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chu kimchi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19초

마산지역 일부 중학생의 김치 섭취실태 및 선호도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 for Kimchi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Masan)

  • 강민애;김정진;강옥주;정효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3호
    • /
    • pp.291-30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for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361 male and 325 female students in Masan City. For the frequency of Kimchi intake, the largest group consisted of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with 51.6%,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seven or more pieces of Kimchi per meal. In addition, 50.4% viewed Kimchi as an indispensable dish; and of those who consumed Kimchi at every meal, two kinds of Kimchi would be served. Ggodeulppaegi-Kimchi and Yangbachu-Kimchi were the least preferred types, while Baechu-Kimchi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Kakduki and Dongchimi. Furthermore, ripe Kimchi was considered more preferred by 44.9% of the students, and the males had greater preferences for fresh Kimchi (36.0%) as compared to the females (26.8%). Regarding their favorite portion of the Kimchi,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were fond of every part; while 36.6% of the males preferred the top portion and 42.5% of the females preferred the whole portion of Kimchi. The degree of ripeness (39.9%) was selected as the most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aste, and 49.1% of the subjects preferred a spicy taste. The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liked properly seasoned Kimchi (56.6%), of which 79.4% preferred spicy Kimchi; although they did not like excessively hot Kimchi products. Finally, 37.5% of the subjects identified salted shrimp as their favorite fish sauce.

  • PDF

발효 온도와 시간 조합을 달리한 총각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honggak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Combination of Temperature and Time)

  • 강정화;강선희;안은숙;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51-561
    • /
    • 2003
  • 총각김치의 pH는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조합의 경우 다른 조합에 비하여 발효 초기에 크게 낮아졌지만 첨가한 젓갈중의 단백질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pH 변화는 크지 않았다. 산도도 발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크게 증가하였고 초기 1주일 동안의 산도는 배추김치의 산도보다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더 높은 산도를 보였는데 이는 총각김치에 첨가한 찹쌀풀에 의해 산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총각김치는 찹쌀풀을 많이 첨가할수록 총각김치의 발효 후기의 산도가 높아진다. 조직감에서 puncture force는 발효 8주 후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의 경우 탄산미와 신맛은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 가장 높았고 무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풋내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풍미를 나타냈다. 경도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5^{\circ}C$ 3일 또는 6일 발효/$-1^{\circ}C$ 저장조합이 가장 적당한 경도를 나타냈다. 외관은 초기에 발효가 진행된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무발효/$-1^{\circ}C$ 저장 조합이 가장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총기호도는 발효온도가 낮을 경우 매운맛이 너무 강하게 느껴졌고 발효온도가 높을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매운맛도 감소하고 총기호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7일 후에 $1.15{times}10^9,\;5^{\circ}C$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6일 후에, $5^{\circ}C$ 3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7일 후에 각각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그 이후에는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젖산균 수는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Leuconostoc spp. 와 Lactobacillus spp. 는 7일 후에 각각 $1.18{\times}10^9$$5.62{\times}10^9$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효모수는 발효온도에 관계없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배추김치에서 보다 훨씬 낮은 경향을 나타냈고 첨가된 찹쌀풀에 의해 당 함량이 높아져 미생물수가 배추김치에서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 시판 묵은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Mukeunji Products)

  • 허성원;고명신;김미란;이혜란;정서진;조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02-708
    • /
    • 2015
  • 숙성기간별 시판 묵은지와 일반 숙성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묵은지의 품질규격 표준화와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pH의 경우 시판 묵은지는 3.69~4.22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산도의 경우 2.94~1.71%의 범위를 보였다. 반면 시판 배추김치의 pH와 산도는 각각 pH 5.92와 0.28%로 시판 묵은지에 비해 pH는 높은 값을 보였고, 산도의 경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감소한 반면 산도는 증가하였다. 시판 묵은지의 평균 염도는 2.22%를 나타내 시판 배추김치의 염도인 1.79% 보다 현저히 높은 염도를 나타냈으며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염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묵은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기저장으로 인한 연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김치의 1~1.5% 높게 담근다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색도의 경우 L(밝기), a(적색도), b(황색도)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판 배추김치의 L값은 60.14로 시판 묵은지의 평균 L값인 37.09보다 현저히 큰 값을 나타냈다. 조직감의 경우 시판 묵은지의 강도와 두께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묵은지의 강도는 2.11~3.43 kgf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시판 배추김치의 강도인 3.51 kgf와 비교하여 낮은 강도를 나타냈다. 두께의 경우 시판 배추김치는 7.64 mm로 시판 묵은지의 평균 두께인 5.34 mm와 비교하여 2.0 mm 이상 두꺼웠다. 환원당 함량은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숙성기간이 3년이었던 H3 시료의 환원당 함량은 2.78 mg/mL로 시판 배추김치(13.11 mg/mL)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시판 묵은지의 유기산 분석 결과 acetic acid, lactic acid와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와 succinic acid의 경우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lactic acid의 경우 시판 배추김치에선 검출되지 않았으나 시판 묵은지 시료에선 평균 533.33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 묵은지 6종의 묘사 분석 결과 쓴맛을 제외한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동일한 제조회사의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 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동일한 제조회사의 경우 쉰내, 신맛, 탄산감, 무른 정도와 같은 특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단맛, 감칠맛, 탄산감, 배추 향미, 아삭한 정도, 단단한 정도와 같은 특성에선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온살균 절임배추에 Starter 첨가로 인한 김치의 품질 및 기능성 증진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 한귀정;최혜선;이선미;이은지;박소은;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115
    • /
    • 2011
  • $65^{\circ}C$에서 30분간 저온살균법을 이용해 저장성이 증진된 절임배추에 Leu. citreum과 Lab. plantarum을 첨가한 스타터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에 일반김치의 pH가 4.29,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가 pH 4.38로 발효 속도가 가장 늦었고 스타터 첨가 김치는 pH 4.28~4.31로 일반김치와 큰 차이가 없었다. 총 균수의 경우 일반김치에 비해 저온살균 한 김치에서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총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수의 경우 발효 3주째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 김치에 비해 혼합균주를 첨가한 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김치와 비슷한 균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 종합적인 만족도는 스타터 첨가 김치가 일반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혼합균을 첨가했을 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저온살균 한 절임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일반김치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감소했지만, 이 절임배추에 스타터를 첨가한 김치는 일반김치와 유사하였다. in vitro 항암 효과를 각 군별로 비교하였을 때 Leu. citreum과 Lab. plantarum의 혼합균주 첨가 김치가 다른 군별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p<0.05). 혼합균주 첨가 김치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는 91%를 나타냈으며, Leu. citreum을 첨가한 경우 89%, 일반김치의 경우 86%, Lab. plantarum을 첨가한 경우 80%,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경우 73%의 결과를 보여, 혼합균주 첨가 김치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일반김치보다 기능성이 감소되지만 살균효과로 저장성은 증진되며 저온살균을 적용하되 스타터를 이용하면 그 기능성을 더 높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기능이 더 우수한 유산균을 사용한다면 품질과 기능성을 더 높일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 경우 스타터로 사용하면 이화학적으로 일정한 품질의 김치를 생산할 수 있을 뿐더러 저장성 및 기능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인천지역 고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imchi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 김복순;강근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7-245
    • /
    • 2017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Kimchi consum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y determining their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imchi. Methods: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45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5. A total of 4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students (42.6%) consumed Kimchi every meal (more than 3 meals/day), and only 3.6% did not consume Kimchi at all. The most common reason for consuming Kimchi was 'tasty' (46.4%).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consume Kimchi cited 'preference for other side dishes' (50.0%). 'Home-made Kimchi' was the most common source of consumed Kimchi (63.0%).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Kimchi, most cited terms were 'traditional' ($4.64{\pm}0.58$), followed by 'healthy' ($4.30{\pm}0.77$) and 'prefer home-made' ($3.88{\pm}0.93$) (p<0.001). The average preference for Kimchi was $3.71{\pm}1.07$. The most common reason for preferences was 'crisp texture' (37.6%). The most popular flavor was 'spicy' (33.6%), and the most popular fermentation level was 'appropriate' (55.6%). When preferences for Kimchi were further analyzed, 'baechu Kimchi' (4.18) was the most popular. Further, Kimchi is a popular ingredient for many dishes, and the most popular dish was 'stir-fried pork with Kimchi' (4.50). Conclusion: In the future, positive recognition of Kimchi consumption can be promoted through nutrition education and various advertisements.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Korean food for students.

Bifidobacterium longum BO-11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Preparation of Kimchi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BO-11)

  • 채명희;박은진;오태광;전덕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32-236
    • /
    • 2006
  • 건강한 성인의 분변에서 분리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B. longum BO-11을 김치 제조용 스타터로 이용하여 그 생존 능력과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발효과정 중 bifidobacteria의 계수는 BS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20일의 저장 기간 동안 균수가 약간 증가하였다. 일반 미생물은 bifidobacteria 비첨가군과 비슷하였으며 bifidobacteria 첨가군의 경우 산의 생산이 더 많았다. 김치 맛은 일반 김치보다 bifidobacteria 첨가 김치가 더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ifidobacteria를 이용한 기능성 김치의 상업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비피도박테리아 김치 발효에 대한 시판 올리고과당의 영향 (Effects of Commercial Fructooligosaccharides on Bifidobacteria Kimchi Fermentation)

  • 채명희;전덕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1-65
    • /
    • 2007
  • 김치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내산소성의 Bifidobacterium animalis DY-64와 올리고과당을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고 발효과정동안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4^{\circ}C$, 30일간의 김치 발효과정 중 비피도박테리아는 1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올리고과당을 함께 첨가한 군에서는 비피도박테리아의 생존률이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Lactobacillus spp.와 Leuconostoc spp.의 생육 및 생존률이 더욱 증가되었다. 발효과정동안 비피도박테리아와 올리고과당 첨가 김치는 유기산(젖산과 초산)의 생성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올리고과당 김치는 일반 김치보다 신내, 신맛, 아삭아삭함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비피도박테리아 김치 제조시 시판 올리고과당을 첨가하면 비피도박테리아의 생존성을 증가시키며 장내에서는 prebiotics로서 이용되어 김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추의 소금절임시 유기산 첨가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s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 박인경;김순희;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5-204
    • /
    • 1996
  • 김치의 초발산도를 조절함으로써 담금초기부터 산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보존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acetic acid(A), citric acid(C), lactic acid(L), A+C+L(ACL) 및 formic acid+acetic acid+fumalic acid+malic acid+citric acid 0.2 - 0.3%를 함유하는 10% 소금물에서 절임하여 김치를 숙성시키면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산 첨가군중 특히 citric acid 첨가군은 pH의 저하와 산도의 증가율이 낮았으며, 총균수와 젖산 균수도 적었다. 그리고 경도가 가장 높고, 씹힘성은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에 있어서도 첨가군은 담금 초기부터 적당한 산미를 부여한 반면, 숙성 후기에는 산의 생성량이 적어 타 처리군에 비하여 낮은 산미를 띠었으며, pH, 산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1$0^{\circ}C$에서의 가식기간이 약 5일 이상 연장되었다.

  • PDF

백련초 분말 첨가 배추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added with Backryeoncho(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During Fermentation)

  • 이영숙;손희숙;노정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9-70
    • /
    • 2011
  • The effects of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ddition (0, 0.4, 0.8, and 1.2%) on the pH, titratable acidity, lactic acid contents, microbial contents,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cabbage Kimchi, stored at $10^{\circ}C$ for 36 days were studied to establish an optimum recipe. Upon addition of Backryeoncho powder, pH was higher than that of Kimchi without powder after 36 days of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Backryeoncho powder, and 0.4% powder added Kimchi showed the slowest changing level.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degree of salinit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wder from 2.52 to 2.19 to 2.10. The a value was higher in Kimchi with added Backryeoncho powder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control Kimchi. The cutting force and compression force were higher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especially addition of 0.4%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 of hardness. The addition of powder slowe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verall taste, 0.4% addition of powder improved the quality of Kimchi. Therefore, addition of 0.4% Backryeoncho powder apears to be an acceptable approach to enhance the quality of Kimchi without reducing acceptability.

초등학생의 학교급식용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 실태 조사 (A Survey on Preference and Intake of Kimchi for Elementary School Meal Service)

  • 지현정;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7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성남 지역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 및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김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70.6%의 초등학생은 학교급식보다는 집에서 김치를 더 많이 먹는다고 하였으며, 그 이유는 집에서 먹는 김치가 더 맛이 있기 때문(79.1%)이라고 응답하였다. 학교급식에서 배식되는 김치 종류 중 배추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김치의 형태는 저학년 학생은 '작은 크기로 한입에 먹기 좋게', '약간 달콤하게', '크기와 모양을 일정하게', 고학년 학생은 '작은 크기로 한입에 먹기 좋게', '차갑고 시원하게', '약간 달콤하게' 순이었다. 초등학생의 기호에 맞는 학교급식용 김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부재료 이외에 첨가되기를 원하는 부재료는 과일류를 가장 선호하였고 어패류의 첨가에 대해서도 비교적 좋아하였다. 또한 김치볶음밥, 김치만두, 김치찌개, 김치주먹밥, 김치김밥, 김치볶음, 김치비빔밥, 김치햄버거, 김치돈가스 등의 김치 이용 음식을 학교급식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