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ground Color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5초

Title Extraction from Book Cover Images Usin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and Color Information

  • Do, Yen;Kim, Soo Hyung;Na, In Seop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4호
    • /
    • pp.95-102
    • /
    • 201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ique to extract the title areas from book cover images. A typical book cover image may contain text, pictures, diagrams as well as complex and irregular background. In addition, the high variability of character features such as thickness, font, position, background and tilt of the text also makes the text extraction task more complicated. Therefore, we propose a two steps efficient method that uses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and color information to find the title areas. Firstly, text localization is carried out to find the title candidates. Finally, refinement process is performed to find the sufficient components of title areas. To obtain the best result, we also use other constraints about the size, ratio betwe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itle. We achieve encouraging results of extracted title regions from book cover images which prove the advantage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근거리 작업 시 종색수차에 따른 양안시의 변화 (Change of Binocular Vision Induced by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Near Work)

  • 김세일;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9-228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업 시 바탕색의 차이에 따른 시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동의하며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사시, 약시가 없는 양안시가 가능한 성인 54명(남18, 여34)을 대상으로 흰색,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구성된 소설을 각각 15분 동안 읽게 한 후 사위도, AC/A비,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상대조절 및 융합력을 측정한 후 근거리 작업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사위도는 바탕색에 관계없이 독서 전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C/A비는 백색 바탕색을 제외한 다른 바탕색의 책을 읽은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폭주근점은 바탕색별로 모두 독서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우위안 및 비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은 독서 후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양안조절용이성의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성상대조절은 모든 바탕색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양성상대조절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융합력의 경우 바탕색의 각 파장별 원거리 BO 분리점과 원거리 BO 회복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일정시간의 근업 시 동일한 조절과 폭주량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빛의 파장에 따라 폭주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므로 다양한 색채인지를 요구하는 근거리 작업 시에는 주가 되는 파장에 따라 작업환경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Vehicle HUD's cognitive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color visibility of driving information)

  • 최원정;이혜미;이설희;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95-206
    • /
    • 2013
  •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circ}$에서 약 하방 $9^{\circ}$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 PDF

Intelligent and Robust Face Detection

  • Park, Min-sick;Park, Chang-woo;Kim, Won-ha;Park, Migno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41-648
    • /
    • 2001
  • A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 is important for many multimedia applications. It is first step for face recognition and can be used for classifying specific shorts. This paper describes a new method to detect faces in color images based on the skin color and hair color. This paper presents a fuzzy-based method for classifying skin color region in a complex background under varying illumination. The Fuzzy rule bases of the fuzzy system are generated using training method like a genetic algorithm(GA). We find the skin color region and hair color region using the fuzzy system and apply the convex-hull to each region and find the face from their intersection relationship. To validit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make experiment with various cases.

  • PDF

고층집합주택 외벽 색채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고층정합주택단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Apartment Building Outer Wall Effecting in Streetscape -Focused on Highrize Housing Complex in Gwangju-)

  • 박성진;하주아;이청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33-41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ain color of apartment building as background color on the preference for residential streetscape in the rela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streetscape with its focus on the color of apartment building outer wall. To research a visual evaluation structu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quantitative assay and to provide more scientific and specific data about improvement dire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urrent brightness and chroma of main color of apartment building was high and low respectively which was advis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olor, when the components of the whole streetscape included buildings or soundproofing walls, a streetscape image needed to be improved though the color scheme of 4-distance color difference.

표면 착색용 산화제를 이용한 컬러 콘크리트의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lor concrete Using Stained Agent)

  • 박효진;이원영;이경현;최덕진;강철;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7-80
    • /
    • 2009
  • Because buildings which apply color that is various to concrete recently are introduced, value as design element of building is rising gradually in townscape. Even if expense is increased according as importance of concrete that have variety of design because do such social background and connection is emphasized, development of color concrete is pressi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examined concrete phys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by use of acid agent as part of research to embody diverse surface color of cement material. Here, embodiment of various color by unique color that stained hydrate has as that Color Concrete forms stained oxide that react with hydrate within concrete spreading stained agent that contain acid and metallic-ion in matrix that have cement ingredient on the surface is available.

  • PDF

효율적인 화상회의 동영상 압축을 위한 블록기반 얼굴 검출 방식 (A block-based face detection algorithm for the efficient video coding of a videophone)

  • 김기주;방경구;문정미;김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C호
    • /
    • pp.1258-1268
    • /
    • 2004
  • 비디오화상회의 시스템을 위하여 동영상 압축 DCT 계수와 피부색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정연 얼굴 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동영상 압축과정 중에 얻어지는 DCT계수 값의 U 와 V 색상정보로 피부색 범위를 추출하며 잡음성분제거를 위해 형태학적필터와 Labeling을 적용하고 피부색블록의 방향성과 평탄도를 고려하여 검출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은, 배경에 피부색과 유사한 객체가 있는 경우와 배경이 단순한 경우에 대 해 적응적으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러 인종에 대한 모의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약 94% 의 검출 성공률을 보였다.

Extraction of figures and characters with the aid of color discrimination

  • Sakai, Y.;Kitazawa, M.;Kuo, Y.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10th (KACC); Seoul, Korea; 23-25 Oct. 1995
    • /
    • pp.303-306
    • /
    • 1995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extraction of figures and characters from their background using the knowledge of color. At each pixel of the image on the CRT sent from a video camera, RGB values are transformed into the values in another color system, HSI, where "H" denotes hue;"S" denotes saturation;"I" denotes intensity. Representing color in HSI color space is advantageous, since a human feels color mainly in hue with the aid of brightness and purity. Comparing HSI data thus obtained with the masked original image detects noise-free edges included in the orginal image. Then setting a set of HSI thresholds and changing it identifies the portion of image of the same color. This color information is used in recongnizing characters and figures as an auxiliary system of a hierachical figure categorization method for characters and figures recognition.cters and figures recognition.

  • PDF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와 배경 색상 차단 능력의 평가 (OPACITY AND MASHING EFFECT OF THE OPAQUE SHADE COMPOSITE RESINS)

  • 박수정;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56-3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와 배경색 차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24개의 배경 시편 (직경 5.5 mm, 두께 3 mm)을 Tescera ATL Root dentin Mustard로 제작하고 배경판 레진 상에 7종의 opaque shade 복합레진 (Universal composite, Filtek Z350, Charisma, Clearfil ST, Palpaque Estelite, Esthet-X, Metafil Flo)과 통상적인 복합레진인 Estelite Sigma를 3.0 mm 적층 수복하였다. 적층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표면 색상을 측정한 후, 적층한 두께가 0.5 mm가 될 때까지 0.3 mm 간격으로 적층된 면을 연마하면서 각 두께에서의 표면 색상을 측정하였다. 연마 후 각 두께에서 측정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표면 색상과 적층 전의 배경판 색상, 그리고 연마전의 표면 색상 간의 색차를 계산하여 두께에 따른 배경색 차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1 mm 두께의 시편을 제작하고 opacity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는 Clearfil ST, Metafil Flo, Filtek Z350, Palpaque Estelite, Universal composite, Charisma, Esthet-X 순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두께의 감소에 따라 $L^*$ 값은 감소하는 양상을, $a^*$ 값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마 전 표면 색상과 연마 후 각 두께에서의 색차 (${\Delta}E^*$)는 Clearfil ST 군은 모든 군에서, Metafil Flo 군은 1.0 mm 이상에서 3 이하의 색차를 보였다. 배경 색상에 대한 각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색차는 모든 두께에서 10 이상의 색차를 보였으며, Clearfil ST와 Metafil Flo가 가장 큰 색차를 보였다 (p < 0.05). 현재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opaque shade 복합레진들은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opacity와 색상을 가진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에 있어 적용하고자 하는 병소의 특성에 따라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와 색상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실내색채팔레트에 대한 의미평가의 문화집단별 비교연구 (Cross-Cultural Study on the Meaning Evaluation and Preference in Color Palettes)

  • 박영순;윤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5호
    • /
    • pp.53-5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eople's evaluation and preference on color palettes differ based on their 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used the same color palettes developed by Youngsoon Park and Denise Guerin(1992). Fourteen representative adjectives are used to analyze the meaning evaluation and preference on the six color palletes. 425 undergraduate students are se-lected from Korea, Japan, U.S. and England and ques-tionnaire was used as survey instru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countries in the meaning evaluation and preferences on the color palet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alettes influence the differences among the countries. The differences among the countries decrease in case of color palettes composed of warm color with low or medium value difference and chroma difference, while the differences increase in case of color palette characterized by strong color contrast with high or medi-um value difference and chroma difference. The result of color meaning evalu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Western and Eastern culture. Korea and U.S., and Japan and 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st words and Korea and Japan showed similarities in the most word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race, region and history in-fluence the color meaning evaluation and preference. Fur-ther study shoul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ulture using more various color instruments such as color palettes in order to categorize the various aspects of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