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cross hybri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바다송사리 Oryzias dancena와 자바송사리 Oryzias javanicus 간 잡종 유도 (Hybridization betwee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and Javanese Medaka Oryzias javanicus)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62-473
    • /
    • 2010
  • Inductions of hybrids and reciprocal hybrids between Oryzias dancena and O. javanicus (ODJ and OJD) were conducted and backcross hybrids between female O. dancena and male ODJ were also produced for biological and cytogenetic analysis. Embryonic development of ODJ and OJ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ir parents. Developmental time was fastest in O. dancena and ODJ, followed by O. javanicus and OJD. Oryzias dancena hatched 11 days (d) after fertilization, ODJ at 13 d, O. javanicus at 14 d and OJD at 15 d. The abnormality of external morphology rate in ODJ was 10.6%; however, OJD showed a high degree of abnormality, over 90%. The proportion of males was 90.0% and 31.3% for ODJ and OJD, respectively. Cyt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genetic identification of O. dancena, O. javanicus and their hybrids. The karyotypes of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2n=48 chromosomes and the fundamental number (FN) was 48. The first pair carried secondary constrictions near the centromeric regions. Erythrocyte area and volume were $9.8\;{\pm}\;0.5\;{\mu}m^2$ and $18.2\;{\pm}\;1.0\;{\mu}m^3$, respectively, for O. dancena, $8.3\;{\pm}\;0.5\;{\mu}m^2$ and $15.8\;{\pm}\;1.5\;{\mu}m^3$ in O. javanicus, and $18.3\;{\pm}\;0.5\;{\mu}m^2$ and $15.7\;{\pm}\;1.3\;{\mu}m^3$ in ODJ. Erythrocyte area and volume in ODJ were similar to those of O. javanicus. In backcross hybrids between female O. dancena and male ODJ, all embryos failed to develop and died in the late gastrula stage.

The gene encoding guanidinoacetate methyltransferase (GAMT) maps to mouse chromosome 10 near the locus of hesitant mutation affecting male fertility

  • Chae, Young-Jin;Chung, Chan-Ee;Kim, Byung-Jin;Lee, Mun-Han;Lee, Hang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0-51
    • /
    • 1998
  • guanidinoacetate methyltransferase (GAMT) catalyzes the last step of creatine biosynthesis in mammals. Creat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energy metabolism in variety of tissues including brain and male reproductive tract. Congenital deficiency of the enzyme leads to a neurologic disorder in humans. We used an interspecific backcross DNA panel to map Gamt to the central region of mouse Chromosome (Chr) 10 near the locus of hesitant mutation affecting male fertility. We assigned the human GAMT gene to Chr 19 by PCR analysis of a human/rodent somatic hybrid cell line DNA panel, and further localized the human gene to Chr 19 at band p13.3 by PCR analysis of a human radiation hybrid DNA panel. Human chr 19p13.3 is homologous to the central part of mouse Chr 10 where mouse Gamt is located. Furthermore, this part of mouse Chr 10 contains mutant loci the phenotype of which is similar to the GAMT deficiency in human.

  • PDF

백합 근연수분 및 종간 교잡종 F1 여교잡시 종자형성 (Seed Set in Close Pollination and Backcross of Interspecific F1 of Lilium spp.)

  • 이지용;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53-357
    • /
    • 2003
  • 근연수분인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은 9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1개였다 화주절단수분시에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22개로 적었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11개를 얻었다. 그러나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4개로 주두수분에 비해 11%밖에 미치지 못했다. (L. longiflorum 'Raizan'${\times}$L. ${\times}$formolongi 'Como')의 경우 주두수분은 종자형성 삭과율이 40%이고 삭과당 종자수가 14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 ${\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여교잡에서 화주절단수분된 15개체 중에서 9개의 성숙삭과를 얻어 삭과 형성율은 60%,배형성 삭과수는 53%,삭과당 평균배수는 14개였다. 그러나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times}$L. longiflorum 'Lorina']와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L. longiflorum 'Lorina'Lorina'L. Asiatic hyhbrid 'Corsica') ${\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경우도 수분된 15개체 중에서 삭과 형성률은 80.0%,배형성 삭과수는 67%,삭과당 평균배수는 11개였다. 하지만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times}$L. longiflorum 'Lorina']와 나팔백합에 종간잡종을 교잡한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

자발적 생식세포 염색체 배수화 기작에 의한 Oriental-Asiatic hybrid(OA) F1 종간잡종의 임성회복과 후대검정 (Fertility Restoration of F1 OA Interspecific Hybrid by Spontaneous Meiotic Polyploidization and Analysis of Their Progenies)

  • 정미영;정재동;;임기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3-219
    • /
    • 2009
  •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OA hybrid 중 자발적으로 생식세포 염색체가 배수화된 계통을 이용하여 후대 획득과 후대검정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경우 화분의 채취시기에 따른 생존율과 발아율은 10월에 비해 6월이, 생존율은 n성 화분이, 발아율은 2n성 화분이 높았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와 2배체 또는 4배체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간 교배시 모본과 부본을 달리함에 따라 후대 획득 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OA hybrid를 부본으로 이용했을 때, 상대친을 Asiatic hybrid로 교배했을 때 후대획득이 용이하였다. 즉 A$\times$OA교배에서 후대 획득률이 0.64개체로 O$\times$OA교배에서의 후대 획득률 0.42개체보다 높았으며, OA$\times$A간 교배에서 후대 획득률이 0.40개체인 반면 OA$\times$O교배에서는 전혀 후대획득이 불가능하거나 극히 낮아 후대획득이 어려웠으며, 아울러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후대생산을 위한 상대친으로 4배체보다는 2배체가 효과적이었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와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간 정역교배 결과, OA hybrid를 부본으로 교배했을 때, 상대친으로 Asiatic hybrid을 교배했을 때 후대획득이 용이하였다. 자발적인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의 여교잡 후대의 ploidy level의 측정결과, OA$\times$A교배에서는 3배체, AA$\times$OA, OO$\times$OA교배에서는 4배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O$\times$OA교배에서는 2배체, A$\times$OA교배에서는 2배체 또는 3배체로 확인되었다.

침엽수(針葉樹) 우량교잡종(優良交雜種)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Hybrid Pine)

  • 안건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2-114
    • /
    • 1976
  • 소나무속(屬) Diploxylon아속(亞屬)의 종간잡종(種間雜種)인 일대잡종(一代雜種) ${\times}$ P. rigitaeda와 여교잡종(戾交雜種)인 ${\times}$ P. rigida rigitaeda와 ${\times}$ P. rigitaeda rigida, ${\times}$ P. rigitaeda의 $F_2$ 및 자연잡종(自然雜種)인 ${\times}$ P. rigitaeda Wind등(等)의 임성종자확득율(稔性種子穫得率)을 기준(基準)으로 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과 분류학상(分類學上)의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검토(檢討)하는 동시(同時)에 조림지(造林地)에 있어서의 생장비교(生長比較), 침엽(針葉)의 해부형태비교(解剖形態比較), phenol성(性) 물질(物質)에 의(依)한 특성비교(特性比較) 및 isoperoxidase의 변이비교등(變異比較等)을 구명(究明)하여 금후계획적조림(今後計劃的造林)에 공헌(貢獻)할 잡종채종림조성(雜種採種林造成) 여부(與否)와 우량잡종간(優良雜種間) 및 기량친종간(其兩親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분별(分別)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각공시수종(各供試樹種)을 Shaw, Pilger 및 Duffield등(等)의 분류식(分類式)에 준(準)하여 각조합별(各組合別) 임성종자확득율(稔性種子穫得率)을 기준(基準)으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과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검토(檢討)한바 각조합(各組合)의 양친종간(兩親種間)에는 상당(相當)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이 있었고, 근연간(近緣間)임을 알 수 있었으며, 각조합별(各組合別) 최고임성종자확득율(最高稔性種子穫得率)은 67~87%이었다. 2. 각조림지(各造林地)에서의 수고(樹高) 및 근시경(根元徑) 생장비교(生長比較)에서 수종간(樹種間)에 1~5% 수준(水準)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므로 재적비(材積比)에서도 P. rigida 보다 28~80%의 보다 월등(越等)한 생장(生長)을 보여 조림상(造林上) 유용성(有用性) 가치(價値)가 있는 우수잡종(優秀雜種)으로 기대(期待)되며, ${\times}$ P. rigitaeda를 제외(除外)한 잡종송(雜種松)은 내한성(耐寒性)에 있어서 P. rigida의 형질(形質)을 받어 전연(全然) 동해(凍害)를 받지 않았으므로 내한력(耐寒力)이 강(强)함을 알 수 있었다. 3. 침엽(針葉)의 해부형태(解剖形態)에 있어서 제형질중(諸形質中) 일부(一部) 예외(例外)도 있었으나 각잡종송(各雜種松)은 대부분(大部分)이 hypoderm에서 biform이었고, resin canal에서는 중위(中位)를 나타냈으며, fibrovascular bundle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이 양친종(兩親種)의 중간형질(中問形質)을 나타냈으므로 각잡종(各雜種)과 그 양친종간(兩親種間)의 식별(識別)은 어느정도(程度) 가능(可能)함을 보았다. 4. Phenol성물질(性物賢)에 의(依)한 특성비교(特性比較)에서 각공시잡종(各供試雜種)이 P. rigida와 공(共)히 Rf値 0.66인 phenol물질(物質) 7번(番)이 담황색(淡黃色)으로 반응(反應)되었으나 P. taeda에는 반응(反應)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양친종간(兩親種間)에는 현저(願著)한 식별(識別)을 할 수 있었다. 5. 과산화(過酸化) 동위효소형(同位酵素型)의 변이(變異)는 각공시수종(各供試樹種)에 출현(出現)된 band의 수(數)와 위치(位置) 및 활성도(活性度)의 차이(差異)가 상이(相異)하므로 어느정도(程度)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Genetic analysis of clubroot resistance in Chinese cabbage using single spore isolate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nd development of RAPD marker linked to its resistance gene

  • Cho, Kwang-Soo;Hong, Su-Young;Han, Young-Han;Yoon, Bong-Kyeong;Ryu, Seoung-Ryeol;Woo, Jong-Gyu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01-106
    • /
    • 2008
  • To identify inheritance of clubroot disease resistance genes in Chinese cabbage, seedling tests of $BC_1P_1,\;BC_1P_2$, and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F_1$ hybrid(var. CR Saerona) using single spore isolate(race 4 identified with William's differential host) from Plasmodiophora brassciae were conducted. Resistance(R) and susceptible(S) plants segregated to 1:0 in backcross to the resistant parent. The $F_2$ population segregated in a 3(R):1(S) ratio.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resistance of clubroot disease i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to the race 4 of P. brassicae in CR Saerona. To develop DNA markers linked to clubroot resistance genes, 185 plants of CR Saerona among $F_2$ populations were used. A total of 300 arbitrary decamer was applied to $F_2$ population using BSARAPD(Bulked segregant analysis-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One RAPD marker linked to clubroot resistance gene in CR Saerona($OPJ_{1100}$) was identified. This marker was 3.1 cM in distance from resistance gene in $F_2$ population. This marker may be useful for a marker-assisted selection(MAS) and gene pyramiding of the clubroot disease resistant gene in Chinese cabbage breeding programs.

  • PDF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종간 교잡과 접합후 생식격리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and Postzygotic Reproductive Isolation)

  • 정진교;박창규;문중경;김은영;조점래;서보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5-311
    • /
    • 2019
  •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양질 다수성 일대잡종 벼 육성 연구 I. 우리나라 품종 배경의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 및 임성회복 계통 육성 (Breeding Hybrid Rice 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 I. Breeding of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e and Restorer Lines with Backgrounds of Korean Rice Varieties)

  • 서학수;송유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13-417
    • /
    • 1993
  • 우리나라 japonica 벼의 일대잡종을 다양하게 육성할 목적으로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인 BTCMS에 대한 임성회복력이 있는 계통 AR-3을 교잡하여 그 F1을 모본으로 하고 조ㆍ중ㆍ만생의 한국 japonica형 벼 4품종씩을 교본 반복친으로 5회 backcross하여 우리나라 벼 품종 배경의 우엉불임 계통과 임성회복계통을 육성하고 이들의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각각의 반복친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japonica형 품종의 배경을 갖는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을 조ㆍ중ㆍ만생군으로 각각 4개씩 도합 12계통 육성하였으며, 동일한 품종의 배경을 갖는 임성회복계통친도 조ㆍ중ㆍ만생군으로 각각 4개씩 12계통 육성하였다. 2. 육성된 웅성불임계통은 조중군에서 소백벼 A, 오대벼,A, 관악벼A, 대성벼A, 중생군에서 화진벼A, 팔달A, 수원 224A, 이리 386A, 만생군에서 낙동벼A, 팔굉A, 화청벼A 및 밀양 97A 등으로 명명하였다. 3. 육성된 임성회복계통은 조생군에서 소백벼R, 오대벼R, 팔달R, 수원 224R, 이리 386R, 만생군에서 낙동벼R, 팔굉R, 화청벼R 및 밀양 97R 등으로 명명하였다. 4. 육성된 웅성불임계통들은 반복친(불임유지친)에 비하여 간장이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나 출수기, 수장 및 수량구성요소 등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5. 육성된 임성회복계통들은 반복친과 비교하면 대체로 간장, 수장,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차이가 없었다.

  • PDF

수박 탄저병 Race 3 저항성 중만생종 수박 '한빛' 육성 (Breeding of a Mid-Late Maturing Watermelon Cultivar, 'Hanbit' with Resistant to Anthracnose Race 3)

  • 허윤찬;홍규현;고호철;박경섭;박동금;이중섭;조명철;이석영;고관달;이우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9-702
    • /
    • 2010
  • 탄저병 저항성 수박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계통인 'AU-Producer'를 선발하여 탄저병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교배하여 $F_1$세대를 작성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BC_3F_1$세대를 진전하였고 중만생종인 '920532'를 반복친으로 추가하여 1997년$BC_4F_1$세대를 작성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최종 선발한 'WCR8-2C-3K'를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한빛'으로 명명하였다. '한빛'은 수박 탄저병 race 1과 3에 저항성인 중만생종으로 식물체 생장형은 덩굴성이며 덩굴길이는 중간정도이다. 평균과중은 5.4~9.1 kg 범위로 중대과종이며, 평균과피 두께는 1.2~1.5 cm로 시판품종 등과 유사하였다. 과피는 녹색이며 과피의 줄무늬는 중간정도이다. 과육색은 적색이며 당도는 10.4~$11.2^{\circ}Bx$ 범위로 과실의 품질을 비롯한 원예적 특성은 대비 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박 탄저병 저항성 계통 '한빛'은 탄저병 저항성 및 품질개량을 위한 품종재료로 이용하거나, 노지 및 시설재배 품종으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배시 탄저병 방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