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

검색결과 11,111건 처리시간 0.05초

중견국 한국의 해양전략 디자인 : 해양접근전략(Maritime Access Strategy) (Designing the Maritime Strategy of the Middle-Power Korea: The Maritime Access Strategy)

  • 반길주
    • Strategy21
    • /
    • 통권45호
    • /
    • pp.116-147
    • /
    • 2019
  • 한국은 지형적으로 반도국가이며 국제정치적으로는 중견국의 위상을 갖고 있다. 이런 유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륙지향적 사고에 갇혀 있으며 이는 정교한 해양전략의 탄생을 지체시키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다의 유형'과 '위상'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해양접근전략(the Maritime Access Strategy)'을 제시한다. 나아가 전략을 구성하는 3대 요소-목표, 방법, 수단-을 이용하여 해양접근전략의 정교화를 시도한다. 목표 차원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목표를 지원하도록 동기화가 필요하다는 전제에 주목한다. 더불어 다양한 행위자와 상대해야 함을 고려하여 억지(Deterrence), 관여(Engagement), 견제(Check)라는 소목표를 제시한다. 방법 차원에서는 기능적 균형화 작전방안을, 수단 차원에서는 기능적 균형전력을 제시한다. 해양접근전략은 다양한 바다에서 접근강도의 유연성을 갖고 맞춤형으로 다가가는 역동적 메커니즘을 품고 있다.

부정확한 무게 정보를 가진 수출 컨테이너를 위한 장치 위치 결정 규칙 생성 방법 (Generating a Slot Assignment Rule for Outbound Containers Having Imprecise Weight Information)

  • 강재호;류광렬;김갑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73-581
    • /
    • 2005
  •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에 수출을 위하여 반입되는 컨테이너들은 그 무게에 따라 몇 단계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별로 장치된다. 이는 무거운 컨테이너들을 선박에 먼저 실어야 하는 적하 계획을 보다 쉽게 수립하고 장치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계획, 관리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장치장에 컨테이너가 반입될 때 해당 컨테이너의 장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컨테이너 무게 정보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아 장치장 공간 계획의 의도와는 달리 하나의 스택에 무게 그룹이 다른 컨테이너들이 섞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적하 작업 시 일부 컨테이너들을 임시로 이동시켜야 하는 재취급이 발생하게 되므로 적하 작업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무게 정보의 부정확성이 재취급을 얼마나 발생시키는지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무게 그룹의 흔적이 허용되는 상황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장치 위치를 실시간에 결정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규칙을 생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으로 생성한 장치 위치 결정 규칙을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스택에 동일한 무게 그룹으로 추정되는 컨테이너들만 장치하는 기존 방안에 비해 재취급 발생을 $20\%$ 정도 줄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Feed-and-discontinuous Bleed 방식으로 운전되는 정수처리용 관상형 한외여과막 시스템의 평가 (Evaluation of System operated by Feed-and-discontinuous Bleed Mode using Tubular Type Ultrafiltration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 최혁;서영우;김형수;임종성;황선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2187-2195
    • /
    • 2000
  • 막분리 기술을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은 안정된 수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정수처리 시스템에 비해 유지관리가 비교적 간편하다. 또 막여과 시스템은 매우 콤팩트한 기솔로서 응집/침전/여과로 구성된 기존의 정수처리 공정을 단일공정만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막여과는 운전시간의 경과와 함께 농도분극과 막오염으로 인한 플럭스의 감소라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연속운전의 평가에 관한 체계척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획분자량 30.000 Da인 관상형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막여과 시스템을 구성하고 feed-and-discontinuous bleed 방식으로 운전하였다. 플럭스는 1,500시간 운전후에 안정되었고 4.000시간까지 25 LMH 이상을 유지하였다. SS와 탁도를 유발하는 물질은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UV_{260}$과 DOC의 제거율은 각각 55%와 49%였다. 하나의 운전주기동안 SS, 탁도, $UV_{260}$과 DOC의 최대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간단한 물질수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SS와 탁도는 각 주기동안 관측된 최대농도와 예측치가 잘 일치한 반면 $UV_{260}$과 DOC의 관측농도는 예측치의 약 59%와 37% 였다.

  • PDF

황-이용 독립영양 탈질에서의 패각을 이용한 알칼리도 공급 (Alkalinity Supplement using Sea Shell for Sulfur-utilizing Autotrophic Denitrification)

  • 변정섭;범봉수;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777-178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황-이용 독립영양 탈질을 위한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알칼리원의 선정을 위하여 숯, 연탄재, 패각 및 석회석을 대상으로 희분식 실험 및 연속실험을 실시하여 $NO_3{^-}-N$ 부하에 따른 탈질효율을 파악하였다. 희분식 실험 결과 패각 및 석회석이 가장 우수한 산 중화능력을 보였으나, 넓은 표면적을 가진 패각이 석회석보다 알칼리도 공급능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과 패각간의 혼합비는 1/1 (V/V)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NO_3{^-}-N$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수행한 연속실험 결과, 116 g $NO_3{^-}-N/m^3-day$의 부하까지는 90% 이상의 탈질효율을 나타내었으나, 145 g $NO_3{^-}-N/m^3-day$의 부하에서는 탈질효옳이 48%로 악화 되었다. 제거된 $NO_3{^-}-N$ 1 g당 생성된 $SO_4{^{2-}}$의 양은 평균 7.02 g으로 이론값인 7.54 g보다 낮게 나타났다. $NO_3{^-}-N$의 탈질은 반응속도상수가 평균 0.146/hr인 1차 반응으로, 그리고 $SO_4{^{2-}}$의 생성은 반응속도상수가 평균 -53.1 mg/L-hr인 0차 반응으로 나타났다. $NO_3{^-}-N$의 탈질량에 비례하여 가스가 발생되었는데, 질소 물질수지를 따진 결파 제거된 질소중 71~109%, 평균 90%가 $N_2$가스로 회수되었다.

  • PDF

HSPF와 CE-QUAL-W2 모델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용담댐 저수지 탁수현상의 모델 연구 (Modeling Study of Turbid Water in the Stratified Reservoir using linkage of HSPF and CE-QUAL-W2)

  • 이혜숙;정선아;박상영;이요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을 대상으로 유역모델 HSPF와 저수지모델 CE-QUAL-W2를 연계 적용함으로써 강우시 저수지로 유입되는 탁수 관리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강우시 저수지 유입하천의 유출량 및 부유사 농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역모델을 적용하여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하였으며 유역모델 결과를 저수지모델의 입력자료로 제공하여 저수지모델의 재현성 검토 및 저수지 내 시간에 따른 탁수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유역모델의 유출량 및 부유사 농도의 재현성 검토 결과, 모델 예측값과 실측값이 적절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모델의 결과를 연계하여 홍수기 저수지의 물수지, 수온 변화 및 탁도를 대상으로 저수지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탁수에 의한 수온성층의 변화와 탁수층의 위치, 시간에 따른 탁수분포의 변화 양상 등을 실제와 매우 유사하게 모의하였다. 이와 같이 유역모델과 저수지모델의 연계 적용은 발생 가능한 강우에 대하여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량 및 탁수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탁수층의 위치와 최고 탁도 등 저수지내의 탁수변화 양상을 비교적 쉽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용담댐을 대상으로 집중강우시 HSPF 유역모델과 CE-QUAL-W2 저수지 모델을 연계 적용함으로써 탁수관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우리나라 연안매립의 특성 및 합리적 관리방안 (Characteristics and Reasonable Management Approaches of Coastal Reclamation in Korean)

  • 엄기혁;이대인;김영태;김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7-237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매립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최근 공유수면 매립 현황과 특성, 매립이 집중된 사례지역의 환경 및 관련 환경평가서의 주요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공유수면매립은 남해와 서해 연안에서 집중되고 있고, 과거에는 농업용지와 산업용지의 확보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조선단지를 포함한 산업용지와 항만용지 등 매립목적이 다양화 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개발사업을 위한 매립으로 인해 환경영향이 가중되고 있고, 특히 갯벌과 수산자원보호구역 등 어장이 상대적으로 큰 훼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갯벌지역에서의 매립 유형은 준설토 투기장, 도시개발 및 산업단지 조성이 많았다. 무분별한 매립을 지양하기 위해서는 연안통합적 접근과 적정 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단기적인 개발과 장기적인 보전 이익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데, 특히, 사전에 환경성 문제를 충분히 다루기 위해 관련 법과 제도에 따른 해양환경평가의 개선이 필요하다.

농촌(農村) 가정보건사업지역(家庭保健事業地域)의 가임여성(可妊女性)의 영양(營養) 및 기생충조사(寄生蟲調査) (Nutrition and Parasite Survey of Rural Fertile Women of the Family Health Project Area in Korea)

  • 박명윤;이보숙;이경자;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4호
    • /
    • pp.200-208
    • /
    • 1981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3 to 31 and February 14 to 18, 1981, in Whaseounggun, Kyunggj-do, to investigate the dietary and nutritionary status, and prevalence of parasitic infection of the fertile women, in an attempt to provide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the rural family health programmes. The results are summaris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fertile women, randomly selected, was 197 ; 21 women were in the latter half of pregnancy; 38 women, lactating, the remaning, non-pregnant.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1.4 years; average number of children, 2.7; average number of abortion, 0.9; average family number in home, 5.5. The families had a mean income of \ 2,470,000 per fear. The majority, 83.8% of the families, were engaged in farming. 61.4% of the subjects had completed schooling 6 years or less. The mean energy intake of the lactating women was 73.4% of the recommended allowance, while that of non-pregnant and pregnant women reached 86.9 to 88.6% of the recommendation. In the average diet of the subjects, carbohydrates contribute 74.6 to 81.7% of the total energy intake; protein 11.3 to 11.9%; fat 7.0 to 13.9%. Protein intake of non-pregnant,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met 72.6%, 60.8%, and 65.2% of allowance, respectively; and those proteins were mainly derived from vegetable sources. The subjects ingested less than one-half of the allowances for iron, calcium, vitamin A, and riboflabin ; in contrast, thiamin and ascorbic acid levels were adequate or fairly acceptab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meal balance and food diversity scores to the mean intake levels of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A, thiamin, and riboflavin. Only 10% of the pregnant women and 11.4% of non-pregnant and lactating women reached the acceptable level of hemoglobin. Positive prevalence of parasitic infection was found among about one-third of the subjects, 30.3% of women. Hematologic finding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parasitic infection.

  • PDF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업의 내부요인 탐색 (Exploring Internal Factors of Companies to Increase O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 신수영;박지성;옥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96-307
    • /
    • 2020
  • 여성인력의 양적 증가에 비해 여성의 조직 내 지위는 여전히 열악한 수준이다. 다양한 관점과 유연한 환경대처능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여성인력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는 기업이 시급히 풀어야 할 당면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개발의 주체로서 여성관리자들이 보다 조직에 몰입하게 하는 조직의 내부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동안 여성인력의 활용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가정 균형(work-life balance) 등 고용평등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외부적 지원책뿐만 아니라 멘토링, 교육훈련, 조직분위기 등 조직의 내부 지원요인을 고려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멘토링과 교육훈련 그리고 조직분위기는 모두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관리자의 주도적 영향력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내부요인과 조직몰입 사이를 매개하였다. 즉, 여성관리자들이 조직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부적 지원 뿐만 아니라 여성관리자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주도적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우수 여성 인력의 채용, 교육훈련, 보상 등 제반 투자 비용을 회수하지 못하고 향후 여성 인력 채용까지 제한하는 기업의 여성 인력 활용상의 딜레마를 조금이나마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에탄올 추출물이 난소제거 흰쥐의 경골 소주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Yukmijiwhang-Whan on Trabecular Bone Area in OVX Rats)

  • 김정숙;하혜경;이제현;송계용;김혜진;신선미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3-132
    • /
    • 2000
  • Bone is continuously remodeled during adult life with the resorption of old bone by osteoclasts and its subsequent replacement by osteoblast. Bone homeostasis is maintained by a balance between activities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but an imbalance between resorption and formation results in bone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Osteoblasts line up on the bone surface, especially regions of new bone formation, lay down bone matrix (osteoid) in orderly lamellae and induce its mineralization. Thus, the increased activity of osteoblasts is helpful to treat and prevent osteoporo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80% EtOH extract of yukmijiwhang-whan is capable of affecting osteoblast proliferation using human osteoblast-like cell line, MG-63 and Saos-2. In an in vivo experiment, extract of yukmijiwhang-whan was administered for 9 weeks to ovariectomized (OVX) rats. At necropsy, uterus weights were measured, and trabecular bone areas (TBAS) of tibia and the sixth lumbar vertebra were measured by bone histomorphology. The maximum cell proliferation of MG-63 caused by extract of yukmijiwhang-whan at $5\;{\times}\;10^{-6}\;mg/ml$ was approximately 115% compared with control. In Saos-2, cell proliferation was approximately 145% of control at $5\;{\times}\;10^{-4}\;mg/ml$ and maximum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as approximately 143% of control at $5\;{\times}\;10^{-5}\;mg/ml$. In animal study, however, the tibia and lumbar TBAS of the yukmijiwhang-whan group did not increased than the OVX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80% EtOH extract of yukmijiwhang-whan increased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but did not prevent bone loss in OVX rats.

  • PDF

100% 신재생에너지 자원 기반 에너지 공급을 위한 태양광, 풍력 및 바이오 발전의 통합 전략 및 경제성 평가 (Economic Benefits of Integration of Supplementary Biopower and Energy Storage Systems in a Solar-Wind Hybrid System)

  • 황해진;문준영;김지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81-38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원 기반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하고, 각 시스템의 최적 전력 공급 비용을 비교 분석 하였다. 특히, 풍력 및 태양광 등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생산 기술과 더불어 대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바이오매스 기반 전력 생산 기술을 포함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간헐성 및 에너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6가지의 신재생 에너지원 기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실제 제주도 전력 공급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제주도 지역의 최적 에너지 시스템을 규명하였으며, 다양한 에너지 생산 기술의 조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태양광 및 풍력 기반 전력 공급 단가는 각각 0.18, 0.28 $/kWh로 개별 자원 기반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기존 전력망을 통한 공급 단가에 비해 경쟁력이 낮았다. 또한 자원의 간헐성 및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등 단일자원 기반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3가지 신재생 자원 및 대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공급 시스템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전통적 전력망 공급과 가격 경쟁력을 갖는 0.08 $/kWh 수준의 100% 신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