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contact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4초

열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의 초음파 비선형 특성 평가 (Evaluation of Ultrasonic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Heat-Treated Aluminum Alloy)

  • 김종범;전청;장경영;김정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3-19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의 초음파 비선형 특성을 평가하였다. 초음파의 비선형성은 재료를 전파한 초음파의 2차고조파와 기본주파수 성분의 진폭비에 의존하는 비선형 파라미터 ${\beta}$로 측정하였다. 비선형 파라미터 ${\beta}$의 측정은 접촉식 탐촉자를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시편저면에서 반사된 신호로부터 구하였다. 열처리(시효)는 $300^{\circ}C$에서 1시간부터 50시간까지 다양한 유지시간동안 수행하였다. 인장시험으로부터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구하고 비선형 파라미터와 비교하였다. 비선형 파라미터 ${\beta}$는 시효시간 5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내고 이후는 감소하였다. 이는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선형 파라미터가 피크를 나타낸 열처리 시간과 인장곡선에서 최대변화가 나타난 열처리 시간이 일치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알루미늄합금의 시효처리로 인한 강도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초음파의 비선형성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탄성 의치상 이장재의 표면 특성 및 적합도에 관한 비교 실험 연구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FITTNESS OF THE RESILIENT DENTURE LINES)

  • 이수백;윤창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7-154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fittness of the resilienct denture lines. Firstly, 50 samples ($2.0{\times}4.0{\times}0.3cm$) of 4 resilient lining materials (Molloplast B, Coe Super Soft, Mollosil, Coe Soft) and one conventional acrylic resin (K-33) were processed according to manufacture's direction and examine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by use of surface profilomet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condly, 50 identical maxillary casts were made and 50 denture bases were pro cessed of 4 resilient liners and one conventional acrylic resin and they were stored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bath of 1 day,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and 6 weeks after processing. The original casts were cut away 1 cm from the posterior border, the dentures were seated, and the existing space was measured at seven regions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by use of the modified thickness gu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rface roughness (Rz) were $4.00{\pm}1.60{\mu}m$ in Mollosil, $4.47{\pm}2.21{\mu}m$ in Molloplast B, $7.46{\pm}1.70{\mu}m$ in Coe Super Soft, $12.70{\pm}2.39{\mu}m$ in Coe Soft and $13.03{\pm}2.74{\mu}m$ in K-33. 2. The generation of porosity was far more active in cold-cured resilient liners (Coe Soft and Mollosil) than in heat cured resilient liners (Molloplast B, and Coe Super Soft) and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K-33). 3. Denture bases showed the greatest discrepancy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sterior palatal border and the intimate contact in the buccal flange regardless of denture base materials. 4. When the denture bases were stored in the water for 1 day and 6 weeks after processing, the sum of average discrepancies in the seven regions of the denture base was the greatest in K-33 followed by Molloplast B, Mollosil, Coe Soft and Coe Super Soft but followed by Coe Soft, Molloplast B, Mollosil, Coe Super Soft in that order respectively. 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Coe Super Soft, K-33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Molloplast B, Mollosil, Coe Soft at the amount of dimensional changes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 PDF

말레인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케나프 섬유 복합체의 물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PP)/Kenaf Fiber (KF) Composites)

  • 구선교;김유신;홍영은;김동원;김기성;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8권1호
    • /
    • pp.73-79
    • /
    • 2017
  •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190^{\circ}C$에서 말레인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MAH)과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 SM)의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MAH와 SM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g-MAH-SM)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PP-g-MAH-SM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율은 비수용성 역적정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MAH 함량에서 SM이 사용된 경우 높은 그래프트율을 나타내었다. 그래프트율에 따른 PP-g-MAH-SM/케나프섬유(kenaf fiber, KF) 복합체를 $200^{\circ}C$에서 제조하였고, KF의 함량은 20 wt%로 고정시켰다. 복합체에 대한 열중량분석기(TGA)의 분해온도에 따르면, MAH 만 적용된 PP-g-MAH 보다 MAH와 SM이 함께 적용된 PP-g-MAH-SM 복합체의 열안정성이 다소 우세하였다. 복합체의 기계적 강도 또한 MAH와 SM이 함께 적용된 경우에 개선정도가 우수하였다. 계면접착정도는 파단면의 SEM과 접촉각으로 확인하였다.

2002년 한국에서 발생한 돼지콜레라의 역학적 특성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02 outbreak of classical swine fever in Korea)

  • 박최규;송재영;위성환;이은섭;윤하정;문운경;최은진;남향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7-117
    • /
    • 2006
  • This paper described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02 outbreak of classical swine fever (CSF) in Korea. A total of thirteen CSF-infected farm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ime of outbreak. Two farms located in the same county of Gangwon province and 11 farms located in several different districts of Incheon metropolitan/Gyeonggi province were identified as CSF-infected from April 16 to 30 and from October 7 to December 21 in 2002,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epidemiological analysis, the two clusters of outbreaks were turned out to be independent epidemics which had different sources of virus introduction. Three farms were found to have been infected primarily; one located in Cheolwon county of Gangwon province and two located in Kangwha county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The most likely factors of virus introduction into these primary infected farms were considered to be direct or indirect contact by foreign workers and/or owners of the infected farms who had come back from traveling in China before outbreaks. This was supported by the genetic typing of CSF viruses isolated from the pigs of infected farms. All the virus isolates of 2002 outbreak were found to be genetic type 2, whereas the viruses isolated before 2000 were type 3 and the reference strains, such as attenuated live vaccine virus (LOM strain) and high virulent challenge virus (ALD strain), were type 1. Accordingly, we concluded that the 2002 CSF outbreak must have been caused by a newly introduced virus from overseas and the type 3 virus must have been eradicated after the last outbreak of 1999 by the national CSF eradication campaign which were implemented since 1996. Based on the combined analysis of epidemiological data and genetic typing, the transmission routes of classical swine fever virus were found to be the movement of vehicles (60%) and persons (10%), neighbourhood spread (20%) and unknown (10%).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zed data and findings of classical swine fever outbreak epidemic could be very useful to establish the disease control and eradication program for the country in the future.

ITO 투명전극의 $O_2$ 플라즈마 처리가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기.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Dependence of $O_2$ Plasma Treatment of ITO Electrode on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 공수철;백인재;유재혁;임현승;양신혁;신상배;신익섭;장지근;장호정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3-97
    • /
    • 2006
  •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PLEDs) are expected to be commercialized as next generation displays by advantages of the fast response time, low driving voltage and easy manufacturing process for large sized flexible display. Generally,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LEDs are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s of transparent electrode. The PLED devices with ITO/PEDOT:PSS/PVK/PFO-poss/LiF/Al structures were prepared by using the spin coating method. For this,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lnate)) Al 4083 and PVK(N-vinylcabozole) were used as hole injection and transport layers. The PFO-poss(poly(9,9-dioctylfluorene)) was used as the emitting layer. The dependence of $O_2$ plasma treatment of ITO electrode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LEDs were investigated. The sheet resistances increased slightly with an improved surface roughness of ITO electrode as the RF power increased during $O_2$ plasma treatment. The PLED devices prepared on the ITO/Glass substrates, which were plasma-treated at 40 watt in RF power for 30 seconds under 40 mtorr $O_2$ pressure, showed the maximum external emission efficiency of 0.86 lm/W and the maximum luminance of $250\;cd/m^2$, respectively. The CIE color coordinates are ranged $X\;=\;0.13{\sim}0.18$ and $Y\;=\;0.10{\sim}0.16$, showing blue color. emission.

기계적 하중 하에서 복합재료 시험편에 접착된 단결정 실리콘태양전지의 성능평가 (Photovolta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onded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on composite specimens under mechanical loading)

  • 김종천;최익현;김대현;정성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6-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문제로 인해 새로운 신재생에너지로 주목 받고 있는 태양전지를 대표적인 경량재료인 복합재료에 적용하기 위해 적절한 태양전지 접착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된 태양전지는 후면전극 태양전지로 에너지변환 실험실 효율이 약 24.2%인 태양전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실리콘계열 태양전지는 재료의 특성상 깨지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시경화 접착법 대신 접착제를 이용한 이차 접착법을 사용하였다. 접착재료는 태양전지의 충진재 및 접착제로 사용되고 있는 EVA film 과 프리프레그의 수지인 Resin film, 그리고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태양전지가 접착된 복합재료 시험편에 기계적 하중을 부가하여 접착제 종류별 태양전지의 성능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계적 하중 하에서 실시간으로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설계하여 접착재료별 파단 시점과 특성을 비교 평가 하였다. 파단면분석을 통해 태양전지 효율 감소원인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태양전지의 접착방법에 따라서 태양전지의 효율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탄성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방법이 가장 높은 태양전지 효율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의 전계 방출 특성 및 신뢰성 향상 (Improvement of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Stability from Metal-coated Carbon Nanotubes)

  • 우형수;박상식;김병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36-441
    • /
    • 2011
  • 각종 전자 방출원 및 디스플레이 응용 분야에서 뛰어난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탄소나노튜브의 전계 방출 특성을 개선하고 전자방출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수 nm 두께의 금속 코팅을 적용하였다. 탄소나노튜브는 실리콘 기판위에 2 nm 두께의 Invar (52% Fe, 42% Ni, 6% Co alloy) 촉매를 사용하여 $450^{\circ}C$의 온도에서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켰다.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밀도 제어를 위해 성장 후 질소 플라즈마로 일부를 식각한 후 티타늄(Ti) 금속을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5~150 nm 두께로 스퍼터링 증착하였다. 5 nm로 티타늄을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코팅한 경우, 코팅 전에 비해 6 V/${\mu}m$의 전계에서 전류밀도가 4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전계 방출 전류의 요동(fluctuation) 또한 40% 이상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티타늄의 일함수가 4.3 eV로 탄소나노튜브의 5 eV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기판과의 접착성과 접촉저항이 티타늄의 표면 코팅으로 인해 크게 개선된 결과로 판단된다.

Syringe Connector를 이용하여 조영제를 자동 주입장치에 연결 시 분쇄물 혼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ing of Pulverization Matters when the Contrast Medium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Injection Device using the Syringe Connector)

  • 김현주;김지은;한유빈;최승현;강윤기;정유진;정민영;이후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777-783
    • /
    • 2018
  • 고무화합물 형태로 구성된 조영제의 병에 Syringe Connector의 Spike를 연결 시 고무의 찢김 정도를 알아 보고 찢김 및 분쇄로 인한 합성고무의 혼입 유무와 분쇄된 합성고무가 검출 시 분쇄물의 크기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찢김 정도의 경우 Syringe Connector의 끝과 최초 접촉하는 앞면이 약 $3.14{\pm}0.04mm$로 뒷면 보다 많이 찢겼으며, 실험 대상인 10 병의 조영제에서 평균 7 개에서 15 개로 모두 분쇄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분쇄물을 이용하여 크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크기는 약 $7.89{\pm}0.31{\mu}m$이었다. 향 후 다양한 실험 및 분석방법을 통한 추가실험과 더불어 흡인된 분쇄물 차단을 위한 미세 필터타입 자동주입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며, 분쇄물 유입 시 치명적 사고를 대비하여 관련기관의 관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가민속문화재 일월수 다라니 주머니 금속 장식지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Decorative Metal Foil Used in Pouch for the Sutra Embroidered with a Sun and Moon Design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 박성희;박세린;서정훈;박종서;이량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4-132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민속문화재 일월수 다라니 주머니 매듭과 테두리 장식에 사용된 '금속 장식지'를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금속 장식지는 SEM-EDS 분석을 통해 은(Ag) 및 황(S)이 확인되어 은제 금속박을 배지에 부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황(S)은 농도와 접촉시간에 따라 은(Ag)을 황색부터 흑색까지 변색시킬 수 있다. 현재는 황색을 확인할 수 없으나, 은(Ag)으로 가금사를 만든 사례가 있어 본래 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배지는 배면까지 적갈색이다. 함께 검출된 알루미늄(Al)과 규소(Si), 철(Fe)은 전통 편금사(片金絲)의 붉은색 접착제로 추정되는 주토(朱土)의 주성분으로, 금속 장식지의 접착제 관련 성분으로 추측된다. GC/MS 분석 결과에서 접착제 성분은 아교(阿膠)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에서 나타나는 화산암편의 암석학적 특성과 기원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Volcaniclasts within the Massive Tuff Breccia Formation from Dokdo Island, Korea)

  • 심성호;임지현;장윤득;추창오;박병준;김정훈
    • 암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56
    • /
    • 2010
  •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의 다양한 화산암편에 대한 암석기재 및 지구화학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수중 독도 화산체의 특성과 그에 대한 기원 및 진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야외지질조사 및 주원소 분석결과 동, 서도 간의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은 다소 상이한 특성이 나타난다. 동도의 경우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은 해안 절벽을 따라 대략 40-50 m 고도까지 노출되어 있으며 암편으로는 현무암과 조면현무암이 우세하고, 조면암 및 스코리아 등도 상당부분 포함 되어 있다. 반면, 서도의 경우 어업민 숙소 부근의 조면안산암과 조면암맥에 암편이 포유되거나 물골 쪽에 소규모로 분포하는데 현무암, 조면현무암, 조면암의 비율이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분화구 위치에 따른 차이와 하부 조면암 용암이 분출할 당시의 해수면에 대한 지형적인 차이로 인해 각력암의 퇴적양상이 달라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미량원소 분석 결과에 의하면 동도 조면암편의 Ba와 Sr은 66-103 ppm, 45-56 ppm인 반면 서도 조면암편은 각각 785-1259 ppm, 466-1230 ppm을 보여 동, 서도의 차이가 인지된다. 이러한 차이는 동일층 내에서의 층위 차이 혹은 P, Ti의 함량 차이와 더불어 알칼리장석, 준장석류, 흑운모, 인회석 혹은 티탄철석의 정출이 차별적으로 진행된 암석학적 차이를 의미한다. 하지만 $(La/Yb)_N$값은 동도에서 23.9-40.2, 서도에서 27.4-32.9로 거의 같은 범위로 나타나고 LREE, HREE의 패턴으로 미루어 보아 동, 서도의 차이는 동원마그마 내의 부분적인 조성 차이임을 시사한다. Ba, K, Rb의 부화는 섭입시 변성교대작용에 의해서 발생한 유체와 맨틀 업웰링(mantle upwelling)에 기인한 마그마와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