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thuringens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위치지정 변이기법을 이용한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Stu 1의 육성 (Development of Bacillus thuringensis var. kurstaki NRD 6-Stu 1 by Site-Directed Mutagenesis)

  • 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1-48
    • /
    • 1993
  • 위치지정 변이기법을 이용하여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의 내독소 유전자의 N말단 독성부위를 변이시켜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NRD 6-Stu 1을 육종하였다. 내독소에 대한 염기서열 조사결과, 변이주의 내독소 유전자부위에 Stu 1 인식부위가 생성되었고 특히, 이부위의 177번 염기 A가 C로 치환된 silent mutation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변이주의 내독소 유전자의 항원성질은 친주와 차이가 없었고 Choristoneura femiferana-1에 대한 독성도는 0.015~0.030ng으로 친주의 0.01~0.024ng과 유사하였으나 다른 친주계열인 B.t.kurstaki NRD 5의 500~1000ng과 B.t.kurstaki NRD 4(무독성)보다 강하였다.

  • PDF

한국 양잠농가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Soils of Sericultural Farms in Korea.)

  • 김호산;이대원;박현우;유용만;김정일;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1
    • /
    • 1995
  • 토양에 존재하고 있는 새롭고, 특이한 활성을 갖는 B.t를 분리하기 위하여 춘잠 및 추잠기에 양잠농가의 토양을 채취하여 B.t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총 300개의 채취된 토양시료중에서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82개의 B.t를 분리했다. 분리된 B.t의 독성별 분석에서 봄에는 주로 나비목(Bombyx mori)에 독성을 띄는 균주(67%)가, 가을에는 나비목과 파리목(Culex pipiens)에 동시에 독성을 띄는 균주(67%)가 많이 분리되었다. 한편 딱정벌레목(Sitophilus oryzae)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찾지 못했다. 또한, 내독소 단백질은 생산하지만, 독성을 띄지 않는 균주들도 봄에는 6%, 가을에는 27%의 비율로 분리되어 자연상태에서 흔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유래 Vip3Aa 단백질 순수분리 및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평가 (Pur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Bacillus thuringiensis Vip3Aa protein against Apis mellifera)

  • 정영준;유수향;이중로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85-591
    • /
    • 2019
  • 본 연구는 LMO 유전산물의 위해성평가를 위해 바실러스로부터 증폭된 Vip3Aa 유전자를 이용하여 대장균에서 단백질 순수분리 하였으며, MALDI-TOP 분석법을 통해 기존의 알려진 살충성 Vip3Aa 단백질과 동등한 단백질임을 증명하였다. 순수 분리한 Vip3Aa 단백질을 이용하여 꿀벌 과독성 급성섭식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군, Hepes buffer, Vip3Aa 단백질 처리군 모두 치사 및 일반 중독증상을 보이는 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Vip3Aa 단백질은 꿀벌에 위해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LMO 유전자 산물 위해성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canadensis

  • Jung, Jae-Deuk;Park, Jung-Sun;Jo, Yung-Soo;Hong, Soon-Bok;Lee, Hyung-Hoan;Cho, Myu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290-295
    • /
    • 1994
  • 30 monoclonal antibodies (mAbs) were produced against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canadensis. Out of the these, 6 mAb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ies. SDS-PAGE analyses of sonicated antigens of 10 8. thuringiensis strains showed that they generally had both predominant protein antigens of molecular weights of 45 kilodalton (kd) except for shandogiensis and konkukian, and 37kd except for israelensis, tochigiensis, and shandogiensi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4kd and 37kd may be important for demonstrating common antigens except for a few strains of B. thuringiensis. In comparing the result of the westem blot using mAbs with that of using polyclonal antibodies to canadensis, we found that immunoreactive proteins of 99 and 39 kd were identified as common antigens, which might act as antigenic determinants, and might be surface or flagella antigens. Reactivities of mAbs with 41 strains of 8. thuringiensis demonstrated that mAbs of C-1, C-3, C-4, C-S and C-6 except C-2 did not recognize epitopes of thuringiensis, but that all of the mAbs recognized epitopes of galleriae, kurstaki, dakota, tolrJokuensis, silo, toguchini, and leesi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mAbs we produced would be useful tools for the clarification of taxonomy, investigation of antigenic relationship between B. thuringiensis strains, and localization of specific surface and flagella antigens.

  • PDF

천적포식어(Aplocheilus and Aphyocypris)와 미생물제제 Bacillus thuringiensis (H-14)의 병합처리에 의한 논에서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의 종합적방제 (Integrated Control of Vector Mosquitoes with Native Fishes (Aplocheilus and Aphyocypris) ad Bacillus thuringiensis(H-14) in Natural Rice Fields of Korea)

  • 유효석;김흥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7-174
    • /
    • 1989
  • 1998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간 질병매개모기 및 뇌염다발지역인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소재 약 $30,000M^2$의 자연수답을 선정, 이에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와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어송사리(Aplocheilus latipes) 및 왜몰개(Aphyocypris chinensis)방사와 미생물제제(Bacillus thuringensis H-14)를 병합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송사리가 0.6fish/{TEX}$M^{2}${/TEX}가 존재하는 논에서는 7월부터 8월까지 55.0~57.6%의 자연 방제가 이루어졌으며, 한 표본당 평균 10마리 이상으로 증가될 때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후 100%의 방제를 보였으며, 10월 11일 본 실험이 끝날 때까지 98%의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논에서는 수면 1{TEX}$M^{2}${/TEX} 당 1.5마리의 비율로 포식어(Aphyocypris)를 방사한 결과 9월 21일(방사후 2주)까지 88.2~96.7%의 만족할 만한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논에서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단독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의 방제율을 보였으나, 7일 후에는 개체군밀도의 회복현상을 나타내었으며 B.t.(H-14) 2차 처리후 모기유충의 개체군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