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fill material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7초

지진동을 받는 안벽 구조물의 내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Quay Walls during Earthquakes)

  • 김성렬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112-119
    • /
    • 2000
  • the shaking table tests for 5 different model section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s of quay walls during earthquakes an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quay walls with countermeasures. 5 different model sections describe the cases of dense soil and loose soil in the foundation repectively the case to which gravel backfill was applied and the cases to which light material replacement method and sand compction pile method was applied repectively for sesmic countermeasure methods. Pore water pressures accelerations and deformations in quay walls and grounds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softening of foundation and backfill soils have much influence on the behaviors of quay walls. Also light material replacement method and sand compaction pile method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quay walls.

  • PDF

유수지 준설매립토의 적정량 산출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Dredged Soil from Detention Basin)

  • 신은철;오영인;이규홍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1-388
    • /
    • 1999
  • Several large scale reclamation projects are being underway along the coastal line in Korea. Therefore the large quantity of economical backfill material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dredged soil. In this study, the amount of volume reduction of dredged soil from detention basin was evaluat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s. The percentage of soil particles in dredged organic soil is about 12.5∼21.9% by weight. The content of heavy metal and environmental effect for dredged soil itself and solidified dredged soil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far below than those of environmental requirement.

  • PDF

섬유혼합 보강토의 전단강도특성 및 마찰특성 연구 (A Study on Shear strength and Friction Properties of Fiber-Mixed Soil as Backfill Material in Reinforced Earth Wall)

  • 조삼덕;김진만;안주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1-658
    • /
    • 2002
  •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y a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hear strength and friction properties of fiber-mixed soil as backfill material in reinforced earth wall.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shear strength the big-size direct shear tests are carried out and on the friction properties, the shear friction tests and the pull-out tests are performed. In the results, when the mixed ratio of the net type fiber is 0.2%, the reinforcement effect was better than the others. Also the reinforcement effect of the net type fiber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ine type fiber.

  • PDF

Hydraulic Conductivity of Bentonite-Sand Mixture for a Potential Backfill Material for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Cho, Won-Jin;Lee, Jae-Owan;Kang, Chul-Hy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495-503
    • /
    • 2000
  •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in the bentonite-sand mixtures with high density were measured, and the effects of sand content and dry density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the bentonite-sand mixtures with a dry density of 1.6 Mg/㎥ and 1.8 Mg/㎥ are less than 10$^{-11}$ m/s when the sand content is not higher than 70 wt%. However at the sand content of 90 wt%,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s rapidly At the same dry density, the logarithm of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s linearly with increasing sand content.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bentonite-sand mixture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effective clay dry density, and using this concept,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for the mixtures with various sand contents and dry densities can be estimated.

  • PDF

열저항 특성을 고려한 지중송전관로 되메움재의 최적화(I) (Optimization of the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considering Therm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I))

  • 김유성;조대성;박영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3-121
    • /
    • 2011
  • 지중송전관로의 되메움재로는 보통 강모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모래의 열저항률은 습윤시 $150^{\circ}C$-cm/Watt 정도이고 건조시에는 이보다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연구의 최종목표는 함수비 변화에 따라 열저항률의 변화가 작은 재료(습윤시 열저항률 $50^{\circ}C$-cm/Watt, 건조시 열저항률 $100^{\circ}C$-cm/Watt를 목표로 함)의 개발이나, 이 연구에서는 강모래를 포함한 각종 되메움재 후보군에 대하여 함수비, 건조단위중량, 입도분포 등의 차이에 따른 열저항 특성을 탐침법에 의해 조사하고, 시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열저항 특성은 단위중량의 변화, 건조상태의 경우 최적함수비의 상태를 그대로 대기 중에 건조시킨 경우와 최초의 건조 상태에서의 열저항률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밀도가 되도록 입도분포가 개선된 혼합재료는 원재료에 비해 열저항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교대 뒤채움재료의 시멘트 혼합 비율에 따른 강도 및 침하특성 분석 (Analysis of Settlemen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of Cement Mixing Ratio for a Backfill Material at a Railway Abutment)

  • 양상범;최찬용;김낙경;김태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9호
    • /
    • pp.29-36
    • /
    • 2016
  • 국내 철도교대 뒤채움재의 구조는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 일반 골재, 토사로 되어 있다.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는 강도 증진효과로 인해 내부마찰각이 $40^{\circ}$이상 증가 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교대설계 시 경험치인 $30{\sim}35^{\circ}$의 내부마찰각을 적용한다. 이는 과다설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물성치 값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원형모형 실험과 CBR 실험을 통해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시멘트 혼합 비율에 따른 강도 및 침하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침하율은 반복재하 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양생함에 따라 침하량이 감소하였다. 재령 28일 기준으로 일반골재 대비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CBR 증가율은 13~16배 증가하였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른 판넬식 옹벽의 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Numerical Approach to Evaluate the Behavior of Concrete Panel Considering Construction Method)

  • 강준희;반호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17-23
    • /
    • 2022
  • 본 논문은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으로 시공된 프리캐스트 판넬식 옹벽의 안전율 변화를 PLAXIS 2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치해석하였다. 수치해석 조건은 시공방식, 네일 및 판넬의 고정방법, 뒤채움재 다짐상태, 강우조건 등이 있다.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의 차이점은 뒤채움재의 유무와 지반굴착의 방식으로, Top-down 방식은 지반을 수직으로 굴착한 뒤 시공하나 Bottom-up 방식은 지반을 경사를 주어 굴착한 뒤 모르타르 및 뒤채움재를 이용하여 판넬을 부착한다. 수치해석 결과 Top-down 방식은 Bottom-up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우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더 높은 안전률을 확보하였다. Top-down 방식의 우기 시 안전율 저하는 Top-down 방식으로 시공 시 프리캐스트 판넬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한 모르타르가 주된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매립된 석탄 혼합회의 성토재 및 뒤채움재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Pond Ash as Embankment and Backfill Material)

  • 김대현;기완서;김선학
    • 지질공학
    • /
    • 제20권3호
    • /
    • pp.297-310
    • /
    • 2010
  • 본 연구는 태안화력본부 회사장에 비회와 저회가 혼합되어 매립된 혼합회를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상 혼합회의 물리적 시험 및 역학적 시험을 실시하여 도로성토용 재료 및 구조물 뒤채움용 재료로 활용가능한지 판단하고자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비중, 최대 최소밀도, 액 소성, 입도분석, XRD, 강열감량시험을 통해 물리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투수, 다짐, CBR,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혼합회의 실험결과 비중은 2.18~2.20, 건조밀도는 $9.38{\sim}13.32\;kN/m^3$, 수정 CBR은 16.5~21%, 투수계수는 $1.32{\times}10^{-4}{\sim}1.89{\times}10^{-4}cm/sec$, 배수마찰각은 $36.43{\sim}41.39^{\circ}$로 나타났다. 물리 역학적 실험결과를 토대로 도로성토용 재료와 구조물 뒤채움용 재료로써의 품질기준과 비교해 본 결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비회의 함유율이 높은 혼합회는 일부 품질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도로성토용 재료와 구조물 뒤채움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저회와의 배합을 통한 품질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굴패각, 석탄회 및 굴착잔토를 이용한 무다짐 처리공법용 뒷채움재 개발 (Development of Flowable Backfill Material Using Waste Oyster Shell, Coal Ash, and Surplus Soil)

  • 김민진;왕설;이재주;이상호;김성배;김창준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423-429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폐자원인 굴패각과 석탄회, 굴착잔토를 이용하여 경제성 있는 무다짐용 유동성 뒷채움재를 개발하는데 있다. 굴패각을 생석회(CaO)로 전환하는데 고온($800^{\circ}C$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였지만, 생석회와 석탄회의 포즐란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고화물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는 높지 않았다. 생석회와 고령토 또는 고로슬래그의 반응 생성물 공시체의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포즐란 반응을 통한 고화물 생성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굴패각($CaCO_3$)과 석탄회를 잔골재 개념으로 그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굴패각과 시멘트 혼합물이 석탄회와 시멘트 혼합물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굴패각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혼입되는 굴패각 양을 제한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시멘트, 굴패각, 석탄회 혼합물이 좋은 뒷채움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가적으로 흙을 첨가하는 경우 고화물의 일축압축강도가 감소하였지만 최적화된 혼합비에서 뒷채움재 기준(일축압축강도와 유동성)을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멘트, 굴패각, 석탄회, 굴착잔토의 배합비를 최적화함으로써 경제성 있는 뒷채움재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ntegral Abutment Bridge behavior under uncertain thermal and time-dependent load

  • Kim, WooSeok;Laman, Jeffrey 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6권1호
    • /
    • pp.53-73
    • /
    • 2013
  • Predi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integral abutment bridge (IAB) load effect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uncertainties as it relates to thermal loading, time-dependent effects, bridge material properties and soil properties. In addition, complex inelastic and hysteretic behavior must be considered over an extended, 75-year bridge life. The present study establishes IAB displacement and internal force statistics based on available material property and soil property statistical models and Monte Carlo simulations. Numerical models within the simulation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75-year bridge displacements and internal forces based on 2D numerical models that were calibrated against four field monitored IABs. The considered input uncertainties include both resistance and load variables. Material variables are: (1) concrete elastic modulus; (2) backfill stiffness; and (3) lateral pile soil stiffness. Thermal, time dependent, and soil loading variables are: (1) superstructure temperature fluctuation; (2) superstructure concret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3) superstructure temperature gradient; (4) concrete creep and shrinkage; (5) bridge construction timeline; and (6) backfill pressure on backwall and abutment. IAB displacement and internal force statistics were established for: (1) bridge axial force; (2) bridge bending moment; (3) pile lateral force; (4) pile moment; (5) pile head/abutment displacement; (6) compressive stress at the top fiber at the mid-span of the exterior span; and (7) tensile stress at the bottom fiber at the mid-span of the exterior span. These established IAB displacement and internal force statistics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liability-based design criteria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