교 (A Comparision of the Limits of Stability at Different Sensory Conditions in 20 Years of Age)

  • 권오윤;최흥식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63-97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limits of stability(LOS) at different sensory conditions in normal 20 years of age. The LOS was measured at stable surface, and unstable surface and the subjects stood with the feet contacted and 4 inches between the feet with the eyes open and the eyes closed. In this study, 20 physical therapy major subjects were evaluated at Wonkwang Public Health Junior College. In this study applied the paired t-test, and Kruskal-Wallis 1-way ANOVA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results at 0.01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lateral limits of stability was b.67 degree at stable surfa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with the feet contacted. 2. The mean of anteroposterior limits of stability was 9.78 degree at stable surfa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with the feet contacted. 3. The mean of lateral limits of stability was 15.10 degree at stable surfa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with 4 inches between the feet. 4. The mean of anteroposterior limits of stability was 11.72 degree at stable surfa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with 4 inches between the feet. 5. The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limits of stability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eyes closed(p<0.01). 6. The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limits of stability significantly decreased at unstable surface(p<0.01).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imits of stability as the height and foot length(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