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p. S-1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4초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Phyt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subtilis)

  • 고현정;추인호;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46
    • /
    • 2006
  • 단위 동물의 사료 내 phytate 인의 효율적 이용으로 배출되는 인의 양을 줄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phytate의 분해활성이 뛰어난 phytase 효소 분비 미생물을 탐색하기 위하며 우분으로부터 phytate 분해활성이 뛰어난 phyt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를 동정한 결과, API 50 CHB test에 의해 B. circulans로 분류되었고, 16S rRNA sequencing 결과, B. subtilis로 동정되어 Bacillus sp. CF 5-26으로 명명하였다.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배지 조성은 10% rice bran extract, 0.1%, whey protein powder, $0.01%\;CaCl_{2},\;0.01%\;KH_{2}PO_4$ 이었다. Bacillus sp. CF 5-26이 생산하는 phytase는 ethanol 침전, Sephadex G-100, CM Sepharose CL-6B, Sephacryl S-100-HR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도 20.3배, 수율 5.6% 정제되었고, SDS-PAGE에서 분자량 66 kDa의 단일 band를 확인하였다. 정제된 phytase는 pH 5.0, 7.0, 11.0에서 안정하였으며, $10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50%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기질 특이성은 inositol polyphosphate인 sodium phytate 분해활성이 뛰어났으며, tripolyphosphate와 pyrophosphate에도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p. CF 5-26이 생산하는 phytase의 sodium phytate에 대한 Km은 0.64 mM 이었고, Vmax는 $4.41{\mu}mol/min$ 이었다.

Pseudomonas sp. $\beta$-1,4-Glucosidase 유전자의 Esherichia coli와 Bacillus subtilis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beta$-l,4-Glucosidase Gene from Pseudomonas sp. in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 김양우;전성식;김석재;정영철;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118
    • /
    • 1993
  • Fro the purpose of producing glouse from cellobiose or oligo saccharide and obtaining genetic information of beta-1,4-glucosidase gene, alpha beta-1,4-glucosidase gene of Pseudomonas sp. LBC505, potent cellulase complex and xylanase producing strain, was cloned in Es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into pUC19 and pBD64, respectively. Recombinant plasmid pGL1 contained 1.2kb EcoRI fragment was isolated from transformants forming blue color around colony on LB agar plate containing 20 ng/ml of 5-bromo-4-chloro-3-indolyl-beta-D-glucopyranoside(X-glu) and ampicillin.

  • PDF

Bacillus와 내생포자 발아가 유기물 제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acillus and Endospore Germinations on Organic Matter Removal)

  • 남지현;배우근;이동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9-175
    • /
    • 2007
  • B3(Bio Best Bacillus)와 RABC(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공법은 Bacillus를 이용하여 유기물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폐수처리 시설에 이용되고 있는 Bacillus의 유기물 제거에 대한 미생물학적인 특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성슬러지에서 보고되는 균주 Burkholderia cepacia(KCTC 2966)를 대조균으로 하고 Bacillus megaterium(KCTC 3007), Paenibacillus polymyxa(KCTC 3627) 균주와 B3 공법의 분뇨처리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4개 균주 Bacillus sp.(A12, C21, F12, L1)를 선정하여 0.2% Nutrient Broth, $30^{\circ}C$에서 배양하면서 Burkholderia의 Bacillus의 유기물 제거능력을 비교하였다. 접종량에 따른 개체군 차이로 유기물 제거능력이 영향 받을 수 있지만, Bacillus의 유기물 제거능력이 Burkholderia보다 $2\sim5$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acillus megaterium과 Bacillus sp.(C21, F12, N12)의 영양세포와 내생포자의 유기물 제거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내생포자의 제거능력이 영양세포보다 더욱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생산 exopolysaccharide에 의한 항염증 활성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obiotic-produced Exopolysaccharide)

  • 이승훈;권민정;강형택;정정욱;김병오;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09-7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원으로부터 7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리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Bacillus sp.와 Lactobacillus sp.로 확인되었다. 먼저 LPS로 활성화 된 RAW 264.7 세포주에 7종의 균주 배양액을 처리한 후, nitric oxide (NO) 생성을 측정하였다. 처리한 균주의 배양액 중 Bacillus sp. FG-1과 Lactobacillus sp. FG-6 균주의 배양액 처리군에서 현저하게 NO 생성이 저해되었다. 또한, 이들의 처리에 의해 COX-2, iNOS 그리고 TNF-α와 같은 pro-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균주가 생산하는 여러 물질중 exopolysaccharide (EPS)가 항염증 활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균주로부터 EPS를 분리하여, 이들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두 균주가 생산하는 EPS가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고, pro-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EPS가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산하는 여러 물질 중 항염증 활성의 핵심물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우식성 당 Fuc($1{\to}4$)gaINAc($2{\to}6$)NeuAc를 생산하는 호알칼리성 Bacillus sp. S-1013의 동정 및 생산조건의 최적화 (Identification of Alkalophilic Bacillus sp. S-1013 Producing Non-Cariogenicity Sugar Fuc($1{\to}4$)gaINAc($2{\to}6$)NeuAc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for Its Production)

  • 류일환;김선숙;이갑상;이은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3
    • /
    • 2006
  • 비우식성 당 NCS(Fuc($1{\to}4$)galNAc($2{\to}6$)NeuAc)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동정하고 이 미생물이 생산하는 비우식성 당의 생산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NCS를 생산하는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화학분류학적 특성 및 16S-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하여 Bacillus sp. S-1013로 동정되었다. 또한, 이 균주에 의한 NCS의 최적 배지조성은 soluble starch 3.0%, dextrin 1.5%, yeast extract 0.5%, pepton 1.0%, $K_{2}HPO_4$ 0.2%였으며,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25와 11.0이였다. 최적배지에서 NCS 및 균체의 생산은 기본배지에 비해 각각 4.24배 및 2.67배 증가하였다.

Probiotics용 복합효소 분비 Bacillus sp.의 분리 및 원료사료를 이용한 균주 생산을 위한 배지 조건의 최적화 (Isolation of Bacillus sp. Producing Multi-enzyme and Optimization of Medium Conditions for Its Production Using Feedstuffs for Probiotics)

  • 양시용;송민동;김언현;김창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0-114
    • /
    • 2001
  • 가축 사료첨가용 probiotics용 균주를 얻기 위해 특히 내열성이 높아 가공사료에 적합한 Bacillus sp.를 위주로 하여 가축에게 유용한 효소인 phytase를 비롯하여 protease, cellulase, xylanase, amylase의 활성을 모두 나타내는 4-3 균주를 얻어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밝혀졌으며, 이를 B. subtilis 4-3으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를 원료사료에 순수배양하여 사료의 항영양인자인 phytic acid 분해율을 검토한 결과 대두박 및 쌀겨에 있어서는 phytic acid 분해율이 낮았으나, 밀기울의 경우 80.63%로 상대적으로 높은 phytic acid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원료 사료를 이용한 균주의 생산 조건은 대두박 1%(w/v)와 당밀 2%(w/v)가 가장 적합한 균주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으로 검토되었다.

  • PDF

과메기에서 histamine 분해능을 나타내는 세균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istamine Degrading Bacteria from Kwamegi)

  • 김민우;김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0-125
    • /
    • 2006
  • 과메기에서 histamine분해능을 가진 세균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histamine만을 첨가한 제한배지에서 균을 분리했다. 기본적인 형태 및 생화학적 동정시험을 거쳐 10종의 시험균주를 선택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비교에 의한 계통발생학적 분석으로 동정하였다. 동정된 세균의 histamine분해능은 탁도측정법과 효소법에 의해 재 확인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6S rDNA 염기서열 비교에 의한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E americana B791, Arthrobacter sp. R45S, H. marisflava, P. sp. 9B-7, Bacillus sp. LMG 21002, P. cibarius JG-220, B. megaterium KL-197 7종이 동정되었고, 각각 $99\%,\;95\%,\;98\%,\;99\%,\;99\%,\;99\%,\;98\%$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3종은 미동정되었다. 동정된 세균의 histamine분해능을 탁도측정법과 효소법에 의해 재 확인한 결과, Arthrobacter sp. R45S, H. marisflava, Bacillus sp. LMG 21002, B. megaterium KL-197이 분해능을 나타내었고, Psychrobacter sp. 9B-7은 미약한 분해능을 보였으며 미동정된 3종도 분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 americana B791과 P. cibarius JG-220은 분해능이 불확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반고등어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시험균주 모두가 생육과 histamine의 분해속도가 비교적 빨랐다.

Bacillus sp. GJ-1의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GJ-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이건주;한준희;신종환;김흥태;김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2-117
    • /
    • 2013
  • Phytophthora capsici는 고추에 역병을 일으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식물병원균이다. 최근 환경문제로 화학 농약을 대체하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가장 바람직한 방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역병에 피해를 보이지 않는 건전한 고추재배지 근권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근권세균을 분리하였다. 총 360여점의 미생물 콜로니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콜로니의 색깔과 모양 등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총 12개의 그룹으로 재분류하였다. 그 중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in vitro 실험에서 고추역병균에 길항효과를 보인 GJ-1, GJ-11, GJ-12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길항효과가 없는 균주 2개(GJ-4, GJ-5)를 대조군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5균주에 대하여 sidero-phore의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과 GJ-5 두 균주가 CAS 배지에서 orange halo zone을 크게 형성하여 siderophore를 많이 분비하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토양중의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시켜 식물의 생장촉진효과를 보이는 phosphate solubilization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 GJ-5, GJ-12 균주가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 capsic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siderophore를 생산하고 인산가용화 능력이 뛰어난 유용미생물 GJ-1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GJ-1균주를 동정하여 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GJ-1의 길항작용은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Fusarium solani에 대한 식물병원성 진균에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Bacillus sp. GJ-1은 생물학적 방제제로 고추역병균을 포함하여 다른 토양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에 이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ultiple liver infection by Sphingomonas sp. and Bacillus sp. in a wild rodent (Apodemus agrarius): a case report

  • Kim, Jiro;Monoldorova, Sezim;Kim, Soojin;Kim, Nam Kyung;Kim, Jinsol;Kim, Joon Hee;Jeon, Bo-Yo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4
    • /
    • 2017
  • The first case of liver infection caused by Sphingomonas sp. and Bacillus sp. in a wild rodent is reported. A captured wild rodent, Apodemus agrarius (A. agrarius), presented with multiple liver abscess-like nodules (diameter 0.7~2.4 mm) in whic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illi were detected simultaneously. These were grown in aerobic and anaerobic cultures, respectively, and were identified as Sphingomonas sp. and Bacillus sp., respectively, according to 16S rRNA sequencing.

Mannitol-Egg York-Polymyxin B 선택 배지에서 Bacillus cereus 계수 방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Enumeration of Bacillus cereus Grown on Mannitol-Egg York-Polymyxin B Agar)

  • 윤숙현;김용상;정도연;한금수;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8-214
    • /
    • 2009
  • 장류에서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의 계수 방법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 cereus 선택 배지인 mannitol-egg york-polymyxin B (MYP)에서 자란 약 1,500개의 집락들을 형태적 차이에 따라 12종으로 분류하였다. 생화학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집락 주위로 환을 형성하는 직경 11~16 mm 크기의 집락들은 B. cereus 와 B. cereus subsp. cytotoxis로 동정되었고, 환을 형성하지 않아 B. cereus 계수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직경 5 mm 크기의 분홍색 집락은 B. cereus로, 6.5 mm 크기의 이중환을 형성하여 B. cereus로 계수하기가 모호하였던 붉은색 집락은 B. cereus로 동정되었다. 나머지 세 종들은 Enterococcus sp., Brevibacillus sp., B. subtilis로 밝혀졌다. B. cereus로 동정된 9종 모두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B. cereus 독소 유전자들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다른 형태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